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SCOPUS

      항경련제 복용 환아에서 Apo E 지단백 유전자의 다형성에 따른 체중 및 지질 농도 변화에 대한 연구 = Changes of Body Weight and Lipid Profiles According to Apolipoprotein E Polymorphism in Children with Antiepileptic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55064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 Weight changes, especially weight gain, is a side effect of antiepileptics(especially valproate and carbamazepine). This may be sufficiently severe to cause noncompliance or to require the withdrawal of effective treatment. Unfortunately, the exact mechanism of weight change is not illustrated. Several reports and our experiment suggested that weight gain highly correlated with a familial tendency of obesity. The genetic makeup is a possible factor among those of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impact of obesity on lipid metabolism. The purpose of this prospective, random trial clinical study was to evaluate the coherence between the changes of weight and lipid profiles and apolipoprotein E polymorphism in children with antiepileptics.
      Methods : We studied 60 epileptic children treated with antiepileptics. We measured the body mass index and lipid profiles :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HDL-cholesterol and LDL-cholesterol. Changes of appetite and family histories of obesity were examined. The apolipoprotein E gene polymorphisms of the patients were analyzed by the amplification refractory mutation system method.
      Results : The body mass indexes of patient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all patient groups. The epileptic children who had E4 genotype showed higher frequencies of hypertriglyceridemia, hypercholesterolemia, and decreased level of HDL-cholesterol than other type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po E subtype with family histories of obesity and body mass index.
      Conclusion : An association with Apo E4 genotype and changes of serum lipid were demonstrated significantly in children on antiepileptic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po E subtype and body mass index.
      번역하기

      Purpose : Weight changes, especially weight gain, is a side effect of antiepileptics(especially valproate and carbamazepine). This may be sufficiently severe to cause noncompliance or to require the withdrawal of effective treatment. Unfortunately, th...

      Purpose : Weight changes, especially weight gain, is a side effect of antiepileptics(especially valproate and carbamazepine). This may be sufficiently severe to cause noncompliance or to require the withdrawal of effective treatment. Unfortunately, the exact mechanism of weight change is not illustrated. Several reports and our experiment suggested that weight gain highly correlated with a familial tendency of obesity. The genetic makeup is a possible factor among those of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impact of obesity on lipid metabolism. The purpose of this prospective, random trial clinical study was to evaluate the coherence between the changes of weight and lipid profiles and apolipoprotein E polymorphism in children with antiepileptics.
      Methods : We studied 60 epileptic children treated with antiepileptics. We measured the body mass index and lipid profiles :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HDL-cholesterol and LDL-cholesterol. Changes of appetite and family histories of obesity were examined. The apolipoprotein E gene polymorphisms of the patients were analyzed by the amplification refractory mutation system method.
      Results : The body mass indexes of patient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all patient groups. The epileptic children who had E4 genotype showed higher frequencies of hypertriglyceridemia, hypercholesterolemia, and decreased level of HDL-cholesterol than other type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po E subtype with family histories of obesity and body mass index.
      Conclusion : An association with Apo E4 genotype and changes of serum lipid were demonstrated significantly in children on antiepileptic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po E subtype and body mass index.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목 적 : 항간질 약제 복용시 나타나는 부작용으로 체중 증가와 지질 농도의 변화가 잘 알려져 있다. 이러한 체중 증가와 지질농도 이상은 비만을 일으킬 수 있으며 약물에 대한 수용도를 감소시킨다. 비만의 유전적 요인으로 알려진 Apo E는 지단백의 단백 성분으로 혈액내 지질 운반의 매개체로서 지단백 대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Apo E 다형성에 따른 고지혈증, 동맥 경화, 관상 동맥 질환 등과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가 보고되고 있으나, 소아에서 Apo E 유전자형에 관한 연구, 다형성과 체중 변화, 지질치와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다. 따라서 간질 환아에서 항간질 약제 복용시 나타나는 체중과 지질 농도의 변화가 Apo E 다형성과 가지는 관련성에 대해 연구하고자 하였다.방 법 : 2000년 12월까지 전북대학병원 소아과에서 간질로 진단, VPA과 CBZ을 투여하여서 추적 관찰(12-159개월) 중인 60명을 대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남녀 비는 각각 26명, 34명(1 : 1.3)이었다. 소아과를 방문한 초기 진찰시와 최소 12개월 정도 추적 관찰 후 한국 소아의 체중 발육치를 참고하여 체중 변화를 평가하였고 방문시 식욕 변화, 비만의 가족력에 대해 청취를 하였다. 추적 관찰 중 고밀도 지단백, 중성 지방, 콜레스테롤과 Apo E 지단백의 유전자형을 ARMS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결 과 : 최소 12개월 이상 항간질 약제 투여 후 체질량지수가 18.0±3.1에서 19.5±3.7로 증가하였다(P< 0.05). 60명 대상 환아의 Apo E 유전자 다형성의 아형분석은 E2, E3, E4형이 각각 21.6%, 61.7%, 16.7%로 E3형이 가장 많았으며, 다형성에 따른 체질량지수 변화는 서로 차이가 없었다. 이상지혈증을 보인 환아는 총 27명이었으며 E4형에서 총 7명(70%)으로 다른 형보다 의의 있게 높게 나타났다. 평균 지질농도는 정상 범위에 있었으나 E4군에서 다른 두 군보다 중성지방, 콜레스테롤, 저밀도 지단백은 의의 있게 높게 나타났고 고밀도 지단백은 의의 있게 낮게 나타났다. 식욕 증가를 보인 18명 중 12명(66.7%)은 VPA를 투여한 환아였다. 비만의 가족력 유무에 따른 환아의 비교시 식욕 증가와 체질량지수는 차이가 없었으며 Apo E 유전자 다형성과의 관련성도 없었다.
      번역하기

