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쥐의 질식성 심장마비 모델에서 valproic acid의 생존 및 뇌손상에 미치는 영향 = Effect of valproic acid on survival and cerebral injury in asphyxia-induced cardiac arrest model of ra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E1659608

      • 저자
      • 발행기관
      • 발행연도

        2012년

      • 작성언어

        Korean

      • KDC

        510

      • 자료형태

        국립의과학지식센터(NCMIK)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1. 연구개발의 목적 : valproic acid는 기분장애 및 경련성 질환의 치료제로 널리 이용되고 있고 최근 세포핵 내의 히스톤 단백의 아세틸기를 유리시키는 효소의 억제제로 알려져 출혈성 쇽 및 허혈성 뇌 및 심장 손상에서 보호효과가 보고되었다. 심장마비는 전신의 허혈성 손상을 유발하는 대표적인 질환이며 높은 사망률과 생존 하더라도 심각한 뇌손상의 유발하는 질환이다. 본 연구는 심장마비로 심폐소생술을 시행한 이후 valproic acid를 투여하여 소생후 생존률 및 뇌손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
      2. 연구개발의 방법 : 쥐의 호흡을 억제하여 질식성 심장마비를 유도하고 평균 동맥압이 20mmHg가 되는 시정을 심정지로 정의하고 7분 30초간 심장마비를 유지한 후 심폐소생술을 시행하였다. 심폐소생술 후 자발순환이 회복되면 무작위적으로 두그룹으로 나누어 한 그룹은 valproic acid(300mg/kg)로 정맥 투여하고 다른 그룹은 대조군으로 동량의 생리식염수를 투여하고 72시간 관찰하면서 생존률을 비교하였다. 또한, 72 시간 생존을 한 경우 신경학적인 결손의 정도를 비교하기 위하여 심장마비의 기간을 6분으로 하여 72 시간 생존시키고 24, 48, 72시간째 신경학적 검사를 시행하여 신경학적인 결손의 정도를 비교하였고 72시간째 혈액 및 뇌조직을 적출하였다.
      3. 연구개발결과 : 생존실험에서 valproic acid를 투여한 그룹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72시간 생존률이 높았고 조직 및 혈액 적출 실험에서 valproic acid를 투여한 그룹이 신경학적 결손이 적은 경향을 보였다.
      4. 연구개발의 활용계획 : 본 연구를 바탕으로 valproic acid는 심장마비후 생존률을 증가시키고 신경학적 결손을 감소시키는 경향을 보였다. 이를 바탕으로 임상적으로 근접한 대동물을 이용한 실험에서 valproic acid의 뇌손상 및 기타 장기 손상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며 그 결과를 바탕으로 임상적인 적용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번역하기

      1. 연구개발의 목적 : valproic acid는 기분장애 및 경련성 질환의 치료제로 널리 이용되고 있고 최근 세포핵 내의 히스톤 단백의 아세틸기를 유리시키는 효소의 억제제로 알려져 출혈성 쇽 및 ...

