古代에 있어서 한국은 일본이나 베트남지역과 마찬가지로 漢字를 매개로 한 유교, 중국 律令, 漢譯 불교경전 등 중국문화를 중심으로 한 독특한 문화권 속에 포함되어 있었다. 한편 정치적...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041098
2007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3-37(35쪽)
4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古代에 있어서 한국은 일본이나 베트남지역과 마찬가지로 漢字를 매개로 한 유교, 중국 律令, 漢譯 불교경전 등 중국문화를 중심으로 한 독특한 문화권 속에 포함되어 있었다. 한편 정치적...
古代에 있어서 한국은 일본이나 베트남지역과 마찬가지로 漢字를 매개로 한 유교, 중국 律令, 漢譯 불교경전 등 중국문화를 중심으로 한 독특한 문화권 속에 포함되어 있었다. 한편 정치적으로는 중국황제로부터 국왕이 冊封을 받고 朝貢을 하는 형식의 국제관계 속에 놓여 있었다. 이 같은 중국적 세계질서는 唐왕조가 약화되기 시작한 9세기 중반 경부터 급속히 무너져 갔고, 그 대신 遼와 金 등 유목민족국가가 이른바 정복왕조로 대두하여 宋왕조를 압박하는 형국을 이루었다. 그 결과 13세기에 들어와 몽골족이 아시아 全域을 석권할 때까지 동아시아세계는 정치적인 의미에서 多元的이고 流動的인 복잡한 국제관계를 형성하게 되었다.
9~12세기 한국은 新羅末ㆍ高麗 전기로 중앙집권적 통치체제가 무너지는 큰 변혁기를 거친 뒤 郡縣制가 재편성되는 회복기였던 만큼 그간 억제되어 왔던 민간의 에너지가 폭발하여 아직 停止하지 않을 때였다. 巨視的으로 보면 이 시대의 주역은 韓ㆍ中ㆍ日 3국 모두 국가 간의 경계를 넘어서 왕성한 무역활동에 종사하고 있던 海商들이었다. 이들은 國交가 끊어진 3국 사이에서 非公式 외교 사절로서의 역할까지 수행했다. 이 같은 해상들의 노력에 의해서 동아시아세계에는 單一한 交易圈이 형성되었다. 이 시기 사람들의 국가 간 내왕이 빈번해 짐에 따라 상호간의 이해와 인식이 한층 더 깊어졌고, 나아가 조국에 얽매이지 않은 채 동아시아세계의 국제교류 속에 자신을 귀속시키려는 境界人의 의식이 성장한 것은 특별히 주목되는 점이라고 할 수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uring the ancient times, such areas as the Korean Peninsular, Japanese Islands and Vietnam could be included in the Chinese Cultural sphere in that Chinese Character, Confucianism, Chinese law code and statutes, Chinese Buddhist Canons had affected. ...
During the ancient times, such areas as the Korean Peninsular, Japanese Islands and Vietnam could be included in the Chinese Cultural sphere in that Chinese Character, Confucianism, Chinese law code and statutes, Chinese Buddhist Canons had affected. On the one hand, the Chinese Emperor's Installation System to the Kings of these neighboring states had strongly influenced the diplomatic and cultural relationship in this area.
This traditional system had drastically been destroyed since the declining of T'ang China in the 9th Century. Therefore, it was natural that the Chinese World Order didn't operate in the area until the Mongol's conquest on the area in the 13th Century. From the 9th to the 12th Century, the East-Asian World was so much pluralistic and fluctuating in the political area which was caused by the failure of Chinese dominating power.
These nations held many distinctive political features in common. They could not control their country systematically so that the centralized authoritarian system had become weaker as the people's power got stronger. Specifically, the new leaders at that time were the sea farers who had indulged their dynamic energy into the international trades beyond the national boundary. Because there were no formal foreign relationships among nations around that time, these merchants could contact and engage in informal diplomatic messenger with many countries. Therefore, the East-Asian World Trade System could be maintained only through these maritime merchants. It is very remarkable that the increase of the mutual understanding among these peoples had affected the advent of consciousness as marginal man who did not belong to the exclusive national identity.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발해국의 대외관계, 강좌 한국고대사 제4권 ‘고대국가의 대외관계’" 駕洛國史蹟개발연구원 2003
2 "黃金國家-東アジアと平安日本" 靑木書店 2004
3 "渤海政治史硏究" 일조각 1995
4 "渤海國興亡史" 吉川弘文館 2000
5 "本州の北端‘十三湊’が大繁榮を遂げたのはどうしてか-津輕安藤氏と日本海貿易" 文英堂 2000
6 "新羅社會史硏究" 일조각 1997
7 "在唐 신라인사회 연구" 一潮閣 2005
8 "古代東アジア世界と日本" 岩波現代文庫 2000
1 "발해국의 대외관계, 강좌 한국고대사 제4권 ‘고대국가의 대외관계’" 駕洛國史蹟개발연구원 2003
2 "黃金國家-東アジアと平安日本" 靑木書店 2004
3 "渤海政治史硏究" 일조각 1995
4 "渤海國興亡史" 吉川弘文館 2000
5 "本州の北端‘十三湊’が大繁榮を遂げたのはどうしてか-津輕安藤氏と日本海貿易" 文英堂 2000
6 "新羅社會史硏究" 일조각 1997
7 "在唐 신라인사회 연구" 一潮閣 2005
8 "古代東アジア世界と日本" 岩波現代文庫 2000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11 | 1.11 | 1.0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03 | 1.05 | 2.153 | 0.4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