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대학축구선수들이 지각한 코칭 행동과 인지된 경기력의 관계에서 팀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 The Mediation Effects of Team Intera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aching Behaviors and Perceived Performance by College Soccer Play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10849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축구선수들을 대상으로 선수가 지각하는 코칭 행동과 팀 상호작용 및 인지된 경기력의 관계를 검증하고 아울러 코칭 행동과 인지된 경기력의 관계에서 팀 상호작용의...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축구선수들을 대상으로 선수가 지각하는 코칭 행동과 팀 상호작용 및 인지된 경기력의 관계를 검증하고 아울러 코칭 행동과 인지된 경기력의 관계에서 팀 상호작용의 매개적 효과를 확인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대학축구선수 311명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했으며 코칭 행동, 팀 상호작용, 인지된 경기력 검사지를 측정도구로 활용하고 탐색적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통해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보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과 AMOS 18.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했으며 빈도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관계 분석, 구조방정식 분석, 매개효과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자율적 코칭 행동과 팀 상호작용은 정적인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β=-.114), 통제적 코칭 행동과 팀 상호작용은 부적인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β=-.299). 또한 자율적 코칭 행동과 인지된 경기력의 관계에서는 정적인 영향이 나타났고(β=-.402), 통제적 코칭 행동과 인지된 경기력은 부적인 관계를 보였다(β=-.150). 아울러 팀 상호작용과 인지된 경기력은 정적인 관계를 맺고 있었다(β=-.159). 둘째, 자율적 코칭 행동과 인지된 경기력의관계에서 팀 상호작용은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셋째, 통제적 코칭 행동과 인지된 경기력의 관계에서도 팀 상호작용은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허진영, "프로축구 코칭행동과 팀 효능감의 관계에서 코치-선수관계 유지의 역할 검증" 한국웰니스학회 12 (12): 261-273, 2017

      2 이명선, "투척선수의 지도자 신뢰가 선수만족 및 인지된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 12 (12): 4054-4060, 2011

      3 이영철, "통제적 코칭행동이 고등학교 태권도 겨루기 선수의 경기력과 운동지속에 미치는 영향" 한국웰니스학회 12 (12): 509-518, 2017

      4 손원일, "통제적 코칭행동에 따른 대학운동선수의 스포츠대처의 교육적 의미와 운동지속수행의 관계" 한국체육교육학회 18 (18): 177-190, 2013

      5 송기현, "통제적 코칭행동과 운동탈진의 관계에서 청소년 선수들의 운동정체성과 접근-회피동기의 다중매개효과"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5 (25): 143-157, 2014

      6 양대승, "태권도 겨루기 지도자-선수의 상호작용과 경기력의 관계에서 스포츠 자신감의 매개효과" 한국체육과학회 24 (24): 401-413, 2015

      7 최헌혁, "코치-선수관계에서 청소년 운동선수가 지각한 자율성 지지와 통제적 코칭행동의 역할" 한국체육과학회 23 (23): 581-591, 2014

      8 김순영, "코치 행동에 따른 자기-조절동기 과정과 스포츠 수행의 인과모형 검증"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27 (27): 169-180, 2016

      9 황재욱, "축구선수들의 팀 상호작용과 역할지각 및 팀 성과의 구조적 관계: 다집단 분석" 한국코칭능력개발원 20 (20): 27-36, 2018

      10 정구인, "청소년 운동선수가 지각하는 코칭행동과 운동지속의 관계에서 성취목표의 매개효과" 대한운동학회 16 (16): 1-11, 2014

      1 허진영, "프로축구 코칭행동과 팀 효능감의 관계에서 코치-선수관계 유지의 역할 검증" 한국웰니스학회 12 (12): 261-273, 2017

      2 이명선, "투척선수의 지도자 신뢰가 선수만족 및 인지된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 12 (12): 4054-4060, 2011

      3 이영철, "통제적 코칭행동이 고등학교 태권도 겨루기 선수의 경기력과 운동지속에 미치는 영향" 한국웰니스학회 12 (12): 509-518, 2017

      4 손원일, "통제적 코칭행동에 따른 대학운동선수의 스포츠대처의 교육적 의미와 운동지속수행의 관계" 한국체육교육학회 18 (18): 177-190, 2013

      5 송기현, "통제적 코칭행동과 운동탈진의 관계에서 청소년 선수들의 운동정체성과 접근-회피동기의 다중매개효과"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5 (25): 143-157, 2014

      6 양대승, "태권도 겨루기 지도자-선수의 상호작용과 경기력의 관계에서 스포츠 자신감의 매개효과" 한국체육과학회 24 (24): 401-413, 2015

      7 최헌혁, "코치-선수관계에서 청소년 운동선수가 지각한 자율성 지지와 통제적 코칭행동의 역할" 한국체육과학회 23 (23): 581-591, 2014

      8 김순영, "코치 행동에 따른 자기-조절동기 과정과 스포츠 수행의 인과모형 검증"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27 (27): 169-180, 2016

      9 황재욱, "축구선수들의 팀 상호작용과 역할지각 및 팀 성과의 구조적 관계: 다집단 분석" 한국코칭능력개발원 20 (20): 27-36, 2018

      10 정구인, "청소년 운동선수가 지각하는 코칭행동과 운동지속의 관계에서 성취목표의 매개효과" 대한운동학회 16 (16): 1-11, 2014

      11 박중길, "지각된 코칭행동, 자율적-통제적 행동조절 및 정서의 인과구조:자기결정성 이론 관점" 한국체육학회 52 (52): 263-277, 2013

