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개혁교회 내(內)의 성찬교리에 대한 두 계보의 전통 : 성찬이 줄어든 신학적 이유들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203648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백석대학교 기독교 전문대학원, 2008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08

      • 작성언어

        한국어

      • DDC

        230 판사항(21)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89 p. : 도표 ; 26 cm.

      • 소장기관
        • 백석대학교 도서관(서울) 소장기관정보
        • 백석대학교 도서관(천안)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초대교회는 성찬이 일상이었다. 또한 종교개혁 시기의 칼빈(J. Calvin)도 매주 성찬을 주장했다. 그런데 왜 우리시대에 성찬의 횟수는 줄어든 것일까? 역사적이고 실천적 이유들이 있을 것이다. 하지만 필자는 본 논문에서 성찬이 줄어든 교리적 이유들을 살핌으로서 부지런한 성찬사용의 신학적 토대를 분명히 하고자 하였다.
      첫째는 시간의 문제이다. 성찬에서 드러나는 시간성이 과거에만 매여 있느냐 그렇지 않으면 현재와 미래를 포함하느냐에 따라서 성찬의 횟수는 달라질 수 있다. 성찬이 단지 과거의 회상이면 자주 집행될 이유가 없다. 하지만 성찬이 현재의 그리스도의 임하심이고 미래의 약속의 소급이면 달라진다.
      둘째는 방편주체의 문제이다. 성찬의 주체가 누구인가에 따라서 성찬의 횟수에 영향을 준다. 성찬을 사용하는 주체가 사람이면 무겁고 힘든 일이 된다. 그러나 하나님께서 주권적으로 사용하시는 은혜의 도구라면 기쁨으로 부지런히 받아야 한다.
      셋째는 임재의 문제이다. 성찬에 임재하시는 그리스도가 단지 상징이이냐 그렇지 않으면 실재이냐에 따라서 성찬의 사용의 빈도는 달라진다. 성찬에 그리스도께서 단지 신자의 마음에 임하는 것과 그리스도께서 성령으로 성찬에 실재하시는 것은 많은 차이를 준다.
      위의 세 가지 성찬의 신학적 문제에서 쯔빙글리(U. Zwingli)와 칼빈은 이견을 보인다. 서로 다른 두 성찬신학의 전통이 취리히 합의(Zurich Consensus)를 통해서 개혁교회 안에 공존하게 되었다. 처음에는 강세였던 칼빈의 성찬신학이 점점 쇠퇴해가고 쯔빙글리의 견해가 힘을 얻으면서 성찬의 부지런한 집행은 줄어갔다. 종교개혁시기를 지나 17세기부터 나오는 신앙고백서들에서도 이 두 신학적 전통의 영향을 따라 각기 견해를 달리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벨직신앙고백서와 하이델베르크교리문답은 칼빈적 전통을 따르는데 비해서 웨스트민스트신앙고백서는 쯔빙글리의 성찬신학에 더 가깝다.
      한국교회는 웨스트민스트 전통을 이어받았는데, 특별히 한국교회에 많은 신학적 영향을 미쳤던 박형용박사는 프린스톤(Princeton)의 영향을 받아서 쯔빙글리의 전통의 영향을 받았다. 이러한 영향으로 인해서 한국교회에서는 성찬을 부지런히 행하는 전통을 이어받지 못했다고 말할 수 있다. 부지런한 성찬을 위해서는 칼빈의 성찬신학에 대한 바른 이해가 필요하다. 칼빈의 성찬신학을 바르게 연구하고 적용하게 될 때 한국교회는 부지런한 성찬시행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초대교회는 성찬이 일상이었다. 또한 종교개혁 시기의 칼빈(J. Calvin)도 매주 성찬을 주장했다. 그런데 왜 우리시대에 성찬의 횟수는 줄어든 것일까? 역사적이고 실천적 이유들이 있을 것이다...

