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주민 참여형 탄소중립 마을실천전략 수립 및 확산방안 마련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E176465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1. Current Status of Carbon-Neutral Communities in Korea
      The Framework Act on Carbon Neutrality and Green Growth for Coping With Climate Crisis proposes a process for “spreading participatory carbon-neutral communities nationwide,” but changes in support policies and budgets are raising difficulties for continued operation. Due to the reduction of convergence support projects by the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energy-independent communities in various local governments, including Busan, are also shrinking in size. The Ministry of Environment also sought to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by encouraging community organization and living practices through the Carbon Neutral-Living Practice Leading community, but the budget for 2024 was entirely cut due to insufficient carbon reduction results. Accordingly, interviews with key stakeholders (government, businesses, and local activists) revealed a lack of consistency in the legal framework (regulations, budget support, and incentives) due to weak linkages within the legal system (see Table 1).
      2. Comparison of Operational System and Processes between Carbon-Neutral Communities in Korea and Abroad
      We selected Germany as a European country that is leading the way in operating carbon-neutral communities and Japan as an Asian country, to compare the processes of operating carbon-neutral landfills in Korea. In overseas guidelines for carbon- neutral communities, companies are involved from the planning stage, become key actors in renewable energy and emission reduction in the implementation stage, and organize monitoring results. In contrast, in Korea, companies are not involved in the planning, implementation, and monitoring stages (see Table 2). In Germany, companies are involved in the planning, implementation, and monitoring phases, with the government playing a role in developing plans with residents, raising and investing funds through initiatives, and monitoring and auditing companies’ performance. In Japan, banks were involved in raising funds, and intermediary support organizations invested the funds in companies, provided consulting, and managed performance. In Korea, although the law allows for company participation, the focus has been on participatory energy conservation, with residents applying to the government’s competition to generate and reduce energy.
      A comparison of Korean, German, and Japanese carbon-neutral community legislation shows that the participation (obligations and benefits) of businesses is weak in Korean ordinances (see Table 3). In Germany, the Berlin Climate Protection and Energy Transition Act designates companies, institutions, foundations, religious communities, corporations, and associations as public authorities and assigns them roles. The Japanese central government’s Global Warming Law provides special exemptions for companies participating in local projects, and the Kyoto City Climate Warming Ordinance at the local level specifies the functions and roles of various companies (financial institutions, energy companies, building owners, automobile manufacturers, IT companies, etc.). In comparison, Korea’s local ordinance for carbon-neutral communities limits business participation to the promotion committee, and the types and forms of participating companies remain unclear.
      3. Policy Recommendations for Carbon-Neutral Community
      This study proposes strengthening corporate investment, providing detailed information to local businesses, fostering specialized institutions and human resources for energy welfare and conflict management, and preparing guidelines (processes) for each type (see Figure 1). Additionally, we propose a participation structure outlining the roles and benefits of companies to establish stable financial resources for carbon-neutral communities. The government has proposed establishing a foundation for corporate investment (accountability, funding, and related deregulation), and developing an information system for local businesses to participate. Citizens would be able to participate in decision-making, investment, and the supervision of related projects. Businesses would be required to contribute to environmental and economic analysis by providing assessment information and registering relevant data in the information system. A participation system is proposed for each business type (IT, banking, building owners), with a process specific to each type. For single-family houses, guidelines for forming an intermediate support organization using local residents' associations for related projects and activities are necessary, while for apartments, guidelines for utilizing existing residents' organizations should be developed.
      4. Proposal for Standard Ordinance on Carbon-Neutral Communities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wording of the Basic Act on Carbon Neutral and Green Growth in Korea, regarding informatization for corporate investment and performance verification for each local project. Additionally, local ordinances on carbon neutrality and green growth, as well as ordinances for creating carbon-neutral communities, should include special exemptions (incentives and deregulation) and obligations (information provision, education, and contributions to local revitalization) for corporate investment in related projects.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an improved carbon neutrality ordinance based on the Yeosu City Carbon Neutrality Basic Ordinance and the Carbon-Neutral Community Creation Ordinance, the first of its kind in Korea. This ordinance would complement the corporate participation elements of the Basic Act on Carbon Neutrality and Green Growth, and would include provisions on corporate participation, informatization, support for vulnerable groups, conflict management, and processes (see Table 4 & 5). The improved carbon-neutral community ordinance will enhance corporate investment and participation, providing a foundation for stable operation without relying on government support, and the information system will allow the community to access all the quantified information, which will aid in performance management and future planning. Corporate participation will also create opportunities to secure environmental and economic benefits through preliminary reviews of carbon neutrality projects. To this end, the city will provide special cases to participating companies to contribute to local revitalization. By initially applying carbon-neutral communities to vulnerable areas and regions, it will help realize energy welfare in those areas, and it will be possible to add conflict management responsibilities to the support center and carry out specialized management for each type of housing.
