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들의 일상에서의 마음챙김이 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는데 주목적을 두었다. 283명의 유아 학부모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들의 일상에서의 마음챙김이 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는데 주목적을 두었다. 283명의 유아 학부모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
본 연구는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들의 일상에서의 마음챙김이 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는데 주목적을 두었다. 283명의 유아 학부모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이 들의 관계를 분석하였는데, 확인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나이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었는 데 40대가 20대, 30대보다 더 높은 마음챙김과 심리적 안녕감을 보고하였다. 둘째, 마음챙김은 스트레 스와 부적 상관을 보이고 심리적 안녕감과는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스트레스는 심리적 안녕감과 부적 상관을 보였다. 셋째, 마음챙김은 심리적 안녕감에 직접적으로 긍정적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스트레 스를 감소시켜 심리적 안녕감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침이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언을 논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ffects of daily mindfulness in parents with 3 to 5-year-old children on their str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Methods: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this study established a research model...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ffects of daily mindfulness in parents with 3 to 5-year-old children on their str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Methods: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this study established a research model in which parent’s mindfulness affects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by the mediation of stress, and verifi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using 283 parents data set.
Results: First, mindfuln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the ages of 40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20s∼30s. Second, parent’s mindfuln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showed high positive correlation, and stress showed high negative correlation with mindfuln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ird, it was verified that mindfulness not only directly affects psychological well-being but also indirectly influences psychological well-being by reducing their stress.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s that daily mindfulness in parents with 3 to 5-year-old children is effective in managing their stress and improving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종하, "한글판 스트레스 자각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 연구" 한국정신신체의학회 20 (20): 127-134, 2012
2 원두리, "한국판 5요인 마음챙김척도의 타당화 연구" 한국건강심리학회 11 (11): 871-886, 2006
3 오영경, "중년 여성의 불안과 우울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경로분석"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5 (15): 579-588, 2017
4 배효정,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아동기 애착, 배우자의 부모역할지지, 심리적 안녕감이 아버지의 부모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 열린부모교육학회 7 (7): 147-164, 2016
5 이예종, "연령대별 성인의 정신건강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제5기(2010)국민건강영양조사를 중심으로"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1 (11): 321-327, 2013
6 장영은, "어머니의 심리적 안녕감, 양육행동 및 가정환경과 유아의 어린이집 또래관계 부적응" 육아정책연구소 8 (8): 45-64, 2014
7 김경희, "어머니의 마음챙김과 정서안정이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권리학회 13 (13): 333-362, 2009
8 이우경, "성인기 여성의 스트레스, 마음챙김, 자기-慈愛, 심리적 안녕감 및 심리 증상 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1 (21): 127-146, 2008
9 박경, "생활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마음챙김과 성향적 낙관주의의 중재효과" 대한스트레스학회 17 (17): 369-378, 2009
10 한주희, "마음챙김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매커니즘" 한국보건사회학회 (22) : 127-151, 2007
1 이종하, "한글판 스트레스 자각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 연구" 한국정신신체의학회 20 (20): 127-134, 2012
2 원두리, "한국판 5요인 마음챙김척도의 타당화 연구" 한국건강심리학회 11 (11): 871-886, 2006
3 오영경, "중년 여성의 불안과 우울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경로분석"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5 (15): 579-588, 2017
4 배효정,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아동기 애착, 배우자의 부모역할지지, 심리적 안녕감이 아버지의 부모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 열린부모교육학회 7 (7): 147-164, 2016
5 이예종, "연령대별 성인의 정신건강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제5기(2010)국민건강영양조사를 중심으로"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1 (11): 321-327, 2013
6 장영은, "어머니의 심리적 안녕감, 양육행동 및 가정환경과 유아의 어린이집 또래관계 부적응" 육아정책연구소 8 (8): 45-64, 2014
7 김경희, "어머니의 마음챙김과 정서안정이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권리학회 13 (13): 333-362, 2009
8 이우경, "성인기 여성의 스트레스, 마음챙김, 자기-慈愛, 심리적 안녕감 및 심리 증상 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1 (21): 127-146, 2008
9 박경, "생활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마음챙김과 성향적 낙관주의의 중재효과" 대한스트레스학회 17 (17): 369-378, 2009
10 한주희, "마음챙김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매커니즘" 한국보건사회학회 (22) : 127-151, 2007
11 김교헌, "마음챙김과 자기조절 그리고 지혜" 한국건강심리학회 13 (13): 285-306, 2008
12 허정문, "마음챙김, 자기연민 및 태아애착의 관계에서 지각된 스트레스의 매개효과" 대한스트레스학회 25 (25): 286-293, 2017
