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韓國과 日本 西九州 島嶼地方에서의 暖帶性 常綠闊葉樹의 分布 (1)島嶼別 分布種과 分布要因 = Distributions of evergreen broad-leaved plants in satellite islands of Korea and western Kyushu, Japan (1) Distribution of tree species and factors of distribu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202973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韓國의 14個 島嶼(群)과 日本 西九州의 4個 島嶼(群)에 대하여 暖帶性 常綠闊葉樹의 分布調査를 실시하였다. 또한 分布要因을 파악하기 위하여 各地域의 氣溫, 海水表面溫度, 溫量指數, 寒冷...

      韓國의 14個 島嶼(群)과 日本 西九州의 4個 島嶼(群)에 대하여 暖帶性 常綠闊葉樹의 分布調査를 실시하였다. 또한 分布要因을 파악하기 위하여 各地域의 氣溫, 海水表面溫度, 溫量指數, 寒冷指數, 降水量 등을 조사하여 比較檢討하였다.
      調査의 結果, 이들 地域에서 자라는 常綠闊葉樹는 總計 129種이었다. 그 중에서 五島列島에는 가장 많은 101種이 分布하고 있고, 壹崎, 對馬, 平戶, 濟州島의 順이었다. 各地에 分布하는 常綠闊葉樹는 同一한 緯度에서는 對馬暖流의 中心圈에 가까울수록 出現種이 많은 傾向이 있었다.
      韓國에는 分布하지 않으나 西九州의 4個島嶼에만 生育하는 종은 Pasania edulis등 53種 이었고 이들 種群은 黑潮의 影響으로 北上한 것으로 보아진다. 韓國에만 生育하는 호랑가사나무 등 4種은 中國과의 關係과 깊은 것으로 보아진다.
      韓國과 日本 西九州의 島嶼地方에서의 氣候要因과 常綠闊葉樹의 出現種數는 從來의 한냉지수나 온량지수에 의한 예측보다는 年平均氣溫과 年降水量으로서 豫測이 可能하였다. 本 硏究의 對象인 17개 島嶼地方에서의 常綠闊葉樹의 出現種數를 豫測하는 式은
      Sp=0.048P+11.0T-180 로 나타났다. (但 Sp: 出現하는 常綠闊葉樹의 種數, P: 年降水量(mm), T:年平均氣溫(℃)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Eco-geographic studies of evergreen broad-leaved ligneous plants(including trees, shrubs and dwarf shrubs) were carried out in satellite islands of Korea and western Kyushu, Japan. Environmental factors studied in relation to plant distributions were ...

      Eco-geographic studies of evergreen broad-leaved ligneous plants(including trees, shrubs and dwarf shrubs) were carried out in satellite islands of Korea and western Kyushu, Japan. Environmental factors studied in relation to plant distributions were latitude, area, air temperatures, temperatures of sea surface water, warmth- and coldness-indices, and yearly precipitation for the studied islands and localities.
      The present studies revealed that a total of 129 species are distributed in the islands of Korea and western Kyushu. The Goto Islands are richest in species number, that harbor 101 in total. Islands of Iki, Tsushima, Hirado and Cheju follow the Goto in species number in the mentioned order. The evergreen
      broad-leaved species are much abundant on centrally located islands in the warm
      Tsushima Current.
      Out of the 129 species recorded, 53 species, including Pasania edulis, are absent in the Korean islands. while 4 species, including Ilex cornuta, are distributed only in the Korean islands. These are related phytogeographically to mainland China. Species richness of the studied islands was highly related with yearly mean air temperatures and yearly precipitation. rather than warmth and coldness indices. In the present study, the formula given below fits well the species richness of evergreen broad-leave species.
      Sp=0.048P+11.0T-180 where Sp is the number of species, P is the yearly
      precipitation(mm) and T is the yearly mean air temperature(℃)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