      번역하기

      1. Current Status of Carbon-Neutral Communities in Korea The Framework Act on Carbon Neutrality and Green Growth for Coping With Climate Crisis proposes a process for “spreading participatory carbon-neutral communities nationwide,” but changes in ...

      1. Current Status of Carbon-Neutral Communities in Korea
      The Framework Act on Carbon Neutrality and Green Growth for Coping With Climate Crisis proposes a process for “spreading participatory carbon-neutral communities nationwide,” but changes in support policies and budgets are raising difficulties for continued operation. Due to the reduction of convergence support projects by the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energy-independent communities in various local governments, including Busan, are also shrinking in size. The Ministry of Environment also sought to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by encouraging community organization and living practices through the Carbon Neutral-Living Practice Leading community, but the budget for 2024 was entirely cut due to insufficient carbon reduction results. Accordingly, interviews with key stakeholders (government, businesses, and local activists) revealed a lack of consistency in the legal framework (regulations, budget support, and incentives) due to weak linkages within the legal system (see Table 1).
      2. Comparison of Operational System and Processes between Carbon-Neutral Communities in Korea and Abroad
      We selected Germany as a European country that is leading the way in operating carbon-neutral communities and Japan as an Asian country, to compare the processes of operating carbon-neutral landfills in Korea. In overseas guidelines for carbon- neutral communities, companies are involved from the planning stage, become key actors in renewable energy and emission reduction in the implementation stage, and organize monitoring results. In contrast, in Korea, companies are not involved in the planning, implementation, and monitoring stages (see Table 2). In Germany, companies are involved in the planning, implementation, and monitoring phases, with the government playing a role in developing plans with residents, raising and investing funds through initiatives, and monitoring and auditing companies’ performance. In Japan, banks were involved in raising funds, and intermediary support organizations invested the funds in companies, provided consulting, and managed performance. In Korea, although the law allows for company participation, the focus has been on participatory energy conservation, with residents applying to the government’s competition to generate and reduce energy.
      A comparison of Korean, German, and Japanese carbon-neutral community legislation shows that the participation (obligations and benefits) of businesses is weak in Korean ordinances (see Table 3). In Germany, the Berlin Climate Protection and Energy Transition Act designates companies, institutions, foundations, religious communities, corporations, and associations as public authorities and assigns them roles. The Japanese central government’s Global Warming Law provides special exemptions for companies participating in local projects, and the Kyoto City Climate Warming Ordinance at the local level specifies the functions and roles of various companies (financial institutions, energy companies, building owners, automobile manufacturers, IT companies, etc.). In comparison, Korea’s local ordinance for carbon-neutral communities limits business participation to the promotion committee, and the types and forms of participating companies remain unclear.
      3. Policy Recommendations for Carbon-Neutral Community
      This study proposes strengthening corporate investment, providing detailed information to local businesses, fostering specialized institutions and human resources for energy welfare and conflict management, and preparing guidelines (processes) for each type (see Figure 1). Additionally, we propose a participation structure outlining the roles and benefits of companies to establish stable financial resources for carbon-neutral communities. The government has proposed establishing a foundation for corporate investment (accountability, funding, and related deregulation), and developing an information system for local businesses to participate. Citizens would be able to participate in decision-making, investment, and the supervision of related projects. Businesses would be required to contribute to environmental and economic analysis by providing assessment information and registering relevant data in the information system. A participation system is proposed for each business type (IT, banking, building owners), with a process specific to each type. For single-family houses, guidelines for forming an intermediate support organization using local residents' associations for related projects and activities are necessary, while for apartments, guidelines for utilizing existing residents' organizations should be developed.
