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언어 및 방언의 접촉과 이에 따른 변화 = A Study on the Contact of language in Korea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18535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에서는 국어와 타 언어 사이의 접촉(2장), 방언 사이의 접촉(3장), 표준어와 방언 사이의 접촉(4장)으로 나누어 국어에서의 접촉을 훑어보았다. 논의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국어와 타 언어 간의 접촉을 살펴본 2장에서는, 첫째, 국어와 타 언어 사이의 접촉의 양상을 접촉의 범위에 따라 국어 전반과 일부 방언으로, 영향의 방향에 따라 일방향과 양방향으로, 우세언어와 토착언어 간의 영향 관계에 따라 상층과 저층으로 나누어 살펴보았고, 둘째, 타 언어와의 접촉에 따른 국어의 변화를 음운론적 변화(한자음의 변화, 한자음의 방언적 차이, ‘f’의 사용), 형태론적 변화(고유명사의 한문식(중국어식) 조어, ‘-的’의 사용, 외국어의 부사로의 사용), 통사론적 변화(중국어의 영향, 일본어의 영향), 어휘·의미론적 변화(차용어 사용, 다중 어휘체계의 사용, 일본어식 관용구의 사용)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방언 사이의 접촉을 살펴본 3장에서는, Trudgill(1986)과 정승철(2010)의 방언 접촉 분류를 비교하여 제시한 뒤, 선행 연구에 의지하여 새로운 방언 형성 과정 등을 언급하였다. 표준어와 방언의 접촉을 살펴본 4장에서는, 제주방언 소멸에 교육이 얼마나 강력하게 작용하는지를 간단히 본 뒤, 표준어에 미치는 방언의 반작용 세 가지 경우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번역하기

      본고에서는 국어와 타 언어 사이의 접촉(2장), 방언 사이의 접촉(3장), 표준어와 방언 사이의 접촉(4장)으로 나누어 국어에서의 접촉을 훑어보았다. 논의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국어와 타 언...

      본고에서는 국어와 타 언어 사이의 접촉(2장), 방언 사이의 접촉(3장), 표준어와 방언 사이의 접촉(4장)으로 나누어 국어에서의 접촉을 훑어보았다. 논의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국어와 타 언어 간의 접촉을 살펴본 2장에서는, 첫째, 국어와 타 언어 사이의 접촉의 양상을 접촉의 범위에 따라 국어 전반과 일부 방언으로, 영향의 방향에 따라 일방향과 양방향으로, 우세언어와 토착언어 간의 영향 관계에 따라 상층과 저층으로 나누어 살펴보았고, 둘째, 타 언어와의 접촉에 따른 국어의 변화를 음운론적 변화(한자음의 변화, 한자음의 방언적 차이, ‘f’의 사용), 형태론적 변화(고유명사의 한문식(중국어식) 조어, ‘-的’의 사용, 외국어의 부사로의 사용), 통사론적 변화(중국어의 영향, 일본어의 영향), 어휘·의미론적 변화(차용어 사용, 다중 어휘체계의 사용, 일본어식 관용구의 사용)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방언 사이의 접촉을 살펴본 3장에서는, Trudgill(1986)과 정승철(2010)의 방언 접촉 분류를 비교하여 제시한 뒤, 선행 연구에 의지하여 새로운 방언 형성 과정 등을 언급하였다. 표준어와 방언의 접촉을 살펴본 4장에서는, 제주방언 소멸에 교육이 얼마나 강력하게 작용하는지를 간단히 본 뒤, 표준어에 미치는 방언의 반작용 세 가지 경우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about the contact of language, especially in Korean. First, in Chapter 2, I looked at the contact between Korean and other languages. In chapter 3, I examined the contact between Korean dialects. In Chapter 4, I looked at the contact between standard Korean and dialects.
      Details are as follows. In Chapter 2, first, the patterns of contact between Korean and other languages are examined by the range of contact, the direction of influenc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ominant and indigenous languages. Second, the changes in Korean due to contact with other languages were divided into phonological changes, morphological changes, syntactic changes, and lexical and semantic changes. In Chapter 3, after comparing and presenting the classification of dialect contact in previous studies, the process of forming new dialects is mentioned based on previous studies. In Chapter 4, I briefly looked at how strongly education works on the extinction of the Jeju dialect, and then investigated three cases of reaction of dialects to standard Korean.
      번역하기

      This study is about the contact of language, especially in Korean. First, in Chapter 2, I looked at the contact between Korean and other languages. In chapter 3, I examined the contact between Korean dialects. In Chapter 4, I looked at the contact bet...

