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UNCITRAL의 담보권 입법지침과 우리나라의 동산·채권담보법제 = UNCITRAL Legislative Guide on Secured Transactions and the Security Right Regime on Movables and Receivables under Korean Law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23750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법무부는 "동산․채권 등의 담보에 관한 법률 제정안"("법무부안")을 성안하여 2009년 7월 공청회를 개최하였다. 법무부안은 우리 민법상 동산과 채권에 대한 질권과, 판례에 의하여 인정되고 있는 양도담보권과 달리 점유를 수반하지 않고 등기에 의해 공시되는 '동산등기담보권'과 '채권담보등기권'이라는 새로운 담보권을 창설하고 있다. 필자가 법무부안을 성안하는 과정에 참여하였음은 큰 보람이다. 여기에서는 2007년 12월 UNCITRAL에서 채택된 "담보권에 관한 입법지침"("입법지침")과 우리 담보법의 차이점을 살펴보고 우리 법에의 시사점을 논의한다. 이 글의 핵심은 입법지침과 우리 법의 차이점 및 우리 법에의 시사점(Ⅴ.)에 있다. 여기에서 필자는 담보권의 종류와 내용, 담보권설정자, 담보목적물, 담보권의 공시방법, 담보권의 우선권, 담보권의 효력이 미치는 범위와 대금, 담보권의 실행, 취득금융을 위한 담보권의 특별취급과 도산법제와 담보법제의 공조라는 논점에 관하여 우리가 지침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시사점을 논의한다. 법무부안에 대하여도 간단한 논평을 한다. 법무부안의 가장 큰 혁신은 한국법상 처음으로 통상의 동산 및 채권담보의 공시방법으로서 새로운 등기제도를 도입하는 데 있다. 다만 이 점에서는 법무부에 앞서 법원행정처가 2007년 10월 채택한 "동산 및 채권의 양도등기에 관한 법률안"("법원안")도 다를 바 없다. 그러나 양자는 다음과 같은 차이가 있다. 즉 법원안은 동산등기에 동산을 인도한 것과 같은 효력을 부여하는데 이는 등기를 민법상 허용되는 기존 공시방법에 추가하여 새로운 공시방법으로 도입하는 것이다. 반면에 법부부안은 등기라는 새로운 공시방법을 도입함과 아울러 동산등기담보권과 채권등기담보권이라는 새로운 담보권을 창설하는 데 큰 의의가 있다. 이런 이유로 필자는 법무부안을 선호한다. 필자는 한국도 장래에는 미국식의 포괄적인 통일적 담보권의 도입을 고려할 필요가 있는데 그런 관점에서 법무부안은 과도기에서 일정한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러나 채권의 양도에 관하여 법무부안은 담보권에 대해서만 적용되고 완전한 양도에는 적용되지 아니하는 단점이 있다. 즉 복수채권의 양도를 통한 금융거래의 경우 양도등기부에 등기함으로써 채권양도의 제3자에 대한 대항요건을 구비하는 것은 법원안에서는 가능하나 법무부안에서는 불가능하다. 남은 기간 동안에 법무부안이 좀 더 다듬어져서 가까운 장래에 국회를 통과하기를 기대해본다.
      번역하기

      최근 법무부는 "동산․채권 등의 담보에 관한 법률 제정안"("법무부안")을 성안하여 2009년 7월 공청회를 개최하였다. 법무부안은 우리 민법상 동산과 채권에 대한 질권과, 판례에 의하여 인정...

