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비판적 사고력 교육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대입논술작성에 미치는 효과 = An Effect of Critical Thinking Programs on Essay Writing Skills for High School Stud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79694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mpirically prove how effectively critical thinking programs may have an impact on essay-writing skills for high school students. For this, the study attempted to pay more attention on the link between the role of critical thinking and the principle of essay evaluation. In particular, the eight-week education programs were designed to improve critical thinking skills on the basis of in-depth, diversity, and transference to other areas.
      It was found that 14% of all the participants passed the pre essay test while the rate of success increased to 92% in the post essay test. In other words, the introduction of the critical thinking programs significantly contributed to improving students’ essay-writing skills. The bottom line is that critical thinking skills can be effectively learned through participation in the programs, which would be applied to the curriculum development in terms of critical thinking and essay writing skills.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to empirically prove how effectively critical thinking programs may have an impact on essay-writing skills for high school students. For this, the study attempted to pay more attention on the link between the role of critical thinking ...

      This study aims to empirically prove how effectively critical thinking programs may have an impact on essay-writing skills for high school students. For this, the study attempted to pay more attention on the link between the role of critical thinking and the principle of essay evaluation. In particular, the eight-week education programs were designed to improve critical thinking skills on the basis of in-depth, diversity, and transference to other areas.
      It was found that 14% of all the participants passed the pre essay test while the rate of success increased to 92% in the post essay test. In other words, the introduction of the critical thinking programs significantly contributed to improving students’ essay-writing skills. The bottom line is that critical thinking skills can be effectively learned through participation in the programs, which would be applied to the curriculum development in terms of critical thinking and essay writing skill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대학 입시과정에서 논술시험을 통해 비판적 사고의 중요성이 점차 강조되고 있는 상황에서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논술수준 향상을 위해 비판적 사고력 교육프로그램의 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비판적 사고력과 논술 평가 원리 간 유사점에 주목하였고 비판적 사고력 함양을 위한 교육을 논술교육에 접목하는 방식으로 설계하였다. 이를 위해 비판적 사고력의 주요 구성 요소인 심층성과 다각성 그리고 영역 전이성을 근간으로 하는 교육 프로그램이 구성되었다.
      실험 연구는 비판적 사고력 교육 전후 비교를 위해 동일 대상에 대한 사전 및 사후 검사로 두 차례에 걸쳐 진행되었다. 연구 결과, 14%에 불과했던 1차 통과자 비율이 비판적 사고력 학습이 진행된 이후에 92%로 증가하였다. 뿐만 아니라 개별논술 답안의 점수 역시 유의하게 상승하는 결과를 통해 비판적 사고력 교육의 효과를 통계적으로 검증할 수 있었다. 이처럼, 본 연구는 비판적 사고력이 체계적인 교육훈련을 통해 습득되고 개발될 수 있다는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으며 비판적 사고력 향상을 위한 교육과정의 개발에 유용한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최근 대학 입시과정에서 논술시험을 통해 비판적 사고의 중요성이 점차 강조되고 있는 상황에서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논술수준 향상을 위해 비판적 사고력 교육프로그램의 효과를 실증적...

      최근 대학 입시과정에서 논술시험을 통해 비판적 사고의 중요성이 점차 강조되고 있는 상황에서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논술수준 향상을 위해 비판적 사고력 교육프로그램의 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비판적 사고력과 논술 평가 원리 간 유사점에 주목하였고 비판적 사고력 함양을 위한 교육을 논술교육에 접목하는 방식으로 설계하였다. 이를 위해 비판적 사고력의 주요 구성 요소인 심층성과 다각성 그리고 영역 전이성을 근간으로 하는 교육 프로그램이 구성되었다.
      실험 연구는 비판적 사고력 교육 전후 비교를 위해 동일 대상에 대한 사전 및 사후 검사로 두 차례에 걸쳐 진행되었다. 연구 결과, 14%에 불과했던 1차 통과자 비율이 비판적 사고력 학습이 진행된 이후에 92%로 증가하였다. 뿐만 아니라 개별논술 답안의 점수 역시 유의하게 상승하는 결과를 통해 비판적 사고력 교육의 효과를 통계적으로 검증할 수 있었다. 이처럼, 본 연구는 비판적 사고력이 체계적인 교육훈련을 통해 습득되고 개발될 수 있다는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으며 비판적 사고력 향상을 위한 교육과정의 개발에 유용한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신종호, "학교 현장 적용을 위한 고등사고력 교육의 원칙 및 제한점" 대한사고개발학회 9 (9): 71-98, 2013