      4. Proposal for Standard Ordinance on Carbon-Neutral Communities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wording of the Basic Act on Carbon Neutral and Green Growth in Korea, regarding informatization for corporate investment and performance verification for each local project. Additionally, local ordinances on carbon neutrality and green growth, as well as ordinances for creating carbon-neutral communities, should include special exemptions (incentives and deregulation) and obligations (information provision, education, and contributions to local revitalization) for corporate investment in related projects.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an improved carbon neutrality ordinance based on the Yeosu City Carbon Neutrality Basic Ordinance and the Carbon-Neutral Community Creation Ordinance, the first of its kind in Korea. This ordinance would complement the corporate participation elements of the Basic Act on Carbon Neutrality and Green Growth, and would include provisions on corporate participation, informatization, support for vulnerable groups, conflict management, and processes (see Table 4 & 5). The improved carbon-neutral community ordinance will enhance corporate investment and participation, providing a foundation for stable operation without relying on government support, and the information system will allow the community to access all the quantified information, which will aid in performance management and future planning. Corporate participation will also create opportunities to secure environmental and economic benefits through preliminary reviews of carbon neutrality projects. To this end, the city will provide special cases to participating companies to contribute to local revitalization. By initially applying carbon-neutral communities to vulnerable areas and regions, it will help realize energy welfare in those areas, and it will be possible to add conflict management responsibilities to the support center and carry out specialized management for each type of housing.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1. 국내 탄소중립마을 현황 및 문제점
      󰡔제1차 국가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계획(2023-2042)󰡕에서는 ‘주민 참여형 탄소중립마을 전국 확산’을 위한 프로세스를 제시하고 있지만, 지원 정책 및 예산 변경에 따라 지속적인 운영의 어려움이 제기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 융복합지원 사업 축소로 인해 부산을 비롯한 다양한 지자체의 에너지자립마을도 사업규모가 축소되고 있다. 환경부도 탄소중립 생활실천 선도마을을 통해 공동체 조직 구성 및 생활실천을 장려함으로써 온실가스 배출량을 저감하고자 하였으나 탄소저감 성과 부재를 이유로 2024년 예산을 전액 삭감하였다. 이에 주요 이해당사자 인터뷰(정부, 기업, 지역활동가) 결과, 법제도상의 연계성 부족으로 인한 관련 법제도(규제, 예산 지원 및 인센티브)의 일관성 부족을 문제로 삼았다(표 1 참조).
      1. 국내외 탄소중립마을 관련 운영 제도 및 프로세스 비교
      탄소중립마을을 선도적으로 운영하고 있는 유럽국가로 독일, 아시아권 국가로 일본을 선정하여 국내 탄소중립마을 운영 프로세스와 비교해보았다. 해외 탄소중립마을 지침에서는 기업이 계획단계부터 참여하고, 실행단계에서 재생에너지 및 배출가스의 저감의 주체가 되며, 모니터링 결과도 정리하는 것에 비해, 국내에서는 기업이 계획, 실행, 모니터링 단계에서 주체적으로 참여하는 내용이 미흡하였다(표 3 참조). 독일의 경우, 기업이 계획, 실행, 모니터링 단계에 모두 참여하며, 정부는 주민과 함께 계획을 수립하고, 이니셔티브를 통해 기금을 마련 및 투자하며, 기업의 성과를 모니터링하고 감사하는 역할을 수행하였다. 일본의 경우, 은행의 참여를 통해 기금을 마련하고, 중간지원조직은 관련 기금을 기업에 투자하고 컨설팅을 수행하며, 성과를 관리하였다. 반면 국내의 경우, 기업이 참여할 수 있다는 내용이 들어있기는 하나, 정부의 공모사업에 주민이 응모하여 에너지를 생산 및 저감하는 내용으로, 정부예산을 이용한 주민 참여 에너지절약에 포커스가 맞춰져 있었다.
      국내와 독일, 일본의 탄소중립마을과 관련된 법제도도 비교해 본 결과, 국내 조례에서 기업의 참여(의무와 혜택) 부분이 미약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표 3 참조). 독일 베를린 「기후보호 및 에너지전환법」은 기업, 기관, 재단, 종교공동체, 법인, 협회 등을 공공기관으로 설정하고 역할을 부여한다. 일본 중앙정부 지구온난화 법률은 지역사업 참여기업에게 주는 특례를, 지역단위 교토시 기후온난화 조례는 다양한 기업(금융기관, 에너지사업자, 건축주, 자동차사업자, IT업체 등)에 대한 기능과 역할을 기재함으로써 관련 예산을 안정적으로 마련하고 운영하도록 하였다. 이에 비해 국내 탄소중립마을 지자체 조례는 기업 참여 부분이 추진위원회에 대한 참여로 한정적이며, 참여기업 종류 및 형태 등이 불명확하였다.
