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고문헌은 대부분 한자를 사용하여 기록되었으며, 이러한 한자들은 본자(本字)와 뜻은 같지만 모양이 틀린 이체자(異體字)와 오자(誤字)나 탈자(脫字)로 간주되는 파자(破...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9571439
1999
Korean
223.5
학술저널
161-177(17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한국 고문헌은 대부분 한자를 사용하여 기록되었으며, 이러한 한자들은 본자(本字)와 뜻은 같지만 모양이 틀린 이체자(異體字)와 오자(誤字)나 탈자(脫字)로 간주되는 파자(破...
한국 고문헌은 대부분 한자를 사용하여 기록되었으며, 이러한 한자들은 본자(本字)와 뜻은 같지만 모양이 틀린 이체자(異體字)와 오자(誤字)나 탈자(脫字)로 간주되는 파자(破字)등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고문헌 입력이나 저장 관점에서 여러 문제점을 갖는다. 이러한 한국 고문헌의 효과적인 입력과 저장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유니코드(unicode)를 사용하였으며, 고문헌의 문서 구조 및 효율적인 검색을 위해 SGML을 적용하였다.
유니코드를 사용하여 입력된 고문헌을 저장하는 방법은 일반적인 ASCII 코드나 완성형 코드를 사용하는 문헌과는 많은 차이가 이다. 본 논문은 유니코드 문서의 효율적인 저장 방법을 제시하고 SGML 문서 구조 분석, 저장 방법 및 색인 생성 방법에 대해 기술한다. 본 연구는 자체 개발된 유니코드를 사용하는 SGML문서 편집기를 통해 입력된 한국 불교전서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윈도NT에서 운영되는 마이크로소프트사의 SQL Server를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으로 사용하여 구현하였다.
목차 (Table of Contents)
유니코드 한자처리를 위한 입력기와 편집기의 설계 및 구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