      목 적 : 항간질 약제 복용시 나타나는 부작용으로 체중 증가와 지질 농도의 변화가 잘 알려져 있다. 이러한 체중 증가와 지질농도 이상은 비만을 일으킬 수 있으며 약물에 대한 수용도를 감...

      목 적 : 항간질 약제 복용시 나타나는 부작용으로 체중 증가와 지질 농도의 변화가 잘 알려져 있다. 이러한 체중 증가와 지질농도 이상은 비만을 일으킬 수 있으며 약물에 대한 수용도를 감소시킨다. 비만의 유전적 요인으로 알려진 Apo E는 지단백의 단백 성분으로 혈액내 지질 운반의 매개체로서 지단백 대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Apo E 다형성에 따른 고지혈증, 동맥 경화, 관상 동맥 질환 등과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가 보고되고 있으나, 소아에서 Apo E 유전자형에 관한 연구, 다형성과 체중 변화, 지질치와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다. 따라서 간질 환아에서 항간질 약제 복용시 나타나는 체중과 지질 농도의 변화가 Apo E 다형성과 가지는 관련성에 대해 연구하고자 하였다.방 법 : 2000년 12월까지 전북대학병원 소아과에서 간질로 진단, VPA과 CBZ을 투여하여서 추적 관찰(12-159개월) 중인 60명을 대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남녀 비는 각각 26명, 34명(1 : 1.3)이었다. 소아과를 방문한 초기 진찰시와 최소 12개월 정도 추적 관찰 후 한국 소아의 체중 발육치를 참고하여 체중 변화를 평가하였고 방문시 식욕 변화, 비만의 가족력에 대해 청취를 하였다. 추적 관찰 중 고밀도 지단백, 중성 지방, 콜레스테롤과 Apo E 지단백의 유전자형을 ARMS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결 과 : 최소 12개월 이상 항간질 약제 투여 후 체질량지수가 18.0±3.1에서 19.5±3.7로 증가하였다(P< 0.05). 60명 대상 환아의 Apo E 유전자 다형성의 아형분석은 E2, E3, E4형이 각각 21.6%, 61.7%, 16.7%로 E3형이 가장 많았으며, 다형성에 따른 체질량지수 변화는 서로 차이가 없었다. 이상지혈증을 보인 환아는 총 27명이었으며 E4형에서 총 7명(70%)으로 다른 형보다 의의 있게 높게 나타났다. 평균 지질농도는 정상 범위에 있었으나 E4군에서 다른 두 군보다 중성지방, 콜레스테롤, 저밀도 지단백은 의의 있게 높게 나타났고 고밀도 지단백은 의의 있게 낮게 나타났다. 식욕 증가를 보인 18명 중 12명(66.7%)은 VPA를 투여한 환아였다. 비만의 가족력 유무에 따른 환아의 비교시 식욕 증가와 체질량지수는 차이가 없었으며 Apo E 유전자 다형성과의 관련성도 없었다.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15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Korean Journal of Pediatrics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Pediatrics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9-07-16 학회명변경 한글명 : 대한소아과학회 ->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3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소아과 -> Korean Journal of Pediatrics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18 0.18 0.1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17 0.2 0.369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