      This study is about the contact of language, especially in Korean. First, in Chapter 2, I looked at the contact between Korean and other languages. In chapter 3, I examined the contact between Korean dialects. In Chapter 4, I looked at the contact between standard Korean and dialects.
      Details are as follows. In Chapter 2, first, the patterns of contact between Korean and other languages are examined by the range of contact, the direction of influenc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ominant and indigenous languages. Second, the changes in Korean due to contact with other languages were divided into phonological changes, morphological changes, syntactic changes, and lexical and semantic changes. In Chapter 3, after comparing and presenting the classification of dialect contact in previous studies, the process of forming new dialects is mentioned based on previous studies. In Chapter 4, I briefly looked at how strongly education works on the extinction of the Jeju dialect, and then investigated three cases of reaction of dialects to standard Korea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명옥, "현대국어 3 : 방언학" 대한민국학술원 4 : 199-227, 2015

      2 김윤진, "해방기 엄흥섭의 언어의식과 공동체의 구상" 민족문학사연구소 (60) : 405-444, 2016

      3 조준학, "한국인의 언어의식-언어접촉과 관련된 사회언어학적 연구" 서울大學校 語學硏究所 17 (17): 167-197, 1981

      4 김영규, "한국어 방언접촉 양상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대학원 2019

      5 金宗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7" 한국정신문화연구원 789-795, 1991

      6 장세경, "한국 고대 인명사전" 역락 2007

      7 곽충구, "중앙아시아 고려말 소멸 과정의 한 양상 -50대 고려말 화자의 경우" 한국방언학회 (10) : 57-92, 2009

      8 최명옥, "중세 이전의 한국어는 성조언어였는가?" 국어학회 (90) : 3-42, 2019

      9 박경래, "중국 연변 조선족들의 언어 태도" 한국사회언어학회 10 (10): 59-86, 2002

      10 황선엽, "주격조사 ‘가’의 기원에 대하여" 국제역학서학회 283-291, 2016

      1 최명옥, "현대국어 3 : 방언학" 대한민국학술원 4 : 199-227, 2015

      2 김윤진, "해방기 엄흥섭의 언어의식과 공동체의 구상" 민족문학사연구소 (60) : 405-444, 2016

      3 조준학, "한국인의 언어의식-언어접촉과 관련된 사회언어학적 연구" 서울大學校 語學硏究所 17 (17): 167-197, 1981

      4 김영규, "한국어 방언접촉 양상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대학원 2019

      5 金宗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7" 한국정신문화연구원 789-795, 1991

      6 장세경, "한국 고대 인명사전" 역락 2007

      7 곽충구, "중앙아시아 고려말 소멸 과정의 한 양상 -50대 고려말 화자의 경우" 한국방언학회 (10) : 57-92, 2009

      8 최명옥, "중세 이전의 한국어는 성조언어였는가?" 국어학회 (90) : 3-42, 2019

      9 박경래, "중국 연변 조선족들의 언어 태도" 한국사회언어학회 10 (10): 59-86, 2002

      10 황선엽, "주격조사 ‘가’의 기원에 대하여" 국제역학서학회 283-291, 2016

      11 강윤희, "제주사회에서의 두 방언 사용에 대한 민족지적 연구" 濟州學會 11 : 83-146, 1994

      12 강정희, "제주 방언 혼성형의 사적 고찰" 國語學會 34 : 87-108, 1999

      13 김유겸, "인제 지역어의 음운론 : 방언 접촉 현상과 관련하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2

      14 김성규, "우리말 음운 연구의 실제" 경진문화사 185-201, 2006

      15 고영근, "우리말 문법론" 집문당 2018

      16 Scragg, D.G., "영어 철자의 역사" 한국문화사 2014

      17 이정민, "언어학사전" 博英社 1987

      18 김은희, "언어의 접촉과 차용의 프로세스- 제주에서의 일본어 차용을 중심으로 -" 한국일본어학회 (10) : 5-19, 2004

      19 강정희, "언어 접촉과 언어 변화 -오사카 거주 제주방언 화자 사회의 방언 보존에 대한 조사-" 국어학회 40 : 139-170, 2002

      20 이익섭, "사회언어학" 민음사 1994

      21 정승철, "방언의 발견" 창비 2018

      22 김덕호, "방언 분포의 변화에 대한 사회방언학적 연구" 한국방언학회 (27) : 181-209, 2018

      23 오새내, "방송 매체와 방언-한국 방송 매체의 방언 사용에 대한 언어 태도를 중심으로-" 한국방언학회 (22) : 61-82, 2015

      24 배혜진, "대구 지역의 ‘신방언’ 실현 양상 연구 - ‘오→우’ 고모음화를 중심으로 -" 한국방언학회 (24) : 129-152, 2016

      25 이철희, "대구 지역어의 모음 음운 변화에 대한 사회방언학적 연구" 경북대학교대학원 2017

      26 이지영, "국어학회 60년과 한국어 문법사" 국어학회 (93) : 509-556, 2020

      27 이상신, "국어학논총(송철의선생퇴임기념)" 태학사 559-578, 2018

      28 郭忠求, "국어연구의 이론과 실제" 태학사 163-196, 2001

      29 민현식, "국어 정서법 연구" 태학사 1999

      30 박창원, "국어 자음군 연구"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1

      31 임지룡, "국어 의미론" 탑출판사 1992

      32 정동경, "국어 시간 명사의 역사적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33 이기갑, "국어 방언 문법" 태학사 2003

