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 적 : 항간질 약제 복용시 나타나는 부작용으로 체중 증가와 지질 농도의 변화가 잘 알려져 있다. 이러한 체중 증가와 지질농도 이상은 비만을 일으킬 수 있으며 약물에 대한 수용도를 감...
목 적 : 항간질 약제 복용시 나타나는 부작용으로 체중 증가와 지질 농도의 변화가 잘 알려져 있다. 이러한 체중 증가와 지질농도 이상은 비만을 일으킬 수 있으며 약물에 대한 수용도를 감소시킨다. 비만의 유전적 요인으로 알려진 Apo E는 지단백의 단백 성분으로 혈액내 지질 운반의 매개체로서 지단백 대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Apo E 다형성에 따른 고지혈증, 동맥 경화, 관상 동맥 질환 등과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가 보고되고 있으나, 소아에서 Apo E 유전자형에 관한 연구, 다형성과 체중 변화, 지질치와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다. 따라서 간질 환아에서 항간질 약제 복용시 나타나는 체중과 지질 농도의 변화가 Apo E 다형성과 가지는 관련성에 대해 연구하고자 하였다.방 법 : 2000년 12월까지 전북대학병원 소아과에서 간질로 진단, VPA과 CBZ을 투여하여서 추적 관찰(12-159개월) 중인 60명을 대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남녀 비는 각각 26명, 34명(1 : 1.3)이었다. 소아과를 방문한 초기 진찰시와 최소 12개월 정도 추적 관찰 후 한국 소아의 체중 발육치를 참고하여 체중 변화를 평가하였고 방문시 식욕 변화, 비만의 가족력에 대해 청취를 하였다. 추적 관찰 중 고밀도 지단백, 중성 지방, 콜레스테롤과 Apo E 지단백의 유전자형을 ARMS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결 과 : 최소 12개월 이상 항간질 약제 투여 후 체질량지수가 18.0±3.1에서 19.5±3.7로 증가하였다(P< 0.05). 60명 대상 환아의 Apo E 유전자 다형성의 아형분석은 E2, E3, E4형이 각각 21.6%, 61.7%, 16.7%로 E3형이 가장 많았으며, 다형성에 따른 체질량지수 변화는 서로 차이가 없었다. 이상지혈증을 보인 환아는 총 27명이었으며 E4형에서 총 7명(70%)으로 다른 형보다 의의 있게 높게 나타났다. 평균 지질농도는 정상 범위에 있었으나 E4군에서 다른 두 군보다 중성지방, 콜레스테롤, 저밀도 지단백은 의의 있게 높게 나타났고 고밀도 지단백은 의의 있게 낮게 나타났다. 식욕 증가를 보인 18명 중 12명(66.7%)은 VPA를 투여한 환아였다. 비만의 가족력 유무에 따른 환아의 비교시 식욕 증가와 체질량지수는 차이가 없었으며 Apo E 유전자 다형성과의 관련성도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