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이음의 예술론 = Heidegger's discourse on an art of connect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53540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interprets Heidegger's "The Origin of Art Work" in relation to the connectedness in his later works. Connectedness plays a key role in Heidegger's subsequential project which centers on thinking on "event", but it has not received much attention in terms of its close relation to Heidegger's discourse on art. This article explains this relationship by reinterpreting "The Origin of Art Work," considered to contain the essence of Heidegger's discourse on art, in terms of connectedness. To this end, Chapter 2 provides an overview of Heidegger's thinking on connectedness, and Chapters 3 and 4 elucidate the relation between the concept of truth as an "un-concealment" that arises in art and Heidegger's connectedness, through which excellence in art will be explained. Then, Chapter 5 analyzes Heidegger's explanation of how an artist is and reveals that his consideration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Being and Dasein unfold along a path of connectedness.
      번역하기

      This article interprets Heidegger's "The Origin of Art Work" in relation to the connectedness in his later works. Connectedness plays a key role in Heidegger's subsequential project which centers on thinking on "event", but it has not received much at...

      This article interprets Heidegger's "The Origin of Art Work" in relation to the connectedness in his later works. Connectedness plays a key role in Heidegger's subsequential project which centers on thinking on "event", but it has not received much attention in terms of its close relation to Heidegger's discourse on art. This article explains this relationship by reinterpreting "The Origin of Art Work," considered to contain the essence of Heidegger's discourse on art, in terms of connectedness. To this end, Chapter 2 provides an overview of Heidegger's thinking on connectedness, and Chapters 3 and 4 elucidate the relation between the concept of truth as an "un-concealment" that arises in art and Heidegger's connectedness, through which excellence in art will be explained. Then, Chapter 5 analyzes Heidegger's explanation of how an artist is and reveals that his consideration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Being and Dasein unfold along a path of connectednes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하이데거의 「예술작품의 근원」을 후기 하이데거의 ‘이음 사유’와 관련지어 해석한다. 이음 사유는 ‘생기’에 대한 사유를 중심으로 하는 후기 하이데거의 기획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한다. 그런데 이러한 이음 사유가 하이데거의 예술론과 매우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는 사실은 크게 주목받지 못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이에 본 논문은 하이데거 예술론의 정수를 담고 있다고 평가받는 「예술작품의 근원」을 이음 사유와 관련지어 새롭게 해석함으로써, 하이데거의 이음 사유가 그의 예술론과 맺고 있는 밀접한 연관을 해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우선 하이데거의 이음 사유에 대한 개관이 제시될 것이다. 이어 3장과 4장에서는 「예술작품의 근원」에서 제시되는 ‘비-은폐성’으로서의 진리 개념이 이음 사유와 어떠한 관련을 맺고 있는지, 그리고 거기서 예술작품은 과연 어떠한 존재자로서 해명되고 있는지가 밝혀질 것이다. 5장에서는 예술가의 존재 방식에 대한 하이데거의 해명을 분석함으로써, 존재와 인간의 관계에 대한 하이데거의 숙고가 마찬가지로 이음 사유의 궤도를 따라 전개되고 있다는 점이 밝혀질 것이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하이데거의 「예술작품의 근원」을 후기 하이데거의 ‘이음 사유’와 관련지어 해석한다. 이음 사유는 ‘생기’에 대한 사유를 중심으로 하는 후기 하이데거의 기획에서 중추적...

      본 논문은 하이데거의 「예술작품의 근원」을 후기 하이데거의 ‘이음 사유’와 관련지어 해석한다. 이음 사유는 ‘생기’에 대한 사유를 중심으로 하는 후기 하이데거의 기획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한다. 그런데 이러한 이음 사유가 하이데거의 예술론과 매우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는 사실은 크게 주목받지 못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이에 본 논문은 하이데거 예술론의 정수를 담고 있다고 평가받는 「예술작품의 근원」을 이음 사유와 관련지어 새롭게 해석함으로써, 하이데거의 이음 사유가 그의 예술론과 맺고 있는 밀접한 연관을 해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우선 하이데거의 이음 사유에 대한 개관이 제시될 것이다. 이어 3장과 4장에서는 「예술작품의 근원」에서 제시되는 ‘비-은폐성’으로서의 진리 개념이 이음 사유와 어떠한 관련을 맺고 있는지, 그리고 거기서 예술작품은 과연 어떠한 존재자로서 해명되고 있는지가 밝혀질 것이다. 5장에서는 예술가의 존재 방식에 대한 하이데거의 해명을 분석함으로써, 존재와 인간의 관계에 대한 하이데거의 숙고가 마찬가지로 이음 사유의 궤도를 따라 전개되고 있다는 점이 밝혀질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헤르만(F), "하이데거의 예술철학" 문예출판사 1997