      최근 법무부는 "동산․채권 등의 담보에 관한 법률 제정안"("법무부안")을 성안하여 2009년 7월 공청회를 개최하였다. 법무부안은 우리 민법상 동산과 채권에 대한 질권과, 판례에 의하여 인정되고 있는 양도담보권과 달리 점유를 수반하지 않고 등기에 의해 공시되는 '동산등기담보권'과 '채권담보등기권'이라는 새로운 담보권을 창설하고 있다. 필자가 법무부안을 성안하는 과정에 참여하였음은 큰 보람이다. 여기에서는 2007년 12월 UNCITRAL에서 채택된 "담보권에 관한 입법지침"("입법지침")과 우리 담보법의 차이점을 살펴보고 우리 법에의 시사점을 논의한다. 이 글의 핵심은 입법지침과 우리 법의 차이점 및 우리 법에의 시사점(Ⅴ.)에 있다. 여기에서 필자는 담보권의 종류와 내용, 담보권설정자, 담보목적물, 담보권의 공시방법, 담보권의 우선권, 담보권의 효력이 미치는 범위와 대금, 담보권의 실행, 취득금융을 위한 담보권의 특별취급과 도산법제와 담보법제의 공조라는 논점에 관하여 우리가 지침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시사점을 논의한다. 법무부안에 대하여도 간단한 논평을 한다. 법무부안의 가장 큰 혁신은 한국법상 처음으로 통상의 동산 및 채권담보의 공시방법으로서 새로운 등기제도를 도입하는 데 있다. 다만 이 점에서는 법무부에 앞서 법원행정처가 2007년 10월 채택한 "동산 및 채권의 양도등기에 관한 법률안"("법원안")도 다를 바 없다. 그러나 양자는 다음과 같은 차이가 있다. 즉 법원안은 동산등기에 동산을 인도한 것과 같은 효력을 부여하는데 이는 등기를 민법상 허용되는 기존 공시방법에 추가하여 새로운 공시방법으로 도입하는 것이다. 반면에 법부부안은 등기라는 새로운 공시방법을 도입함과 아울러 동산등기담보권과 채권등기담보권이라는 새로운 담보권을 창설하는 데 큰 의의가 있다. 이런 이유로 필자는 법무부안을 선호한다. 필자는 한국도 장래에는 미국식의 포괄적인 통일적 담보권의 도입을 고려할 필요가 있는데 그런 관점에서 법무부안은 과도기에서 일정한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러나 채권의 양도에 관하여 법무부안은 담보권에 대해서만 적용되고 완전한 양도에는 적용되지 아니하는 단점이 있다. 즉 복수채권의 양도를 통한 금융거래의 경우 양도등기부에 등기함으로써 채권양도의 제3자에 대한 대항요건을 구비하는 것은 법원안에서는 가능하나 법무부안에서는 불가능하다. 남은 기간 동안에 법무부안이 좀 더 다듬어져서 가까운 장래에 국회를 통과하기를 기대해본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cently the Ministry of Justice of Korea has prepared a draft of the "Act on Security Interest on Movables and Receivables, etc."("MOJ Draft"" and held in July 2009 a public hearing on the draft statute to solicit comments thereon. The MOJ Draft purports to create a non-possessory security right called "movable registration security right" and "receivable registration security right", which is quite new to the existing Korean security law regime in that the security right will be made effective as against third parties by registration in the security registry to be newly introduced. It was my great pleasure and honor to participate in the drafting of the MOJ Draft as a member of the relevant committee. In this article the author reviews the major differences between the Legislative Guide on Secured Transactions("Guide") which was adopted by UNCITRAL in December 2007 and the existing Korean security law regime on movables and receivables and discusses the lessons we can draw from the Guide to improve the current Korean security law regime. In comparing the Guide and the existing Korean security law regime, emphasis is laid in particular on the types of security right, grantor, secured assets, publicity requirement and priority of security right, enforcement of security right, special treatment of security right for acquisition financing and harmony between insolvency law regime and security law regime. The author also makes several comments on the MOJ Draft. The most important innovation of the MOJ Draft is to introduce a new registration regime as a publicity requirement of security right on ordinary movables and receivables under Korean law. In this respect the draft of the "Act on Registration of Transfer of Movables and Receivables" prepared by the Office of Administration of the Supreme Court of Korea in 2007("Court Draft") is same as the MOJ Draft. However the MOJ Draft is different from the Court Draft in the below-described respect. Under the Court Draft, registration of movables has the same effect as delivery of the movables. In other words, the Court Draft will introduce the registration as a new publicity method in addition to the existing ones under the Korean Civil Code. Under the MOJ Draft, registration will also be introduced as a new publicity method. However, the MOJ Draft goes one step further and aims to create a new security right called "movable registration security right" and "receivable registration security right." For this reason, I prefer the MOJ Draft. The author believes that Korea will need to consider introducing in the future a uniform comprehensive security right as under the Uniform Commercial Code. From that perspective, the MOJ Draft could provide a transition stage for the future. However, the MOJ Draft has a weak point as well as compared with the Court Draft. The Court Draft enables the assignor of several receivables to make the assignment effective as against third parties thorough a single registration in the new registry, which is not possible under the MOJ Draft because the latter deals with security rights only. I hope that the MOJ Draft will be further refined and will pass the National Parliament in the near future.
      번역하기

      Recently the Ministry of Justice of Korea has prepared a draft of the "Act on Security Interest on Movables and Receivables, etc."("MOJ Draft"" and held in July 2009 a public hearing on the draft statute to solicit comments thereon. The MOJ Draft purp...