13 김태균, "마음챙김 훈련이 중등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소진,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6 (16): 363-369, 2018
14 문정순, "마음챙김 자비훈련 프로그램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8 (8): 357-372, 2017
15 강진호, "마음챙김 명상을 활용한 고등학생의 심리적 안녕감 증진 프로그램 개발"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57 (57): 213-243, 2009
16 이하나, "대학생의 자아탄력성, 행복감과 스트레스 지각 및 대처와의 관계" 한국상담학회 7 (7): 701-713, 2006
17 김명호, "교사의 마음챙김과 직무만족에서 자기조절의 매개효과" 교육문제연구소 29 (29): 85-104, 2016
18 Jang HG., "What is Mindfulness Based Stress Reduction (MBSR) and how should it be done?" 2 (2): 71-81, 2011
19 Ruth A. Baer, "Using Self-Report Assessment Methods to Explore Facets of Mindfulness" SAGE Publications 13 (13): 27-45, 2016
20 Kim JH, "Understanding and management of stress" Sigmapress 2006
21 Kim JH, "Types of Mindfulness Meditation and Their Implications for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4 (4): 27-44, 2004
22 Carol D. Ryff, "The structure of psychological well-being revisited."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APA) 69 (69): 719-727, 1995
23 Kirk Warren Brown, "The benefits of being present: Mindfulness and its role in psychological well-being."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APA) 84 (84): 822-848, 2003
24 Susan Miller Smedema, "The Relationship of Coping, Self-Worth, and Subjective Well-Be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SAGE Publications 53 (53): 131-142, 2016
25 Ko HJ, "The Moderating and Mediating Effect of Ego-Resil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Stress and Parenting Attitude" Sookmyung Women's University 2005
26 Richard R. Abidin, "The Determinants of Parenting Behavior" Informa UK Limited 21 (21): 407-412, 1992
27 Aldwin CM., "Stress, coping, and development: An integrative perspective" Guilford Press 2007
28 Lazarus RS, "Stress, appraisal and coping" Springer Publishing 1984
29 John A. Astin, "Stress Reduction through Mindf ulness Meditation" S. Karger AG 66 (66): 97-106, 1997
30 Lee YG, "Qualification of working couple... I am sorry, I am sorry. Please put on your mouth and endure nine years"
31 Shin DK., "People in the thirties in Korea, lowest in the wellbeing index due to workplace and economic problems"
32 Abidin RR., "Parenting stress index-short form" Pediatric Psychology Press 1990
33 Park J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Perception of Stress, Self-Efficacy,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ocial Support" Sogang University 2006
34 Kabat-Zinn J., "Mindfulness-based interventions in context: past, present, and future" 10 (10): 144-156, 2003
35 Baer RA., "Mindfulness training as a clinical intervention: A conceptual and empirical review" 10 (10): 125-143, 2003
36 Germer CK., "Mindfulness and psychotherapy" Guilford Press 3-488, 2005
37 Teasdale JD, "Metacognitive awareness and prevention of relapse in depression: empirical evidence" 70 (70): 275-287, 2002
38 Joanna J. Arch, "Mechanisms of mindfulness: Emotion regulation following a focused breathing induction" Elsevier BV 44 (44): 1849-1858, 2006
39 Shauna L. Shapiro, "Mechanisms of mindfulness" Wiley 62 (62): 373-386, 2006
40 Ryff CD., "Happiness is everything, or is it? Explorations on the meaning of psychological well-being" 57 (57): 1069-1081, 1989
41 Crnic K, "Handbook of parenting" Lawrence Erlbaum Associates, Inc 277-297, 1995
42 Kabat-Zinn J., "Full catastrophe living: The program of the stress reduction clinic at the University of Massachusetts Medical Center" Delta 1990
43 Blatt SJ., "Experiences of depression: Theoretical, clinical, and research perspectives"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04
44 Shin MH, "Developmental Psychology" Hakgisa 2013
45 Kim MS, "Analyses on the Construct of Psychological Well-Being (PWB) of Korean Male and Female Adults" 15 (15): 19-39, 2001
46 Kim SH., "A study on relationships among the stressful events,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Catholic University 2004
자기자비 증진 프로그램이 부정적인 신체상을 가진 여대생의 신체상 불만족, 신체 수치심, 자기존중감 및 주관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걱정과의 관계에서 부정적인 문제해결 지향의 매개효과
불안정애착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 탈중심화와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콜센터 상담원의 감정노동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회복 탄력성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7-03-01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THE KOREAN JOURNAL OF STRESS RESEARCH -> stress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기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2006-06-30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대한신심스트레스학회 -> 대한스트레스학회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Of Biosociobehavioral Science -> The Korean Society of Stress Medicine | |
2006-06-27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대한신심스트레스학회 -> 대한스트레스학회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Of Biosociobehavioral Science -> The Korean Society of Stress Medicine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76 | 1.76 | 1.6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61 | 1.44 | 2.211 | 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