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헤르만(F), "하이데거의 예술철학" 문예출판사 1997
2 이수정, "하이데거의 예술론" 한국하이데거학회 (7) : 209-243, 2002
3 신상희, "하이데거의 예술론" 인문학연구원 (41) : 165-190, 2008
4 염재철, "하이데거의 예술 철학: 존재, 예술, 언어" 신라대학교 예술 연구소 6 : 23-61, 2001
5 박유정, "하이데거의 미학: 존재론으로서의 예술" 한국현상학회 (66) : 27-51, 2015
6 한충수, "하이데거의 「예술 작품의 근원」에 등장하는 “국가 건립 행위”에 대한 해명" 철학사상연구소 (71) : 95-120, 2019
7 최상욱, "하이데거에게서의 예술의 본질" 한국하이데거학회 (7) : 244-274, 2002
8 최상욱, "하이데거에 있어 “위대한 예술”의 척도" 한국하이데거학회 (29) : 231-254, 2012
9 홍진후, "하이데거 예술론의 특성: 그 의미와 의의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미학예술학회 53 : 287-326, 2018
10 박유정, "하이데거 예술론에서 창작의 의미" 새한철학회 4 (4): 2004
1 헤르만(F), "하이데거의 예술철학" 문예출판사 1997
2 이수정, "하이데거의 예술론" 한국하이데거학회 (7) : 209-243, 2002
3 신상희, "하이데거의 예술론" 인문학연구원 (41) : 165-190, 2008
4 염재철, "하이데거의 예술 철학: 존재, 예술, 언어" 신라대학교 예술 연구소 6 : 23-61, 2001
5 박유정, "하이데거의 미학: 존재론으로서의 예술" 한국현상학회 (66) : 27-51, 2015
6 한충수, "하이데거의 「예술 작품의 근원」에 등장하는 “국가 건립 행위”에 대한 해명" 철학사상연구소 (71) : 95-120, 2019
7 최상욱, "하이데거에게서의 예술의 본질" 한국하이데거학회 (7) : 244-274, 2002
8 최상욱, "하이데거에 있어 “위대한 예술”의 척도" 한국하이데거학회 (29) : 231-254, 2012
9 홍진후, "하이데거 예술론의 특성: 그 의미와 의의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미학예술학회 53 : 287-326, 2018
10 박유정, "하이데거 예술론에서 창작의 의미" 새한철학회 4 (4): 2004
11 조홍준, "하이데거 예술론에서 시간의 의미 : 『존재와 시간』, 「시간과 존재」 그리고 「예술작품의 근원」을 중심으" 한국하이데거학회 (50) : 31-63, 2018
12 김경미, "칠리다와 하이데거 그리고 공간- 칠리다의 조각 작품에 대한 철학적 해석 -" 한국하이데거학회 (34) : 1-36, 2014
13 최소인, "체계와 이음- 하이데거의 『셸링: 인간적 자유의 본질』에서의 이음사유 -" 대한철학회 132 : 231-254, 2014
14 배상식, "철학과 예술의 화해: 하이데거의 존재론적 예술론" 대한철학회 76 : 161-182, 2000
15 김동한, "찢음의 예술론" 한국하이데거학회 (49) : 29-64, 2018
16 박유정, "존재의 소리와 고독 : 하이데거와 릴케" 철학연구소 28 : 197-221, 2012
17 김재현, "존재와 이음: 사이공간에 대한 성찰"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9
18 김동규, "시짓기와 사유하기 사이: 후기 하이데거 예술철학 고찰"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19 박서현, "세잔 회화에 대한 하이데거 언명의 의미" 철학사상연구소 (60) : 197-225, 2016
20 최소인, "생기와 이음 -『철학을 위한 기여』를 중심으로 -" 철학연구소 43 : 139-165, 2015
21 이선일, "다시 써보는 『예술 작품의 근원』" 한국하이데거학회 (7) : 141-168, 2002
22 Heidegger, M, "Wegmarken" 1976
23 Heidegger, M, "Unterwegs zur Sprache" 1985
24 Heidegger, M, "Sein und Zeit" 1977
25 Heidegger, M, "Holzwege" 1977
26 Heidegger, M, "Holzwege" 1977
27 Heidegger, M, "Beiträge zur Philosophie(Vom Ereignis)" 19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