      Recently the Ministry of Justice of Korea has prepared a draft of the "Act on Security Interest on Movables and Receivables, etc."("MOJ Draft"" and held in July 2009 a public hearing on the draft statute to solicit comments thereon. The MOJ Draft purports to create a non-possessory security right called "movable registration security right" and "receivable registration security right", which is quite new to the existing Korean security law regime in that the security right will be made effective as against third parties by registration in the security registry to be newly introduced. It was my great pleasure and honor to participate in the drafting of the MOJ Draft as a member of the relevant committee. In this article the author reviews the major differences between the Legislative Guide on Secured Transactions("Guide") which was adopted by UNCITRAL in December 2007 and the existing Korean security law regime on movables and receivables and discusses the lessons we can draw from the Guide to improve the current Korean security law regime. In comparing the Guide and the existing Korean security law regime, emphasis is laid in particular on the types of security right, grantor, secured assets, publicity requirement and priority of security right, enforcement of security right, special treatment of security right for acquisition financing and harmony between insolvency law regime and security law regime. The author also makes several comments on the MOJ Draft. The most important innovation of the MOJ Draft is to introduce a new registration regime as a publicity requirement of security right on ordinary movables and receivables under Korean law. In this respect the draft of the "Act on Registration of Transfer of Movables and Receivables" prepared by the Office of Administration of the Supreme Court of Korea in 2007("Court Draft") is same as the MOJ Draft. However the MOJ Draft is different from the Court Draft in the below-described respect. Under the Court Draft, registration of movables has the same effect as delivery of the movables. In other words, the Court Draft will introduce the registration as a new publicity method in addition to the existing ones under the Korean Civil Code. Under the MOJ Draft, registration will also be introduced as a new publicity method. However, the MOJ Draft goes one step further and aims to create a new security right called "movable registration security right" and "receivable registration security right." For this reason, I prefer the MOJ Draft. The author believes that Korea will need to consider introducing in the future a uniform comprehensive security right as under the Uniform Commercial Code. From that perspective, the MOJ Draft could provide a transition stage for the future. However, the MOJ Draft has a weak point as well as compared with the Court Draft. The Court Draft enables the assignor of several receivables to make the assignment effective as against third parties thorough a single registration in the new registry, which is not possible under the MOJ Draft because the latter deals with security rights only. I hope that the MOJ Draft will be further refined and will pass the National Parliament in the near futur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머리말
      • 1. 논의의 배경
      • 2. 논의의 순서
      • Ⅱ. 규범의 국제적 통일 또는 조화
      • 1. 규범을 국제적으로 통일 또는 조화하는 방법
      • Ⅰ. 머리말
      • 1. 논의의 배경
      • 2. 논의의 순서
      • Ⅱ. 규범의 국제적 통일 또는 조화
      • 1. 규범을 국제적으로 통일 또는 조화하는 방법
      • 2. 담보권에 관한 규범을 국제적으로 통일하거나 조화시키기 위한 근자의 노력
      • Ⅲ. 동산담보권에 관한 우리나라의 최근의 입법적 노력
      • Ⅳ. 입법지침의 구성
      • Ⅴ. 입법지침과 우리 법의 차이점 및 우리법에의 시사점
      • 1. 담보권의 종류와 내용-등기담보권의 도입 여부
      • 2. 담보권설정자
      • 3. 담보목적물
      • 4. 담보권의 성립과 대항요건의 구분
      • 5. 담보계약의 법적 성질
      • 6. 담보권의 공시방법(대항요건 또는 제3자에 대한 효력 요건)
      • 7. 경합하는 권리주장자에 대한 담보권의 우선권과 공시방법 간의 우열
      • 8. 담보권의 효력이 미치는 범위와 대금
      • 9. 담보권설정자의 담보물의 처분과 담보권의 존속
      • 10. 담보권의 실행
      • 11. 취득금융을 위한 담보권의 특별취급
      • 12. 정치한 국제사법규칙의 도입
      • 13. 도산법제와 담보법제의 공조 및 일관성
      • Ⅵ. 우리 비부동산담보법제의 개선 방안
      • 1. 등기에 의하여 공시되는 비점유 비부동산담보권 제도의 도입 필요성
      • 2. 등기에 의한 비점유 비부동산담보권제도의 도입 가능성
      • 3. 우리의 작업 추진방향
      • Ⅶ. 맺음말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석광현, "항공기에 대한 국제적 담보거래 - 케이프타운협약과 항공기의정서를 중심으로" 12 : 2004