      2 김정섭, "초등 영재의 비판적 사고 특성" 대한사고개발학회 1 (1): 69-89, 2005

      3 조석희, "창의적 문제 해결력 구성 요소간의 역동적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분석" 대한사고개발학회 9 (9): 47-69, 2013

      4 김영정, "창의성과 비판적 사고" 한국인지과학회 13 (13): 81-90, 2002

      5 최석민, "창의성 교육의 원리탐색: 몰입의 원리" 29-44, 2004

      6 김종두, "창의력 신장을 위한 교수-학습 방법의 개선" 221-235, 2004

      7 김철민, "자기 첨삭 활동을 통한 논술 능력 향상 방안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2010

      8 김혜민, "일반사회 교과서를 활용한 논술 교육 방안 : 고등학교 사회·문화, 경제, 정치, 법과 사회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2011

      9 김정섭, "우화를 통한 비판적 사고 교육 가능성 탐색: 초등학생용" 대한사고개발학회 2 (2): 41-59, 2006

      10 허경철, "사고력 교육의 내실화를 위한 평가 방안 탐색" 대한사고개발학회 9 (9): 119-141, 2013

      1 신종호, "학교 현장 적용을 위한 고등사고력 교육의 원칙 및 제한점" 대한사고개발학회 9 (9): 71-98, 2013

      2 김정섭, "초등 영재의 비판적 사고 특성" 대한사고개발학회 1 (1): 69-89, 2005

      3 조석희, "창의적 문제 해결력 구성 요소간의 역동적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분석" 대한사고개발학회 9 (9): 47-69, 2013

      4 김영정, "창의성과 비판적 사고" 한국인지과학회 13 (13): 81-90, 2002

      5 최석민, "창의성 교육의 원리탐색: 몰입의 원리" 29-44, 2004

      6 김종두, "창의력 신장을 위한 교수-학습 방법의 개선" 221-235, 2004

      7 김철민, "자기 첨삭 활동을 통한 논술 능력 향상 방안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2010

      8 김혜민, "일반사회 교과서를 활용한 논술 교육 방안 : 고등학교 사회·문화, 경제, 정치, 법과 사회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2011

      9 김정섭, "우화를 통한 비판적 사고 교육 가능성 탐색: 초등학생용" 대한사고개발학회 2 (2): 41-59, 2006

      10 허경철, "사고력 교육의 내실화를 위한 평가 방안 탐색" 대한사고개발학회 9 (9): 119-141, 2013

      11 김영채, "사고력 교육" 유원북스 2012

      12 김영정, "비판적 사고와 학습의 3단계" 53 (53): 78-83, 2005

      13 한상기, "비판적 사고와 논리" 서광사 2007

      14 김광수, "비판적 사고론" 철학연구회 58 : 5-43, 2002

      15 이좌영, "비판적 사고(성숙한 이성으로의 길)" 성균관대학교출판부 2011

      16 박정하, "박정하 교수의 논술 에센스" 동아일보사 2007

      17 김숙자, "독서교육을 통한 동합 논술교육의 효율적인 방안 연구" 한국국어교육학회 (84) : 81-108, 2010

      18 황순재, "논술의 원리와 실제" 세종출판사 2000

      19 양용칠, "기초적 사고 기능의 개발을 위한 수업 조건" 대한사고개발학회 9 (9): 23-46, 2013

      20 윤영진, "R. M. Hare의 황금률 논증에 의한 도덕판단의 정당화 방법 연구" 대한사고개발학회 8 (8): 23-46, 2012

      21 김영정, "EBS 사고와 논술" EBS한국교육방송공사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4 1.34 1.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57 1.48 2.197 0.4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