이 글은《百家講壇-唐宋八大家》의 강연자 논점에 담긴 ‘唐宋八大家’에 대한 현대적 해석의 내용과 목적을 규명한 것이다. 이에 강연자 해석에 나타나는 현재적 의미를 조화정신의 현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百家講壇-唐宋八大家》의 강연자 논점에 담긴 ‘唐宋八大家’에 대한 현대적 해석의 내용과 목적을 규명한 것이다. 이에 강연자 해석에 나타나는 현재적 의미를 조화정신의 현시,...
이 글은《百家講壇-唐宋八大家》의 강연자 논점에 담긴 ‘唐宋八大家’에 대한 현대적 해석의 내용과 목적을 규명한 것이다. 이에 강연자 해석에 나타나는 현재적 의미를 조화정신의 현시, 개혁정책의 재현, 문화거인 정립 세 방면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 강연이 고전인문 ‘당송팔대가’를 현대적으로 변용하고 있는 목적을 파악하고자 했다. 주요하게 고찰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唐宋八大家의 삶과 문학에 내포된 조화정신의 사례 전시가 조화사회건설 이념 공감의 목적과 관련 있음을 밝혔다. 둘째, 北宋의 改革變法에 대한 논의를 통해 현대중국 개혁정책의 실현과정을 재현하고 있음을 규명하였다. 셋째, 唐宋八大家에 대한 문화거인 기획과 문화전통 수립의 관계성을 분석하였다. 이에 이 글에서는《百家講壇-唐宋八大家》강연의 목적이 당송팔대가의 내용을 특정한 방향으로 재구성하여 국가의 정책을 전파하고 공감을 유도하는 데 있다고 판단한다. 그래서 이 강연을 ‘唐宋八大家’라는 전통문화콘텐츠를 현대적으로 변용하여 국가 정책에 부응하는 문화전략으로 이해하고자 한다.《百家講壇-唐宋八大家》강연은 21세기 중국이 추진하는 민족주의 문화정책의 구체적인 실천체이다. 이 강연에 대해서 고전인문 강연에 숨어있는 해석 내부의 정치이념을 가려내어 객관적으로 이해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를 통해서 현대중국의 고전인문 TV 교양강좌 프로그램에 내재한 현대성의 함의를 파악하고 미래 중국의 정치적․문화적 지향을 조망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재일, "후진타오의 ‘사회주의조화사회 건설’ 연구" 중국연구소 40 : 2007
2 정동근, "후진타오와 화해사회: 중국은 지금 무엇을 생각하는가" 동아시아출판사 2007
3 이상옥, "현대 중국의 현대성 의미 - 전통ㆍ이데올로기와 문화건설의 세 측면을 중심으로 -" 대한철학회 102 : 223-250, 2007
4 조경란, "현대 중국의 보수주의 문화― 신보수주의의 출현과 유학의 재조명 ―" 중국근현대사학회 (40) : 159-183, 2008
5 문흥호, "중화전통과 현대중국:전통의 지속과 사회주의적 변용" 섬앤섬 2012
6 황희경, "중국의 백가강단을 말한다-『논어심득』(於丹),『노자강의』(姚淦銘),『백가쟁명』(易中天)을 중심으로" 22 : 2011
7 먼훙화, "중국의 매력국가 만들기: 소프트파워전략" 성균관대출판부 2014
8 이규택, "중국의 調和로운 社會建設과 持續的인 經濟발전" 중국연구소 44 : 239-263, 2008
9 최관장, "중국개혁개방 정책의 이론과 그 전개과정" 21 : 2001
10 김정식, "중국 경제체제의 개혁 발전단계에 관한연구" 한국동북아학회 16 (16): 139-157, 2011
1 정재일, "후진타오의 ‘사회주의조화사회 건설’ 연구" 중국연구소 40 : 2007
2 정동근, "후진타오와 화해사회: 중국은 지금 무엇을 생각하는가" 동아시아출판사 2007
3 이상옥, "현대 중국의 현대성 의미 - 전통ㆍ이데올로기와 문화건설의 세 측면을 중심으로 -" 대한철학회 102 : 223-250, 2007
4 조경란, "현대 중국의 보수주의 문화― 신보수주의의 출현과 유학의 재조명 ―" 중국근현대사학회 (40) : 159-183, 2008
5 문흥호, "중화전통과 현대중국:전통의 지속과 사회주의적 변용" 섬앤섬 2012
6 황희경, "중국의 백가강단을 말한다-『논어심득』(於丹),『노자강의』(姚淦銘),『백가쟁명』(易中天)을 중심으로" 22 : 2011
7 먼훙화, "중국의 매력국가 만들기: 소프트파워전략" 성균관대출판부 2014
8 이규택, "중국의 調和로운 社會建設과 持續的인 經濟발전" 중국연구소 44 : 239-263, 2008
9 최관장, "중국개혁개방 정책의 이론과 그 전개과정" 21 : 2001
10 김정식, "중국 경제체제의 개혁 발전단계에 관한연구" 한국동북아학회 16 (16): 139-157, 2011
11 李政鎭, "중국 경제의 점진식 개혁과 전망" 한국중국문화학회 (15) : 329-343, 2003
12 송승엽 지음, "중국 개혁개방 30년" 휴먼비전 2008
13 조복수, "중국 TV 프로그램의 ‘대중화(大衆化)’ 개혁-<백가강단(百家講壇)>의 사례분석" 2 (2): 2015
14 임규섭, "베이징올림픽 전·후로 표출된 중국민족주의 연구" 국제지역연구원 15 (15): 97-118, 2008
15 안남일, "미디어와 문화" 푸른사상 2012
16 李翔, "電視講壇類欄目學術媒介化研究——以《百家講壇》爲例" 上海師範大學 2009
17 "百度視頻-百家講壇《唐宋八大家》全集(75集)"
18 任太平, "百家講壇對創新教學的啟示" 2015
19 電視講壇, "百家講壇-唐宋八大家"
20 朱芳芳, "淺析《百家講壇》對中國古典文學傳播的影響" 2010
21 牛蕊, "從《百家講壇》看我國電視講壇節目的問題與發展" 東北師範大學 2010
22 王焱, "對文史哲類課程教學的啟示" 2010
23 王靜思, "傳統文化的電視媒介傳播——以“百家講壇”爲例" 吉林大學 2011
24 陸耿, "傳統文化典籍的大眾傳播——以《百家講壇》爲例" 2012
25 穀佳旋, "《百家講壇》的“易中天現象”研究" 湖南師範大學 2010
26 宋儀凱, "《百家講壇》成功策略探究" 蘇州大學 2008
27 郭賽賽, "《百家講壇》之〈“水”之開封〉口譯報告" 河南大學 2015
화문시(華文詩)의 민족, 도시 상상과 문화적 정체성 연구 - 타이완을 중심으로
대만의 일·가정양립정책과 기업 및 가정의 대응- 모성보호 및 영유아보육을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0-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1 | 0.31 | 0.3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8 | 0.36 | 0.64 | 0.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