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마이너리티연구에 있어서의 당사자성 문제: 한센병문학 연구를 중심으로 = The Issues on the Involved Party’ Stance on Minority Research: Focusing on Leprosy Literature Stud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47433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마이너리티연구에 있어서의 당사자성 문제에 대해 고찰하였다. 마이너리티 당사자가 아니면 마이너리티연구는 수행할 수 없는지, 비당사자가 마이너리티연구를 수행하기 위한 조건은 무엇인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특히 한센병문학의 당사자성에 주목하였다. 비당사자의 마이너리티연구는 마이너리티 당사자의 소외 및 차별 경험을 공유할 수없다는 점에서 의문시되곤 했다. 하지만 비당사자의 마이너리티연구를 의문시하는 시선의 이면에는 마이너리티에 대한 혐오・소외의 멘탈리티가 잠재돼 있다. 당사자성 내부에도 차이와 균열은 존재하며, 당사자와 비당사자의 관계성의 차이가 마이너리티연구의 지 평을 확장할 수도 있다. 비당사자가 마이너리티문제에 개입하기 위해서는 당사자와 친밀권이 형성되어야 한다. 비당사자의 공감과 당사자의 수용이 그 전제 조건이다. 다만 비당사자의 당사자에 대한 적극적인 공감 노력은 중요하지만, 안이한 공감의 시도가 당사자의 상처를 가중시키는 폭력성을 띨 우려 또한 간과할 수 없다. 그렇기에 양자 사이에 절대 메워질 수 없는 틈새, 즉 공약불가능성을 인정하면서 비당사자의 상처를 나누고자 하는 윤리적 실천이야말로 실로 중요하다. 경계 넘기는 당사자와 비당사자 모두에게 난제이지만 마이너리티 문제의 가시화를 위해선 포기할 수 없는 과제이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마이너리티연구에 있어서의 당사자성 문제에 대해 고찰하였다. 마이너리티 당사자가 아니면 마이너리티연구는 수행할 수 없는지, 비당사자가 마이너리티연구를 수행하기 위한 ...

      본 논문은 마이너리티연구에 있어서의 당사자성 문제에 대해 고찰하였다. 마이너리티 당사자가 아니면 마이너리티연구는 수행할 수 없는지, 비당사자가 마이너리티연구를 수행하기 위한 조건은 무엇인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특히 한센병문학의 당사자성에 주목하였다. 비당사자의 마이너리티연구는 마이너리티 당사자의 소외 및 차별 경험을 공유할 수없다는 점에서 의문시되곤 했다. 하지만 비당사자의 마이너리티연구를 의문시하는 시선의 이면에는 마이너리티에 대한 혐오・소외의 멘탈리티가 잠재돼 있다. 당사자성 내부에도 차이와 균열은 존재하며, 당사자와 비당사자의 관계성의 차이가 마이너리티연구의 지 평을 확장할 수도 있다. 비당사자가 마이너리티문제에 개입하기 위해서는 당사자와 친밀권이 형성되어야 한다. 비당사자의 공감과 당사자의 수용이 그 전제 조건이다. 다만 비당사자의 당사자에 대한 적극적인 공감 노력은 중요하지만, 안이한 공감의 시도가 당사자의 상처를 가중시키는 폭력성을 띨 우려 또한 간과할 수 없다. 그렇기에 양자 사이에 절대 메워질 수 없는 틈새, 즉 공약불가능성을 인정하면서 비당사자의 상처를 나누고자 하는 윤리적 실천이야말로 실로 중요하다. 경계 넘기는 당사자와 비당사자 모두에게 난제이지만 마이너리티 문제의 가시화를 위해선 포기할 수 없는 과제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examines the issue on the involved party’ stance on minority research. This paper examined whether it is not possible to conduct a minority study unless it is a minority party, and what are the conditions for a non-party to conduct a minority study. Particular attention was paid to the involved party’ stance on leprosy literature. Minority studies of non-parties have been questioned in that they cannot share experiences of alienation and discrimination of minority parties. However, there is a potential for hate and alienation of minority behind the eyes that question the non-party s research on minority. Differences and cracks exist within the involved party’ stance, and differenc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ties and the non-parties may expand the horizon of minority research. In order for non-parties to intervene in minority matters, intimatesphere with the parties must be established. The precondition is empathy from non-parties and acceptance of the parties. However, while active empathy for non-parties is important, it is important not to overlook the concern that easy attempts to empathize may cause violence. Therefore, the ethical practice of sharing the wounds of non-parties while acknowledging a gap that cannot be filled between the two is truly important. Boundary crossing is a challenge for both parties and non-parties, but it is a task that cannot be abandoned for the visualization of minority issues.
      번역하기

      This paper examines the issue on the involved party’ stance on minority research. This paper examined whether it is not possible to conduct a minority study unless it is a minority party, and what are the conditions for a non-party to conduct a mino...

      This paper examines the issue on the involved party’ stance on minority research. This paper examined whether it is not possible to conduct a minority study unless it is a minority party, and what are the conditions for a non-party to conduct a minority study. Particular attention was paid to the involved party’ stance on leprosy literature. Minority studies of non-parties have been questioned in that they cannot share experiences of alienation and discrimination of minority parties. However, there is a potential for hate and alienation of minority behind the eyes that question the non-party s research on minority. Differences and cracks exist within the involved party’ stance, and differenc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ties and the non-parties may expand the horizon of minority research. In order for non-parties to intervene in minority matters, intimatesphere with the parties must be established. The precondition is empathy from non-parties and acceptance of the parties. However, while active empathy for non-parties is important, it is important not to overlook the concern that easy attempts to empathize may cause violence. Therefore, the ethical practice of sharing the wounds of non-parties while acknowledging a gap that cannot be filled between the two is truly important. Boundary crossing is a challenge for both parties and non-parties, but it is a task that cannot be abandoned for the visualization of minority issu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들어가며 ─ “당신은(나는) 당사자가 아니다” 2. 당사자와 당사자성 3. 당사자성의 차이와 동일성 4. 차이를 넘는 방법 5. 나가며 ─ “우리 모두는 당사자다”
      • 1. 들어가며 ─ “당신은(나는) 당사자가 아니다” 2. 당사자와 당사자성 3. 당사자성의 차이와 동일성 4. 차이를 넘는 방법 5. 나가며 ─ “우리 모두는 당사자다”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