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창의인성검사(CPI)의 타당화 및 초등학생 창의인성 특성과 수준 분석 = Validation of Creative Personality Inventory (CPI) and Korean Elementary Students’Creative Personal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79694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develop Creativity Personality Inventory (CPI) with acceptable validity and reliability and to apply this measure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and the levels of Korean elementary students’ creative personality. The subjects were 1,139 third- and six-graders from six elementary schools in Seoul. Through the extensive literature review and several experts group meetings, initial sub-categories and items of the creative personality measure were extracted,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es were performed in two pilot studies to finalize CPI with a total of 33 items and 7 sub-categories. This newly developed CPI was used to analyze the elementary students’ creative personality. A grade (2) x sex (2) MANOVA on the students’ CPI scores revealed overall main effects of grade and sex. A series of two-way ANOVAs yielded many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cross grades and genders in the various aspects of students’ creative personality.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develop Creativity Personality Inventory (CPI) with acceptable validity and reliability and to apply this measure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and the levels of Korean elementary students’ creative personality. The 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develop Creativity Personality Inventory (CPI) with acceptable validity and reliability and to apply this measure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and the levels of Korean elementary students’ creative personality. The subjects were 1,139 third- and six-graders from six elementary schools in Seoul. Through the extensive literature review and several experts group meetings, initial sub-categories and items of the creative personality measure were extracted,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es were performed in two pilot studies to finalize CPI with a total of 33 items and 7 sub-categories. This newly developed CPI was used to analyze the elementary students’ creative personality. A grade (2) x sex (2) MANOVA on the students’ CPI scores revealed overall main effects of grade and sex. A series of two-way ANOVAs yielded many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cross grades and genders in the various aspects of students’ creative personalit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창의인성검사(CPI)를 개발하고 타당도와 신뢰도 분석을 통해 타당화한 후, 초등학생들의 창의인성 특성과 수준을 확인하였다. 선행연구 분석 후 전문가협의회를 통해 창의인성의 14개 하위요인들과 98문항을 초기 도출하였고, 두 차례의 예비조사를 통해 수정 보완하여 인내와 열정, 유머, 자신감, 모험과 도전, 호기심, 개방과 자율, 상상이라는 최종 7개 하위요인 총 33문항으로 구성된 창의인성검사(CPI)를 확정하였다. 개발한 CPI를 활용하여 서울 소재 6개 초등학교 3학년과 6학년 총 1,139명을 대상으로 본조사를 실시하여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인한 결과, CPI와 Gough의 창의적 인성 척도와의 상관계수는 .53으로 나타났으며, CPI의 RMSEA 지수는 .072로 양호하게 나타났고 전체 신뢰도 계수는 .93이었다. 한편 수집한 응답 자료에 대해 학년(2) x 성별(2) 이원다변량분산분석(a two-way MANOVA)과 8개의 이원분산분석(two-way ANOVAs)을 실시한 결과 총점을 제외한 하위요인 전반에 걸쳐 학년과 성별 주효과가 있었으며, 유머, 모험과 도전, 개방과 자율 등 각 하위요인별로 학년과 성별로 유의미한 차이들이 확인되었고, 이에 따른 교육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창의인성검사(CPI)를 개발하고 타당도와 신뢰도 분석을 통해 타당화한 후, 초등학생들의 창의인성 특성과 수준을 확인하였다. 선행연구 분석 후 전문가협의회를 통해 창의인...

      본 연구에서는 창의인성검사(CPI)를 개발하고 타당도와 신뢰도 분석을 통해 타당화한 후, 초등학생들의 창의인성 특성과 수준을 확인하였다. 선행연구 분석 후 전문가협의회를 통해 창의인성의 14개 하위요인들과 98문항을 초기 도출하였고, 두 차례의 예비조사를 통해 수정 보완하여 인내와 열정, 유머, 자신감, 모험과 도전, 호기심, 개방과 자율, 상상이라는 최종 7개 하위요인 총 33문항으로 구성된 창의인성검사(CPI)를 확정하였다. 개발한 CPI를 활용하여 서울 소재 6개 초등학교 3학년과 6학년 총 1,139명을 대상으로 본조사를 실시하여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인한 결과, CPI와 Gough의 창의적 인성 척도와의 상관계수는 .53으로 나타났으며, CPI의 RMSEA 지수는 .072로 양호하게 나타났고 전체 신뢰도 계수는 .93이었다. 한편 수집한 응답 자료에 대해 학년(2) x 성별(2) 이원다변량분산분석(a two-way MANOVA)과 8개의 이원분산분석(two-way ANOVAs)을 실시한 결과 총점을 제외한 하위요인 전반에 걸쳐 학년과 성별 주효과가 있었으며, 유머, 모험과 도전, 개방과 자율 등 각 하위요인별로 학년과 성별로 유의미한 차이들이 확인되었고, 이에 따른 교육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연순, "학생 창의성 발현을 돕기 위한 교수-학습 모형 탐색" 대한사고개발학회 9 (9): 1-22, 2013