      12 강현우, "중⋅고등학교 스포츠 팀 상호작용 척도 개발 및 타당도 검증"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8 (28): 23-32, 2017

      13 구경주, "중·고등학교 축구선수가 지각하는 지도자 선수상호작용이 팀응집력과 운동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 24 (24): 95-111, 2015

      14 양명환, "자율적 코칭행동, 자기조절동기, 의도적 연습 및 운동만족의 관계" 한국코칭능력개발원 17 (17): 77-91, 2015

      15 김순영, "운동선수들이 경험하는 코치들의 자율 및 통제적 코칭행동 척도개발" 한국코칭능력개발원 17 (17): 63-72, 2015

      16 조민선, "여자유도선수와 지도자의 신뢰형성하기" 한국체육학회 44 (44): 513-522, 2005

      17 강현우, "스포츠 팀 상호작용 개념 구조 탐색"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7 (27): 75-84, 2016

      18 허진영, "수구선수들이 지각하는 코치-선수간의 상호작용과 스포츠 능력믿음 및 팀 응집력의 관계" 한국체육과학회 21 (21): 395-407, 2012

      19 김미선, "선수들이 지각하는 코치-선수 간 상호작용 검사지 개발 : 다집단 분석과 잠재평균 차이 검증"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2 (22): 171-186, 2011

      20 김종식, "바람직한 운동수행과 통제적 코칭행동과의 인과분석"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11 (11): 89-103, 2017

      21 김판수, "대학유도선수들이 지각하는 코치와 선수의 상호작용이 운동만족과 운동정서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 26 (26): 1345-1358, 2017

      22 조현기, "대학골프 선수들의 수행전략과 스트레스의 관계에서 코치-선수 상호작용의 역할" 한국사회체육학회 (66) : 399-410, 2016

      23 남광우, "대학 지도자의 자율성지지행동 및 통제된 코칭행동과 선수의 열정 및 운동행동의 관계" 한국사회체육학회 (66) : 373-386, 2016

      24 김기형, "대학 운동선수의 지각된 자율성 지지와 기본욕구 및 동기적 성향간의 구조모형 검증"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0 (20): 33-48, 2009

      25 김계수,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한나래 2007

      26 소영호, "고등학교 운동선수의 지각된 자율성 지지와 활력, 열정 및 인지된 경기력의 관계" 한국사회체육학회 (62) : 575-586, 2015

      27 소영호, "고등학교 운동선수가 지각하는 통제적 코칭행동과 탈진 및 인지된 경기력의 관계" 한국체육학회 55 (55): 167-179, 2016

      28 Fraser-thomas, j., "understanding adolescents’ positive and negative developmental experiences in sport" 23 : 3-23, 2009

      29 Reinboth, M., "dimensions of coaching behavior, need satisfaction, and the psychological and physical welfare of young athletes" 28 (28): 297-313, 2004

      30 Black, A. E., "The effects of instructors’ autonomy support and students’autonomous motivation on learning organic chemistry:A self-determination theory perspective" 84 : 740-756, 2000

      31 Bartholomew, K. J., "The controlling interpersonal style in a coaching context: Development and initial validation of a psychometric scale" 32 : 193-218, 2010

      32 Mageau, G. A., "The coach-athlete relationship : a motivational model" 21 : 883-904, 2003

      33 Black, S. J., "The Relationship Among Perceived Coaching Behavior Perception of Ability and Motivation in Competitive age Group Swimmers" 14 : 309-325, 1992

      34 Mamassis, "The Effects of Mental Training Program on Juniors Pre-competitive Anxiety, Self-confidence and Tennis Performance" 16 : 118-137, 2004

      35 LeUnes, A. L., "Sport psychology:An introduction" Nelson-Hall 214-225, 1996

      36 Hollembeck, J., "Perceived coaching behaviors and college athletes’ intrinsic motivation : A test of self-determination theory" 17 : 20-36, 2005

      37 Hu, L. T., "Enhancing coaching effectiveness in figure skating through a mental skills training program" 3 : 219-236, 1999

      38 Bandura, A., "Encyclopedia of mental health" Academic Press 1994

      39 Haerens, L., "Do perceived autonomy-supportive and controlling teaching relate to physical education students' motivational experiences though unique pathways? Distinguishing the bright and dark side of motivation" 16 : 26-36, 2015

      40 Poczwardowski, A., "Diversifying approaches to research on Psychology of Sport athlete-coach relationship" 7 : 25-142, 2006

      41 Alvarez, M. S., "Coach autonomy support and quality of sport engagement in young soccer players" 12 : 138-148, 2009

      42 Philippe, R. A., "Closeness, co-orientation and complementarity in coach. athlete relationships: What male swimmers say about their male coaches" 7 (7): 159-171, 2006

      43 Amorose, A. J., "Autonomy-supportive coaching and self determined motivation in high school and college athletes : A test of self-determination theory" 8 : 654-670, 2007

      44 Gagne, M., "Autonomy support and need satisfaction in the motivation and well-being of gymnastics" 15 : 372-389, 2003

      45 Pelletier, L. G., "Associations among perceived autonomy support, forms of self-regulation, and persistence: A prospective study" 25 : 279-306, 2001

      46 Vallerand, R., "Advances in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Academic Press 271-360, 1997

      47 Bartholomew, K. J., "A review of controlling motivational strategies from a self determination theory perspective: Implications for sport coaches" 2 (2): 215-233, 200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등재후보1차)
      2007-07-0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Coaching Development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8 0.98 1.0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 1.04 0.952 0.2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