      1. 탄소중립마을 정책개선 방향
      이에 본 연구는 기업 투자 강화, 지역 세부사업 정보화, 에너지 복지, 갈등관리를 위한 전문기관 및 인력 양성, 유형별 지침(프로세스) 마련을 제안하게 되었다(그림 1 참조). 나아가 탄소중립마을의 안정적 재원 마련을 위해 기업의 역할과 혜택이 제시된 참여구조를 제안하고자 하였다(표 4 참조). 정부는 기업이 투자할 수 있는 기반(책임부여, 기금, 관련 규제완화)을 마련하고, 지역 세부사업도 참여할 수 있는 정보시스템 구축을 제안하였다. 시민은 의사결정과 관련 사업 투자, 감독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였다. 기업은 사전 정보를 제공하여 환경성 및 경제성 분석에 기여하고 관련 정보화시스템에 관련 정보를 등록하는 의무가 부여되며, 기업 세부유형(IT, 은행, 건축주)에 맞는 참여제도 설계를 제안하였다. 나아가 유형별로 특성화된 프로세스도 제시하여, 단독주택의 경우, 관련 사업 및 활동을 위해 지역 주민자치회를 활용한 중간지원조직 결성을 담는 지침을, 아파트의 경우에는 기존 자체 주민조직을 활용한 지침을 제공할 것이다.
      1. 탄소중립마을 표준조례(안) 제안
      이로 볼 때, 국내 「탄소중립기본법」에서도 기업 투자 및 지역 세부사업별 성과 확인을 위한 정보화에 대한 문구가 개선될 필요가 있었다. 또한 지자체 탄소중립 녹색성장 조례와 탄소중립마을 만들기 조례에서도 역시 기업 투자를 통해 관련 사업을 할 때 얻는 특례(인센티브와 규제완화) 및 의무(정보제공, 교육 및 지역활성화에 기여)를 추가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탄소중립기본법」 기업참여 내용을 보완하고, 국내에서 최초로 만들어진 여수시 탄소중립 기본조례와 탄소중립마을 만들기 조례를 기반으로 기업참여, 정보화, 취약계층 지원, 갈등관리, 프로세스 등이 보완된 탄소중립 조례 개선(안)을 제안하였다.
      개선된 탄소중립마을 조례는 기업의 투자 및 참여를 강화하여 정부 지원 없어도 안정적으로 운영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며, 정보화시스템을 통해 계량화된 내용을 지역사회에서 모두 알 수 있게 함으로써 성과관리 및 향후 계획수립에 도움을 줄 것이다. 또한 기업 참여는 탄소중립 사업의 사전검토를 통해 환경성 및 경제성을 확보하는 계기를 만들어 줄 것이다. 이를 위해 시는 참여기업에게 특례를 제공함으로써 지역 활성화에 기여하도록 하였다. 또한 취약 계층 및 지역에 탄소중립마을을 먼저 적용함으로써 해당 지역의 에너지복지 실현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며, 지원센터에 갈등관리 업무를 추가하고 주거유형별로 특성화된 관리를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1. 국내 탄소중립마을 현황 및 문제점 󰡔제1차 국가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계획(2023-2042)󰡕에서는 ‘주민 참여형 탄소중립마을 전국 확산’을 위한 프로세스를 제시하고 있지만, ...

      1. 국내 탄소중립마을 현황 및 문제점
      󰡔제1차 국가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계획(2023-2042)󰡕에서는 ‘주민 참여형 탄소중립마을 전국 확산’을 위한 프로세스를 제시하고 있지만, 지원 정책 및 예산 변경에 따라 지속적인 운영의 어려움이 제기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 융복합지원 사업 축소로 인해 부산을 비롯한 다양한 지자체의 에너지자립마을도 사업규모가 축소되고 있다. 환경부도 탄소중립 생활실천 선도마을을 통해 공동체 조직 구성 및 생활실천을 장려함으로써 온실가스 배출량을 저감하고자 하였으나 탄소저감 성과 부재를 이유로 2024년 예산을 전액 삭감하였다. 이에 주요 이해당사자 인터뷰(정부, 기업, 지역활동가) 결과, 법제도상의 연계성 부족으로 인한 관련 법제도(규제, 예산 지원 및 인센티브)의 일관성 부족을 문제로 삼았다(표 1 참조).