      34 곽충구, "구개음화 규칙의 전파와 어휘 확산 - 조선족 육진방언의 경우" 국어학회 (61) : 3-40, 2011

      35 李秉根, "黃澗地域語의 音韻" 서울大學校 敎養課程部 1 : 27-54, 1969

      36 李基文, "高句麗의 言語와 그 特徵" 白山學會 4 : 101-142, 1968

      37 이진호, "韓國語 破裂音 體系의 言語 類型論的 考察" 한국어문교육연구회 48 (48): 5-29, 2020

      38 李基文, "韓國文化史大系 Ⅴ(言語·文學史(上))" 高麗大學校民族文化硏究所 19-112, 1967

      39 宋敏, "開化期의 新生漢字語 硏究(3)" 國民大學校 語文學硏究所 22 : 1-34, 2003

      40 李基文, "語源 硏究의 뒤안길(3)" 韓國語硏究會 11 : 21-125, 2014

      41 李基文, "語源 硏究의 뒤안길(2)" 韓國語硏究會 10 : 29-123, 2013

      42 李基文, "語源 硏究의 뒤안길" 韓國語硏究會 9 : 25-111, 2012

      43 李基文, "語彙 借用에 대한 一考察" 한국언어학회 3 (3): 19-31, 1978

      44 宋基中, "現代國語 漢字語의 構造"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 : 1-85, 1992

      45 金完鎭, "濟州島方言의 日本語語詞 借用에 對하여" 국어국문학회 18 : 112-131, 1957

      46 곽충구, "漢字語(方言) 속의 特異 漢字音 -동북방언을 중심으로-" 국어학회 (88) : 3-32, 2018

      47 宋敏, "派生語形成 依存形態素 “-的”의 始原" 高麗大學校 國語國文學硏究會 24·25 : 285-301, 1985

      48 King, R., "李基文敎授 停年退任紀念論叢" 신구문화사 939-966, 1996

      49 李鍾徹, "李基文敎授 停年退任紀念論叢" 신구문화사 622-643, 1996

      50 蔡琓, "李基文敎授 停年退任紀念論叢" 신구문화사 754-773, 1996

      51 배주채, "方言學 事典" 태학사 338-342, 2001

      52 金英培, "方言 接觸의 한 考察" 國語學會 4 : 83-91, 1976

      53 정승철, "崔明玉 先生 停年 退任 紀念 國語學論叢" 태학사 369-387, 2010

      54 李基文, "國語音韻史硏究" 塔出版社 1977

      55 沈在箕, "國語語彙論" 集文堂 1982

      56 민현식, "國語史硏究" 太學社 921-951, 1997

      57 郭忠求, "國語史硏究" 太學社 387-421, 1997

      58 李基文, "國語史槪說" 塔出版社 1972

      59 南豊鉉, "國語 속의 借用語-古代國語에서 近代國語까지-" 국어연구소 2 : 6-22, 1985

      60 곽충구, "國語 語彙의 基盤과 歷史" 태학사 617-669, 1998

      61 李基文, "國語 語彙史 硏究" 東亞出版社 188-200, 1991

      62 李基文, "國語 語彙史 硏究" 東亞出版社 334-351, 1991

      63 宋基中, "古代國語 語彙 表記 漢字의 字別 用例 硏究" 서울대학교출판부 2004

      64 李秉根, "京畿·忠淸 地域의 方言分化" 국어국문학회 102 : 45-77, 1989

      65 Crystal, D., "The Cambridge Encyclopedia of Langua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7

      66 Weinreich, U., "Languages in Contact" Mouton Publishers 1953

      67 Bloomfield, L., "Language" Holt, Rinehart & Winston 1933

      68 Trudgill, P., "Dialect in Contact" Basil Blackwell 1986

      69 박형익, "21세기 국어학의 과제" 月印 723-819, 2000

      70 오새내, "20세기 수도권 지역어 연구에서 신방언 개념 도입의 필요성: 방언 평준화 현상을 중심으로" 한국어학회 36 : 165-193,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 0.3 0.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8 0.38 0.823 0.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