      2 윤성근, "한국에서의 동산 및 채권 담보법 입법방안" 국제거래법학회 16 (16): 213-238, 2007

      3 沖野眞已, "최근 일본의 비부동산 담보법제(일문)" 국제거래법학회 16 (16): 127-170, 2007

      4 석광현, "최근 일본의 비부동산 담보법제(국문번역문)" 국제거래법학회 16 (16): 171-209, 2007

      5 김재형, "동산․채권 등의 담보에 관한 법률 제정안의 구성과 내용" 법조협회 58 (58): 5-54, 2009

      6 법원행정처, "동산 및 채권의 양도등기제도 도입을 위한 입법자료"

      7 김재형, "담보제도의 개혁방안 - 동산 및 채권 담보를 중심으로 -" 한국법학원 (106) : 655-684, 2008

      8 윤성근, "담보거래에 관한 UNCITRAL 입법가이드와 국내 담보거래 현황" 국제거래법학회 15 (15): 275-317, 2006

      9 석광현, "국제채권양도협약"

      10 석광현, "國際的인 證券擔保去來의 準據法 -헤이그국제사법회의의 유가증권협약을 중심으로-" 한국증권법학회 5 (5): 43-99, 2004

      1 석광현, "항공기에 대한 국제적 담보거래 - 케이프타운협약과 항공기의정서를 중심으로" 12 : 2004

      2 윤성근, "한국에서의 동산 및 채권 담보법 입법방안" 국제거래법학회 16 (16): 213-238, 2007

      3 沖野眞已, "최근 일본의 비부동산 담보법제(일문)" 국제거래법학회 16 (16): 127-170, 2007

      4 석광현, "최근 일본의 비부동산 담보법제(국문번역문)" 국제거래법학회 16 (16): 171-209, 2007

      5 김재형, "동산․채권 등의 담보에 관한 법률 제정안의 구성과 내용" 법조협회 58 (58): 5-54, 2009

      6 법원행정처, "동산 및 채권의 양도등기제도 도입을 위한 입법자료"

      7 김재형, "담보제도의 개혁방안 - 동산 및 채권 담보를 중심으로 -" 한국법학원 (106) : 655-684, 2008

      8 윤성근, "담보거래에 관한 UNCITRAL 입법가이드와 국내 담보거래 현황" 국제거래법학회 15 (15): 275-317, 2006

      9 석광현, "국제채권양도협약"

      10 석광현, "國際的인 證券擔保去來의 準據法 -헤이그국제사법회의의 유가증권협약을 중심으로-" 한국증권법학회 5 (5): 43-99, 2004

      11 "http://www.unidroit.org/english/workprogramme/study078/item1/conference2009"

      12 "http://www.uncitral.org/uncitral/en/uncitral_texts/payments/Guide_securedtrans.html."

      13 "http://www.uncitral.org/pdf/english/ texts/security-lg/e/final-final.clean.01-07-09.pdf"

      14 석광현, "UNCITRAL의 國際債權讓渡協約: 協約의 紹介와 民法 및 資産流動化에관한法律에의 示唆點" 법무부 (45) : 126-162, 2002

      15 金載亨, "UNCITRAL의 「담보거래에 관한 입법지침 초안」논의" 한국비교사법학회 13 (13): 41-82, 2006

      16 Sigman, Harry C, "Security in movables in the United States - Uniform Commercial Code Article 9: a basis for comparison"

      17 Michel Deschamps, "Secured Transactions under Canadian Law" 국제거래법학회 16 (16): 113-121, 2007

      18 Jae Sung Lee, "Overview of UNCITRAL Legislative Guide on Secured Transactions" 국제거래법학회 16 (16): 33-66, 2007

      19 Graham-Siegenthaler, Barbara, "Kreditsicherungsrechte im internationalen Rechtsverkehr"

      20 박훤일, "In Search of New Types of Security Right Facilitating Business Transactions in a Unification Era" 한국상사법학회 21 (21): 5-170, 2002

      21 Drobnig, Ulrich, "Die Kollisionsnormen des Legislative Guide for Secured Transactions von UNCITRAL" 70 : 2008

      22 Spanogle, John A, "A Functional Analysis of the EBRD Model Law on Secured Transactions"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계속평가)
      202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9-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6-08 학술지등록 한글명 : 통상법률
      외국어명 : International Trade Law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1 0.41 0.2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6 0.26 0.508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