      초대교회는 성찬이 일상이었다. 또한 종교개혁 시기의 칼빈(J. Calvin)도 매주 성찬을 주장했다. 그런데 왜 우리시대에 성찬의 횟수는 줄어든 것일까? 역사적이고 실천적 이유들이 있을 것이다. 하지만 필자는 본 논문에서 성찬이 줄어든 교리적 이유들을 살핌으로서 부지런한 성찬사용의 신학적 토대를 분명히 하고자 하였다.
      첫째는 시간의 문제이다. 성찬에서 드러나는 시간성이 과거에만 매여 있느냐 그렇지 않으면 현재와 미래를 포함하느냐에 따라서 성찬의 횟수는 달라질 수 있다. 성찬이 단지 과거의 회상이면 자주 집행될 이유가 없다. 하지만 성찬이 현재의 그리스도의 임하심이고 미래의 약속의 소급이면 달라진다.
      둘째는 방편주체의 문제이다. 성찬의 주체가 누구인가에 따라서 성찬의 횟수에 영향을 준다. 성찬을 사용하는 주체가 사람이면 무겁고 힘든 일이 된다. 그러나 하나님께서 주권적으로 사용하시는 은혜의 도구라면 기쁨으로 부지런히 받아야 한다.
      셋째는 임재의 문제이다. 성찬에 임재하시는 그리스도가 단지 상징이이냐 그렇지 않으면 실재이냐에 따라서 성찬의 사용의 빈도는 달라진다. 성찬에 그리스도께서 단지 신자의 마음에 임하는 것과 그리스도께서 성령으로 성찬에 실재하시는 것은 많은 차이를 준다.
      위의 세 가지 성찬의 신학적 문제에서 쯔빙글리(U. Zwingli)와 칼빈은 이견을 보인다. 서로 다른 두 성찬신학의 전통이 취리히 합의(Zurich Consensus)를 통해서 개혁교회 안에 공존하게 되었다. 처음에는 강세였던 칼빈의 성찬신학이 점점 쇠퇴해가고 쯔빙글리의 견해가 힘을 얻으면서 성찬의 부지런한 집행은 줄어갔다. 종교개혁시기를 지나 17세기부터 나오는 신앙고백서들에서도 이 두 신학적 전통의 영향을 따라 각기 견해를 달리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벨직신앙고백서와 하이델베르크교리문답은 칼빈적 전통을 따르는데 비해서 웨스트민스트신앙고백서는 쯔빙글리의 성찬신학에 더 가깝다.
      한국교회는 웨스트민스트 전통을 이어받았는데, 특별히 한국교회에 많은 신학적 영향을 미쳤던 박형용박사는 프린스톤(Princeton)의 영향을 받아서 쯔빙글리의 전통의 영향을 받았다. 이러한 영향으로 인해서 한국교회에서는 성찬을 부지런히 행하는 전통을 이어받지 못했다고 말할 수 있다. 부지런한 성찬을 위해서는 칼빈의 성찬신학에 대한 바른 이해가 필요하다. 칼빈의 성찬신학을 바르게 연구하고 적용하게 될 때 한국교회는 부지런한 성찬시행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Lord's Supper was a daily routine in the early churches. J. Calvin also suggested weekly Lord's Supper as well during the religious reformation. Then why did the number of Lord's Supper is reduced in our days? There must be historical and practical reasons for it. Herein I took a closer look into the doctrinal reasons why Lord's Supper was reduced in this thesis and clarified the theological basis for diligent practice of Lord's Supper.
      The first problem is matter of time. Frequency of Lord's Supper can change depending on whether the time factor appeared in Lord's Supper is relying on the past only or whether it includes present and future as well. If Lord's Supper is only done to retrospect the past, then there is no reason for it to be executed frequently. However, if Lord's Supper indicates Christ's presence now and promise in the future, then it's a different story.
      Second problem is matter of subject. Frequency of Lord's Supper is significantly influenced depending on the subject of Lord's Supper. If the subject using Lord's Supper is a person, it becomes a heavy and difficult job. However, if it is an instrument of grace used by God sovereignly, we should execute it with joy and diligence.
      Third problem is the matter of presence. Frequency of Lord's Supper depends on how we think of Christ, whether we consider him as a mere symbol or real presence. There is a huge difference between Christ only present in the hearts of believers and Christ really present in the Holy Spirit of Lord's Supper.
      U. Zwingli and Calvin hold different views in the three theological issues stated above. Two different traditions of Eucharistic theology became coexisting in the Reformed churches through Zurich Consensus. Although Calvin's Eucharistic theology was strongly accepted in the beginning, but it slowly dwindled away and Zwingli's idea started to replace Calvin's theology. As the result, diligent execution of Lord's Supper was gradually reduced. We are able to find out that Confessions of faith published in the 17th century even after reformation of religion are influenced by these two theological traditions and hold different opinions. While the Belgic confession and the Heidelberg Catechism are obeying Calvin's tradition, the Westminster confession is closer to Zwingli's Eucharistic theology.
      Although Korean church inherited Westminster tradition, Dr. Park Hyung-Yong who has significantly influenced Korean church in many theological ways was influenced by Princeton, inherited Zwingli's tradition. This is why Korean church couldn't inherit the tradition of diligently executing Lord's Supper. In order to execute Lord's Supper diligently, understanding on Calvin's Eucharistic theology is required. Korean church will be able to execute Lord's Supper frequently only after they study Calvin's Eucharistic theology properly and apply his theology practically.
      번역하기

      The Lord's Supper was a daily routine in the early churches. J. Calvin also suggested weekly Lord's Supper as well during the religious reformation. Then why did the number of Lord's Supper is reduced in our days? There must be historical and practica...

