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아펜젤러 선교사의 삶에 대한 종교사회학적 해석 = An Interpretation of the Life of Missionary Henry G. Appenzeller - From the Perspective of Sociology of Religion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49574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nalyzes the life and thought of Henry G. Appenzeller, American
      missionary from the perspective of sociology of religion. First of all, it will explore the
      social situation in which Appenzeller was able to enter Korea as educational
      missionary and explain the context of Korea's times at home and abroad. This is the
      first time that King Gojong's permission of mission was issued to Korea, which needed
      U.S. support and help for the imperial expansion of the neighboring powers, enabling
      the educational and medical activities of Western missionaries. Before Appenzeller's
      successful entry into the country in 1885, there were the financial support from J. F.
      Goucher, the persuasion of R. S. Maclay and a help from Kim Ok-kyun. But
      Appenzeller paid attention to evangelical spread through education. Secondly, the
      death of Appenzeller was too sudden. After the second sabbatical year, Appenzeller
      traveled by boat to attend Mokpo meeting of the Bible Translation Committee and
      died in a sea disaster. The incident was not just an accident, but a martyrdom that
      occurred while trying to rescue the accompanying Koreans. He suffered from rapid
      aging as missionary work in Korea expanded. He had a strong will to establish the
      best university that taught in the spirit of Christianity. Finally, his missionary work was
      concentrated in Pai Chai Hang Dang (Pai Chai College), which nurtured useful people
      in the country for democratization and modernization. He pursued education as a
      whole, including liberal education and theological education, and practiced traditional
      missionary work that emphasized the cooperation between the denominations while
      strengthening evangelicalism. A religious and sociological study of his entire life is
      needed in the future.
      번역하기

      This study analyzes the life and thought of Henry G. Appenzeller, American missionary from the perspective of sociology of religion. First of all, it will explore the social situation in which Appenzeller was able to enter Korea as educational mission...

      This study analyzes the life and thought of Henry G. Appenzeller, American
      missionary from the perspective of sociology of religion. First of all, it will explore the
      social situation in which Appenzeller was able to enter Korea as educational
      missionary and explain the context of Korea's times at home and abroad. This is the
      first time that King Gojong's permission of mission was issued to Korea, which needed
      U.S. support and help for the imperial expansion of the neighboring powers, enabling
      the educational and medical activities of Western missionaries. Before Appenzeller's
      successful entry into the country in 1885, there were the financial support from J. F.
      Goucher, the persuasion of R. S. Maclay and a help from Kim Ok-kyun. But
      Appenzeller paid attention to evangelical spread through education. Secondly, the
      death of Appenzeller was too sudden. After the second sabbatical year, Appenzeller
      traveled by boat to attend Mokpo meeting of the Bible Translation Committee and
      died in a sea disaster. The incident was not just an accident, but a martyrdom that
      occurred while trying to rescue the accompanying Koreans. He suffered from rapid
      aging as missionary work in Korea expanded. He had a strong will to establish the
      best university that taught in the spirit of Christianity. Finally, his missionary work was
      concentrated in Pai Chai Hang Dang (Pai Chai College), which nurtured useful people
      in the country for democratization and modernization. He pursued education as a
      whole, including liberal education and theological education, and practiced traditional
      missionary work that emphasized the cooperation between the denominations while
      strengthening evangelicalism. A religious and sociological study of his entire life is
      needed in the futur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아펜젤러 선교사의 생애와 사상을 종교사회학적 관점에서 분석한다. 우선, 그
      가 한국에 교육선교사로 입국할 수 있었던 사회적 상황을 탐구하고, 한국의 국내외 시대
      적 맥락을 설명할 것이다. 주변 열강의 제국주의적 팽창에 대하여 미국의 지원과 도움이
      필요했던 한국에 고종의 윤허가 내려지면서 서양선교사의 교육과 의료 활동이 가능해졌
      다. 1885년에 아펜젤러의 성공적인 입국이 이루어지기 전에, 가우처의 재정지원, 매클레이
      의 설득, 김옥균의 도움 등이 있었다. 그러나 아펜젤러는 교육을 통한 복음전파에 관심을
      기울였다. 둘째로, 아펜젤러의 죽음은 너무 갑작스럽게 발생하였다. 두 번째 안식년을 마치
      고 돌아 온 아펜젤러는 성서번역위원회의 목포모임에 참석하기 위하여 배를 타고 이동하
      다가 해난사고로 사망하였다. 이 사건은 단순한 사고가 아니라 동행한 한국인들을 구조하
      려다 발생한 순교였다. 그는 한국의 선교가 확장되면서 건강이 쇠약해졌고 급속한 노화를
      경험하였다. 그는 기독교정신으로 가르치는 최고 수준의 대학교를 설립하려는 강한 의지
      를 갖고 있었다. 끝으로, 그의 선교활동은 배재학당에 집중되어 있었는데, 민주화와 근대화
      를 위한 국가에 유용한 인재를 양성하기를 원하였다. 교양교육과 신학교육을 포함한 전인
      적인 교육을 지향하였고 복음주의를 강화하면서도 교파간의 협력을 중시하는 통전적 선교
      를 실천하였다. 앞으로, 그의 전 생애에 대한 종교사회학적 재평가가 필요하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아펜젤러 선교사의 생애와 사상을 종교사회학적 관점에서 분석한다. 우선, 그 가 한국에 교육선교사로 입국할 수 있었던 사회적 상황을 탐구하고, 한국의 국내외 시대 적 맥락을 ...