      2 이수정, "하이데거의 예술론" 한국하이데거학회 (7) : 209-243, 2002

      3 신상희, "하이데거의 예술론" 인문학연구원 (41) : 165-190, 2008

      4 염재철, "하이데거의 예술 철학: 존재, 예술, 언어" 신라대학교 예술 연구소 6 : 23-61, 2001

      5 박유정, "하이데거의 미학: 존재론으로서의 예술" 한국현상학회 (66) : 27-51, 2015

      6 한충수, "하이데거의 「예술 작품의 근원」에 등장하는 “국가 건립 행위”에 대한 해명" 철학사상연구소 (71) : 95-120, 2019

      7 최상욱, "하이데거에게서의 예술의 본질" 한국하이데거학회 (7) : 244-274, 2002

      8 최상욱, "하이데거에 있어 “위대한 예술”의 척도" 한국하이데거학회 (29) : 231-254, 2012

      9 홍진후, "하이데거 예술론의 특성: 그 의미와 의의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미학예술학회 53 : 287-326, 2018

      10 박유정, "하이데거 예술론에서 창작의 의미" 새한철학회 4 (4): 2004

      1 헤르만(F), "하이데거의 예술철학" 문예출판사 1997

      2 이수정, "하이데거의 예술론" 한국하이데거학회 (7) : 209-243, 2002

      3 신상희, "하이데거의 예술론" 인문학연구원 (41) : 165-190, 2008

      4 염재철, "하이데거의 예술 철학: 존재, 예술, 언어" 신라대학교 예술 연구소 6 : 23-61, 2001

      5 박유정, "하이데거의 미학: 존재론으로서의 예술" 한국현상학회 (66) : 27-51, 2015

      6 한충수, "하이데거의 「예술 작품의 근원」에 등장하는 “국가 건립 행위”에 대한 해명" 철학사상연구소 (71) : 95-120, 2019

      7 최상욱, "하이데거에게서의 예술의 본질" 한국하이데거학회 (7) : 244-274, 2002

      8 최상욱, "하이데거에 있어 “위대한 예술”의 척도" 한국하이데거학회 (29) : 231-254, 2012

      9 홍진후, "하이데거 예술론의 특성: 그 의미와 의의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미학예술학회 53 : 287-326, 2018

      10 박유정, "하이데거 예술론에서 창작의 의미" 새한철학회 4 (4): 2004

      11 조홍준, "하이데거 예술론에서 시간의 의미 : 『존재와 시간』, 「시간과 존재」 그리고 「예술작품의 근원」을 중심으" 한국하이데거학회 (50) : 31-63, 2018

      12 김경미, "칠리다와 하이데거 그리고 공간- 칠리다의 조각 작품에 대한 철학적 해석 -" 한국하이데거학회 (34) : 1-36, 2014

      13 최소인, "체계와 이음- 하이데거의 『셸링: 인간적 자유의 본질』에서의 이음사유 -" 대한철학회 132 : 231-254, 2014

      14 배상식, "철학과 예술의 화해: 하이데거의 존재론적 예술론" 대한철학회 76 : 161-182, 2000

      15 김동한, "찢음의 예술론" 한국하이데거학회 (49) : 29-64, 2018

      16 박유정, "존재의 소리와 고독 : 하이데거와 릴케" 철학연구소 28 : 197-221, 2012

      17 김재현, "존재와 이음: 사이공간에 대한 성찰"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9

      18 김동규, "시짓기와 사유하기 사이: 후기 하이데거 예술철학 고찰"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19 박서현, "세잔 회화에 대한 하이데거 언명의 의미" 철학사상연구소 (60) : 197-225, 2016

      20 최소인, "생기와 이음 -『철학을 위한 기여』를 중심으로 -" 철학연구소 43 : 139-165, 2015

      21 이선일, "다시 써보는 『예술 작품의 근원』" 한국하이데거학회 (7) : 141-168, 2002

      22 Heidegger, M, "Wegmarken" 1976

      23 Heidegger, M, "Unterwegs zur Sprache" 1985

      24 Heidegger, M, "Sein und Zeit" 1977

      25 Heidegger, M, "Holzwege" 1977

      26 Heidegger, M, "Holzwege" 1977

      27 Heidegger, M, "Beiträge zur Philosophie(Vom Ereignis)" 198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9-0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존재론 연구 -> 현대유럽철학연구
      외국어명 : Heidegger Studien -> Researches in Contemporary European Philosophy
      KCI등재
      2015-06-15 통합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5-0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하이데거 연구 -> 존재론 연구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3-23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하이데거 연구
      외국어명 : Heidegger Studien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7 0.47 0.3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8 0.41 1.106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