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최세진, "훈몽자회 초중10"
2 주강현, "한국의 두레 1" 집문당 1997
3 스튜어트 컬린, "한국의 놀이" 열화당 2003
4 "프랑스 국립기메동양박물관 소장 한국문화재"
5 권혁희, "조선풍속화보" 민속원 2008
6 김영자, "조선왕국 이야기 -100년전 유럽인이 유럽에 전한-" 서문당 1997
7 강명관, "조선 사람들, 혜원의 그림 밖으로 걸어나오다" 푸른역사 2001
8 동아대학교 역사인문이미지연구소, "일제침략기 사진그림엽서로 본 제국주의의 프로파간다와 식민지 표상" 민속원 2019
9 "유럽박물관 소장 한국문화재 2권"
10 성현, "용재총화 2권"
1 최세진, "훈몽자회 초중10"
2 주강현, "한국의 두레 1" 집문당 1997
3 스튜어트 컬린, "한국의 놀이" 열화당 2003
4 "프랑스 국립기메동양박물관 소장 한국문화재"
5 권혁희, "조선풍속화보" 민속원 2008
6 김영자, "조선왕국 이야기 -100년전 유럽인이 유럽에 전한-" 서문당 1997
7 강명관, "조선 사람들, 혜원의 그림 밖으로 걸어나오다" 푸른역사 2001
8 동아대학교 역사인문이미지연구소, "일제침략기 사진그림엽서로 본 제국주의의 프로파간다와 식민지 표상" 민속원 2019
9 "유럽박물관 소장 한국문화재 2권"
10 성현, "용재총화 2권"
11 최영년, "속악유희(俗樂遊戱), 해동죽기(海東竹技) 중편"
12 신선영, "세기 말 시대의 반영, 기산 김준근의 풍속화, 기산풍속도 -그림으로 남은 100년 전의 기억"
13 장계수, "생활문물연구" 국립민속박물관 2003
14 조흥윤, "민속에 대한 기산의 지극한 관심" 민속원 2004
15 정형호, "농악 용어의 역사적 사용과 20세기 고착화 과정에 대한 고찰" 한국민속학회 62 : 77-114, 2015
16 한양명, "기산풍속화의 놀이 분야 검토를 위한 시론" 한국민속학회 2012
17 조흥윤, "기산풍속도첩" 범양사 1984
18 배영동, "기산풍속도의 생산민속과 복식" 숭실대학교 한국기독교박물관 (4) : 2007
19 "기산풍속도 -그림으로 남은 100년 전의 기억"
20 김광언, "기산김준근의 풍속도 해제, 유럽박물관 소장 한국문화재"
21 하인리히 F.J 융커, "기산 한국의 옛그림" 민속원 2003
22 정형호, "기산 김준근의 풍속화에 나타난 민속적 특징" 중앙대 한국문화유산연구소 (13) : 2008
23 신선영, "기산 김준근 풍속화에 관한 연구"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0 : 105-141, 2006
24 박효은, "근대 전환기 개항장의 한국화가 김준근" 숭실대학교 한국기독교박물관 (4) : 2007
25 "감로탱(선암사 서부도전, 봉서암, 삼성미술관, 수국사, 흥국사, 개운사, 경국사, 불암사, 봉은사, 보광사, 청룡사, 백련사, 통도사)"
26 신선영, "箕山 金俊根 繪畫 硏究"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