      The Lord's Supper was a daily routine in the early churches. J. Calvin also suggested weekly Lord's Supper as well during the religious reformation. Then why did the number of Lord's Supper is reduced in our days? There must be historical and practical reasons for it. Herein I took a closer look into the doctrinal reasons why Lord's Supper was reduced in this thesis and clarified the theological basis for diligent practice of Lord's Supper.
      The first problem is matter of time. Frequency of Lord's Supper can change depending on whether the time factor appeared in Lord's Supper is relying on the past only or whether it includes present and future as well. If Lord's Supper is only done to retrospect the past, then there is no reason for it to be executed frequently. However, if Lord's Supper indicates Christ's presence now and promise in the future, then it's a different story.
      Second problem is matter of subject. Frequency of Lord's Supper is significantly influenced depending on the subject of Lord's Supper. If the subject using Lord's Supper is a person, it becomes a heavy and difficult job. However, if it is an instrument of grace used by God sovereignly, we should execute it with joy and diligence.
      Third problem is the matter of presence. Frequency of Lord's Supper depends on how we think of Christ, whether we consider him as a mere symbol or real presence. There is a huge difference between Christ only present in the hearts of believers and Christ really present in the Holy Spirit of Lord's Supper.
      U. Zwingli and Calvin hold different views in the three theological issues stated above. Two different traditions of Eucharistic theology became coexisting in the Reformed churches through Zurich Consensus. Although Calvin's Eucharistic theology was strongly accepted in the beginning, but it slowly dwindled away and Zwingli's idea started to replace Calvin's theology. As the result, diligent execution of Lord's Supper was gradually reduced. We are able to find out that Confessions of faith published in the 17th century even after reformation of religion are influenced by these two theological traditions and hold different opinions. While the Belgic confession and the Heidelberg Catechism are obeying Calvin's tradition, the Westminster confession is closer to Zwingli's Eucharistic theology.
      Although Korean church inherited Westminster tradition, Dr. Park Hyung-Yong who has significantly influenced Korean church in many theological ways was influenced by Princeton, inherited Zwingli's tradition. This is why Korean church couldn't inherit the tradition of diligently executing Lord's Supper. In order to execute Lord's Supper diligently, understanding on Calvin's Eucharistic theology is required. Korean church will be able to execute Lord's Supper frequently only after they study Calvin's Eucharistic theology properly and apply his theology practicall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 1
      • 1.1. 논문의 목적 = 1
      • 1.2. 논문의 범위 및 구성 = 4
      • 2. 종교개혁시대 성찬에 대한 견해들 = 6
      • 2.1. 성찬신학의 세 가지 문제 = 6
      • 1. 서론 = 1
      • 1.1. 논문의 목적 = 1
      • 1.2. 논문의 범위 및 구성 = 4
      • 2. 종교개혁시대 성찬에 대한 견해들 = 6
      • 2.1. 성찬신학의 세 가지 문제 = 6
      • 2.2. 화체설 = 11
      • 2.2.1. 시간의 문제 = 11
      • 2.2.2. 방편 주체의 문제 = 12
      • 2.2.3. 임재의 문제 = 13
      • 2.3. 공재설 = 14
      • 2.3.1. 시간의 문제 = 15
      • 2.3.2. 방편 주체의 문제 = 16
      • 2.3.3. 임재의 문제 = 17
      • 2.4. 기념설 = 19
      • 2.4.1. 시간의 문제 = 19
      • 2.4.2. 방편 주체의 문제 = 20
      • 2.4.3. 임재의 문제 = 21
      • 2.5. 도구설 = 22
      • 2.5.1. 시간의 문제 = 23
      • 2.5.2. 방편 주체의 문제 = 23
      • 2.5.3. 임재의 문제 = 25
      • 2.6. 평가 = 29
      • 3. 개혁교회 내의 성찬교리에 대한 두 전통 = 31
      • 3.1. 두 전통의 구분 = 31
      • 3.1.1. 칼빈 계열 = 31
      • 3.1.2. 쯔빙글리 계열 = 35
      • 3.2. 신앙고백서 = 45
      • 3.2.1. 벨직신앙고백서 = 45
      • 3.2.1.1. 시간의 문제 = 47
      • 3.2.1.2. 방편 주체의 문제 = 48
      • 3.2.1.3. 임재의 문제 = 48
      • 3.2.2. 하이델베르크 신앙고백서 = 49
      • 3.2.2.1. 시간의 문제 = 51
      • 3.2.2.2. 방편 주체의 문제 = 52
      • 3.2.2.3. 임재의 문제 = 53
      • 3.2.3. 웨스트민스트신앙고백서 = 54
      • 3.2.3.1. 시간의 문제 = 56
      • 3.2.3.2. 방편 주체의 문제 = 57
      • 3.2.3.3. 임재의 문제 = 58
      • 3.3. 박형용의 성찬신학과 한국교회 = 59
      • 3.3.1. 시간의 문제 = 59
      • 3.3.2. 방편 주체의 문제 = 60
      • 3.3.3. 임재의 문제 = 61
      • 4. 성찬의 신학적 의미 = 65
      • 4.1. 단순한 기념인가? 기념과 누림, 종말론적 소망인가? = 66
      • 4.1.1. 쯔빙글리의 입장 = 66
      • 4.1.2. 칼빈의 입장 = 67
      • 4.2. 사람의 방편인가? 하나님의 다스림인가? = 69
      • 4.2.1. 쯔빙글리의 입장 = 69
      • 4.2.2. 칼빈의 입장 = 70
      • 4.3. 상징인가? 그리스도와의 참된 교제인가? = 71
      • 4.3.1. 쯔빙글리의 입장 = 72
      • 4.3.2. 칼빈의 입장 = 73
      • 5. 결론 = 78
      • 참고문헌 = 85
      • Abstract = 8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