      본 연구는 아펜젤러 선교사의 생애와 사상을 종교사회학적 관점에서 분석한다. 우선, 그
      가 한국에 교육선교사로 입국할 수 있었던 사회적 상황을 탐구하고, 한국의 국내외 시대
      적 맥락을 설명할 것이다. 주변 열강의 제국주의적 팽창에 대하여 미국의 지원과 도움이
      필요했던 한국에 고종의 윤허가 내려지면서 서양선교사의 교육과 의료 활동이 가능해졌
      다. 1885년에 아펜젤러의 성공적인 입국이 이루어지기 전에, 가우처의 재정지원, 매클레이
      의 설득, 김옥균의 도움 등이 있었다. 그러나 아펜젤러는 교육을 통한 복음전파에 관심을
      기울였다. 둘째로, 아펜젤러의 죽음은 너무 갑작스럽게 발생하였다. 두 번째 안식년을 마치
      고 돌아 온 아펜젤러는 성서번역위원회의 목포모임에 참석하기 위하여 배를 타고 이동하
      다가 해난사고로 사망하였다. 이 사건은 단순한 사고가 아니라 동행한 한국인들을 구조하
      려다 발생한 순교였다. 그는 한국의 선교가 확장되면서 건강이 쇠약해졌고 급속한 노화를
      경험하였다. 그는 기독교정신으로 가르치는 최고 수준의 대학교를 설립하려는 강한 의지
      를 갖고 있었다. 끝으로, 그의 선교활동은 배재학당에 집중되어 있었는데, 민주화와 근대화
      를 위한 국가에 유용한 인재를 양성하기를 원하였다. 교양교육과 신학교육을 포함한 전인
      적인 교육을 지향하였고 복음주의를 강화하면서도 교파간의 협력을 중시하는 통전적 선교
      를 실천하였다. 앞으로, 그의 전 생애에 대한 종교사회학적 재평가가 필요하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Ⅱ. 선교윤허(宣敎允許)의 배경 2
      • Ⅲ. 선교사의 죽음: 사고인가? 순교인가? 4
      • Ⅳ. 배재학당과 기독교대학교의 탄생 6
      • Ⅴ. 결론: 순교자의 탄생과 선교의 비전 8
      • Ⅰ. 서론 1
      • Ⅱ. 선교윤허(宣敎允許)의 배경 2
      • Ⅲ. 선교사의 죽음: 사고인가? 순교인가? 4
      • Ⅳ. 배재학당과 기독교대학교의 탄생 6
      • Ⅴ. 결론: 순교자의 탄생과 선교의 비전 8
      • 참고문헌 10
      • Abstract 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