      2 金鍾安, "통합적 접근에 기초한 아동의 창의성 측정 도구 개발" 성균관대학교 1998

      3 유경훈, "초등학생의 창의적사고, 창의적인성의 상·하집단 간 창의적산물 수준차이연구" 한국창의력교육학회 11 (11): 67-86, 2011

      4 박성익, "초등학생의 성취목표 동기유형과 창의적 사고력·창의적 인성 간의 관계분석" 한국교육심리학회 24 (24): 139-160, 2010

      5 신문승, "초등학생용 창의적 성향 검사의 개발 및 타당화" 한국초등교육학회 23 (23): 267-291, 2010

      6 이은희, "초등영재와 일반학생의 정서지능과 창의적 성향 비교" 대구교육대학교 2013

      7 하주현, "창의적 인성 검사(CPS)의 연령별 타당화 및 연령별 발달경향연구" 15 (15): 323-351, 2001

      8 하주현, "창의적 인성 검사 개발" 14 (14): 187-210, 2000

      9 박상범, "창의적 성향·환경·과정 척도(C-DEPs)의 개발 및 타당화" 한국교육심리학회 21 (21): 905-922, 2007

      10 김미숙, "창의역량 측정지표 및 도구개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2

      1 조연순, "학생 창의성 발현을 돕기 위한 교수-학습 모형 탐색" 대한사고개발학회 9 (9): 1-22, 2013

      2 金鍾安, "통합적 접근에 기초한 아동의 창의성 측정 도구 개발" 성균관대학교 1998

      3 유경훈, "초등학생의 창의적사고, 창의적인성의 상·하집단 간 창의적산물 수준차이연구" 한국창의력교육학회 11 (11): 67-86, 2011

      4 박성익, "초등학생의 성취목표 동기유형과 창의적 사고력·창의적 인성 간의 관계분석" 한국교육심리학회 24 (24): 139-160, 2010

      5 신문승, "초등학생용 창의적 성향 검사의 개발 및 타당화" 한국초등교육학회 23 (23): 267-291, 2010

      6 이은희, "초등영재와 일반학생의 정서지능과 창의적 성향 비교" 대구교육대학교 2013

      7 하주현, "창의적 인성 검사(CPS)의 연령별 타당화 및 연령별 발달경향연구" 15 (15): 323-351, 2001

      8 하주현, "창의적 인성 검사 개발" 14 (14): 187-210, 2000

      9 박상범, "창의적 성향·환경·과정 척도(C-DEPs)의 개발 및 타당화" 한국교육심리학회 21 (21): 905-922, 2007

      10 김미숙, "창의역량 측정지표 및 도구개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2

      11 김미숙, "중학생 영재의 지적・정의적 특성에따른 효과적인 교수학습 전략 탐색" 한국교육개발원 2004

      12 전헌선, "중등학교 교사가 지각한 창의적 인성 특성 연구" 대한사고개발학회 4 (4): 19-32, 2008

      13 김청자, "중·고등학생들의 창의력과 창의성 간의 관계 연구" 14 : 1-22, 2004

      14 이경화, "유아·초등학생용『한국형 개별 창의성검사』개발" 한국교육심리학회 19 (19): 1023-1042, 2005

      15 정미선, "연령에 따른 창의적 사고와 창의적 성격의 발달경향" 대한사고개발학회 6 (6): 69-88, 2010

      16 성은현, "비교문화적 관점에서 본 한국적 창의성의 통합 모형 탐구" 한국영재교육학회 8 (8): 43-61, 2009

      17 정소임, "동화를 통한 창의적 문제해결 경험이 아동의 창의적 성향과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2013

      18 金惠淑, "다원적 접근에 기초한 창의성 진단 측정도구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1999

      19 김영채, "검사요강 당신은 어떠한 사람인가?" 창의력 한국 FPSP 2004

      20 강소영, "간호학 문제중심학습에 기초한 창의성통합교육모형(C-PBL) 개발 및효과" 한국간호교육학회 17 (17): 435-445, 2011

      21 Gough, H. G., "The California Psychological Inventory"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51

      22 Hoff, E. V., "Shining lights or lone wolves? Creativity and self image in primary school children" 36 (36): 17-40, 2002

      23 Davis, G. A., "Group Inventory for Finding Interests (GIFFI) Ⅰ and Ⅱ: Instruments for identifying creative potential in the junior and senior high school" 16 (16): 50-57, 1982

      24 Guilford, J. P., "Creativity" 5 : 444-454, 1950

      25 Rhodes, M., "An analysis of creativity" 42 : 305-310, 1961

      26 Gough, H. G., "A creative personality scale for the Adjective Check List" 37 : 1398-1405, 1979

      27 정미선, "2001-2012년 창의력관련 연구의 통합적 분석" 대한사고개발학회 9 (9): 1-26,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4 1.34 1.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57 1.48 2.197 0.4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