      1. 연구개발의 목적 : valproic acid는 기분장애 및 경련성 질환의 치료제로 널리 이용되고 있고 최근 세포핵 내의 히스톤 단백의 아세틸기를 유리시키는 효소의 억제제로 알려져 출혈성 쇽 및 허혈성 뇌 및 심장 손상에서 보호효과가 보고되었다. 심장마비는 전신의 허혈성 손상을 유발하는 대표적인 질환이며 높은 사망률과 생존 하더라도 심각한 뇌손상의 유발하는 질환이다. 본 연구는 심장마비로 심폐소생술을 시행한 이후 valproic acid를 투여하여 소생후 생존률 및 뇌손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
      2. 연구개발의 방법 : 쥐의 호흡을 억제하여 질식성 심장마비를 유도하고 평균 동맥압이 20mmHg가 되는 시정을 심정지로 정의하고 7분 30초간 심장마비를 유지한 후 심폐소생술을 시행하였다. 심폐소생술 후 자발순환이 회복되면 무작위적으로 두그룹으로 나누어 한 그룹은 valproic acid(300mg/kg)로 정맥 투여하고 다른 그룹은 대조군으로 동량의 생리식염수를 투여하고 72시간 관찰하면서 생존률을 비교하였다. 또한, 72 시간 생존을 한 경우 신경학적인 결손의 정도를 비교하기 위하여 심장마비의 기간을 6분으로 하여 72 시간 생존시키고 24, 48, 72시간째 신경학적 검사를 시행하여 신경학적인 결손의 정도를 비교하였고 72시간째 혈액 및 뇌조직을 적출하였다.
      3. 연구개발결과 : 생존실험에서 valproic acid를 투여한 그룹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72시간 생존률이 높았고 조직 및 혈액 적출 실험에서 valproic acid를 투여한 그룹이 신경학적 결손이 적은 경향을 보였다.
      4. 연구개발의 활용계획 : 본 연구를 바탕으로 valproic acid는 심장마비후 생존률을 증가시키고 신경학적 결손을 감소시키는 경향을 보였다. 이를 바탕으로 임상적으로 근접한 대동물을 이용한 실험에서 valproic acid의 뇌손상 및 기타 장기 손상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며 그 결과를 바탕으로 임상적인 적용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1. Aim of the study : Protection of cerebra injury from cardiac arrest is a main issue in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Valproic acid (VPA), a drug commonly used to treat seizures and mood disorder, has been shown to have neuroprotective effects in ischemic animal model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to determine the protective effects of valproic acid on survival and neurologic injury in cardiac arrest model of rats.
      2. Materials and methods : Asphyxial cardiac arrest and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PR) was performed using male Sprague-Dawley rats. After return of spontaneous circulation (ROSC), rats were randomly received one of two drugs (VPA 300mg/kg iv or normal saline iv). Two sets of experiments were conducted. In the survival study, cardiac arrest was induced and maintained for 7 minutes 30 seconds. To compare the effects of VPA on cerebral injury, 6 minutes of cardiac arrest was used. Survival rates of each group were compared for 72 hours and neurologic deficit scores were assessed.
      3. Results : The survival rate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VPA group (p=0.0464). Neurologic deficit score showed a tendency to be higher in VPA group in 24, 48 and 72 hours compared to control group.
      4. Conclusion : Administration of VPA after ROSC in asphyxia-induced cardiac arrest model of rats improved 72 hour survival rates and showed a tendency to decrease neurologic deficit.
      번역하기

      1. Aim of the study : Protection of cerebra injury from cardiac arrest is a main issue in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Valproic acid (VPA), a drug commonly used to treat seizures and mood disorder, has been shown to have neuroprotective effects in i...

      1. Aim of the study : Protection of cerebra injury from cardiac arrest is a main issue in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Valproic acid (VPA), a drug commonly used to treat seizures and mood disorder, has been shown to have neuroprotective effects in ischemic animal model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to determine the protective effects of valproic acid on survival and neurologic injury in cardiac arrest model of rats.
      2. Materials and methods : Asphyxial cardiac arrest and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PR) was performed using male Sprague-Dawley rats. After return of spontaneous circulation (ROSC), rats were randomly received one of two drugs (VPA 300mg/kg iv or normal saline iv). Two sets of experiments were conducted. In the survival study, cardiac arrest was induced and maintained for 7 minutes 30 seconds. To compare the effects of VPA on cerebral injury, 6 minutes of cardiac arrest was used. Survival rates of each group were compared for 72 hours and neurologic deficit scores were assessed.
      3. Results : The survival rate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VPA group (p=0.0464). Neurologic deficit score showed a tendency to be higher in VPA group in 24, 48 and 72 hours compared to control group.
      4. Conclusion : Administration of VPA after ROSC in asphyxia-induced cardiac arrest model of rats improved 72 hour survival rates and showed a tendency to decrease neurologic deficit.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