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유안, "회남자2" 소명출판 2013
2 유안, "회남자1" 소명출판 2013
3 김기왕, "황제내경의 기원" 一中社 2003
4 바이시, "직하학 연구" 소나무 2013
5 야마다 게이지, "중국의학은 어떻게 시작되었는가" 사이언스북스 2007
6 정재서, "이야기 동양신화" 김영사 2010
7 김희정, "몸・국가・우주 하나를 꿈구다" 궁리출판 2008
8 이종찬, "동아시아 의학의 전통과 근대" 문학과지성사 2004
9 박승현, "黃帝四經에 나타난 道家哲學의 특징" 12 (12): 2000
10 김선민, "黃帝四經譯註" 소명출판 2011
1 유안, "회남자2" 소명출판 2013
2 유안, "회남자1" 소명출판 2013
3 김기왕, "황제내경의 기원" 一中社 2003
4 바이시, "직하학 연구" 소나무 2013
5 야마다 게이지, "중국의학은 어떻게 시작되었는가" 사이언스북스 2007
6 정재서, "이야기 동양신화" 김영사 2010
7 김희정, "몸・국가・우주 하나를 꿈구다" 궁리출판 2008
8 이종찬, "동아시아 의학의 전통과 근대" 문학과지성사 2004
9 박승현, "黃帝四經에 나타난 道家哲學의 특징" 12 (12): 2000
10 김선민, "黃帝四經譯註" 소명출판 2011
11 龍伯堅, "黃帝內經槪論" 논장 2010
12 百度百科, "鸿沟(中国最早沟通黄河和淮河的人工运河)" 百度公司
13 백유상, "韓醫學 정체성 논의에 대한 연구 - 原典學을 중심으로" 대한한의학원전학회 23 (23): 123-132, 2010
14 권광호, "道家는 더 이상 소극적인 思想이 아니다" 한국동서철학회 (36) : 339-355, 2005
15 百度百科, "运河" 百度公司
16 김성지, "董仲舒의 陽 중심 사상에 대한 고찰 -『黃帝內經』과의 比較를 통하여-" 대한한의학원전학회 22 (22): 145-160, 2009
17 洪元植, "精校 黃帝內經靈樞" 東洋醫學硏究院 出版部 1985
18 洪元植, "精校 黃帝內經素問" 東洋醫學硏究院 出版部 1981
19 班固, "漢書・第六冊" 中華書局 1987
20 尹乃鉉, "商周史" 民音社 1988
21 司馬遷, "史記全本新注(中國六大史學名著叢書)․四冊" 三秦出版社 1990
22 司馬遷, "史記全本新注(中國六大史學名著叢書)․二冊" 三秦出版社 1990
23 徐春輔, "古今醫統大全" 中醫古籍出版社 1996
24 金赫濟, "原本備旨 孟子集註" 明文堂 1987
25 조선도서주식회사, "備旨具解 原本周易" 一中社 1982
26 洪元植, "中國醫學史" 東洋醫學硏究院 出版部 1987
27 馮友蘭, "中國哲學史・下" 까치글방 2013
28 馮友蘭, "中國哲學史・上" 까치글방 2012
29 백유상, "『黃帝內經』의 九鍼과 官鍼 개념에 대한 小考" 대한한의학원전학회 21 (21): 101-112,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