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신종호, "학교 현장 적용을 위한 고등사고력 교육의 원칙 및 제한점" 대한사고개발학회 9 (9): 71-98, 2013
2 김정섭, "초등 영재의 비판적 사고 특성" 대한사고개발학회 1 (1): 69-89, 2005
3 조석희, "창의적 문제 해결력 구성 요소간의 역동적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분석" 대한사고개발학회 9 (9): 47-69, 2013
4 김영정, "창의성과 비판적 사고" 한국인지과학회 13 (13): 81-90, 2002
5 최석민, "창의성 교육의 원리탐색: 몰입의 원리" 29-44, 2004
6 김종두, "창의력 신장을 위한 교수-학습 방법의 개선" 221-235, 2004
7 김철민, "자기 첨삭 활동을 통한 논술 능력 향상 방안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2010
8 김혜민, "일반사회 교과서를 활용한 논술 교육 방안 : 고등학교 사회·문화, 경제, 정치, 법과 사회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2011
9 김정섭, "우화를 통한 비판적 사고 교육 가능성 탐색: 초등학생용" 대한사고개발학회 2 (2): 41-59, 2006
10 허경철, "사고력 교육의 내실화를 위한 평가 방안 탐색" 대한사고개발학회 9 (9): 119-141, 2013
1 신종호, "학교 현장 적용을 위한 고등사고력 교육의 원칙 및 제한점" 대한사고개발학회 9 (9): 71-98, 2013
2 김정섭, "초등 영재의 비판적 사고 특성" 대한사고개발학회 1 (1): 69-89, 2005
3 조석희, "창의적 문제 해결력 구성 요소간의 역동적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분석" 대한사고개발학회 9 (9): 47-69, 2013
4 김영정, "창의성과 비판적 사고" 한국인지과학회 13 (13): 81-90, 2002
5 최석민, "창의성 교육의 원리탐색: 몰입의 원리" 29-44, 2004
6 김종두, "창의력 신장을 위한 교수-학습 방법의 개선" 221-235, 2004
7 김철민, "자기 첨삭 활동을 통한 논술 능력 향상 방안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2010
8 김혜민, "일반사회 교과서를 활용한 논술 교육 방안 : 고등학교 사회·문화, 경제, 정치, 법과 사회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2011
9 김정섭, "우화를 통한 비판적 사고 교육 가능성 탐색: 초등학생용" 대한사고개발학회 2 (2): 41-59, 2006
10 허경철, "사고력 교육의 내실화를 위한 평가 방안 탐색" 대한사고개발학회 9 (9): 119-141, 2013
11 김영채, "사고력 교육" 유원북스 2012
12 김영정, "비판적 사고와 학습의 3단계" 53 (53): 78-83, 2005
13 한상기, "비판적 사고와 논리" 서광사 2007
14 김광수, "비판적 사고론" 철학연구회 58 : 5-43, 2002
15 이좌영, "비판적 사고(성숙한 이성으로의 길)" 성균관대학교출판부 2011
16 박정하, "박정하 교수의 논술 에센스" 동아일보사 2007
17 김숙자, "독서교육을 통한 동합 논술교육의 효율적인 방안 연구" 한국국어교육학회 (84) : 81-108, 2010
18 황순재, "논술의 원리와 실제" 세종출판사 2000
19 양용칠, "기초적 사고 기능의 개발을 위한 수업 조건" 대한사고개발학회 9 (9): 23-46, 2013
20 윤영진, "R. M. Hare의 황금률 논증에 의한 도덕판단의 정당화 방법 연구" 대한사고개발학회 8 (8): 23-46, 2012
21 김영정, "EBS 사고와 논술" EBS한국교육방송공사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