      1. 국내외 탄소중립마을 관련 운영 제도 및 프로세스 비교
      탄소중립마을을 선도적으로 운영하고 있는 유럽국가로 독일, 아시아권 국가로 일본을 선정하여 국내 탄소중립마을 운영 프로세스와 비교해보았다. 해외 탄소중립마을 지침에서는 기업이 계획단계부터 참여하고, 실행단계에서 재생에너지 및 배출가스의 저감의 주체가 되며, 모니터링 결과도 정리하는 것에 비해, 국내에서는 기업이 계획, 실행, 모니터링 단계에서 주체적으로 참여하는 내용이 미흡하였다(표 3 참조). 독일의 경우, 기업이 계획, 실행, 모니터링 단계에 모두 참여하며, 정부는 주민과 함께 계획을 수립하고, 이니셔티브를 통해 기금을 마련 및 투자하며, 기업의 성과를 모니터링하고 감사하는 역할을 수행하였다. 일본의 경우, 은행의 참여를 통해 기금을 마련하고, 중간지원조직은 관련 기금을 기업에 투자하고 컨설팅을 수행하며, 성과를 관리하였다. 반면 국내의 경우, 기업이 참여할 수 있다는 내용이 들어있기는 하나, 정부의 공모사업에 주민이 응모하여 에너지를 생산 및 저감하는 내용으로, 정부예산을 이용한 주민 참여 에너지절약에 포커스가 맞춰져 있었다.
      국내와 독일, 일본의 탄소중립마을과 관련된 법제도도 비교해 본 결과, 국내 조례에서 기업의 참여(의무와 혜택) 부분이 미약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표 3 참조). 독일 베를린 「기후보호 및 에너지전환법」은 기업, 기관, 재단, 종교공동체, 법인, 협회 등을 공공기관으로 설정하고 역할을 부여한다. 일본 중앙정부 지구온난화 법률은 지역사업 참여기업에게 주는 특례를, 지역단위 교토시 기후온난화 조례는 다양한 기업(금융기관, 에너지사업자, 건축주, 자동차사업자, IT업체 등)에 대한 기능과 역할을 기재함으로써 관련 예산을 안정적으로 마련하고 운영하도록 하였다. 이에 비해 국내 탄소중립마을 지자체 조례는 기업 참여 부분이 추진위원회에 대한 참여로 한정적이며, 참여기업 종류 및 형태 등이 불명확하였다.
      1. 탄소중립마을 정책개선 방향
      이에 본 연구는 기업 투자 강화, 지역 세부사업 정보화, 에너지 복지, 갈등관리를 위한 전문기관 및 인력 양성, 유형별 지침(프로세스) 마련을 제안하게 되었다(그림 1 참조). 나아가 탄소중립마을의 안정적 재원 마련을 위해 기업의 역할과 혜택이 제시된 참여구조를 제안하고자 하였다(표 4 참조). 정부는 기업이 투자할 수 있는 기반(책임부여, 기금, 관련 규제완화)을 마련하고, 지역 세부사업도 참여할 수 있는 정보시스템 구축을 제안하였다. 시민은 의사결정과 관련 사업 투자, 감독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였다. 기업은 사전 정보를 제공하여 환경성 및 경제성 분석에 기여하고 관련 정보화시스템에 관련 정보를 등록하는 의무가 부여되며, 기업 세부유형(IT, 은행, 건축주)에 맞는 참여제도 설계를 제안하였다. 나아가 유형별로 특성화된 프로세스도 제시하여, 단독주택의 경우, 관련 사업 및 활동을 위해 지역 주민자치회를 활용한 중간지원조직 결성을 담는 지침을, 아파트의 경우에는 기존 자체 주민조직을 활용한 지침을 제공할 것이다.
      1. 탄소중립마을 표준조례(안) 제안
      이로 볼 때, 국내 「탄소중립기본법」에서도 기업 투자 및 지역 세부사업별 성과 확인을 위한 정보화에 대한 문구가 개선될 필요가 있었다. 또한 지자체 탄소중립 녹색성장 조례와 탄소중립마을 만들기 조례에서도 역시 기업 투자를 통해 관련 사업을 할 때 얻는 특례(인센티브와 규제완화) 및 의무(정보제공, 교육 및 지역활성화에 기여)를 추가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탄소중립기본법」 기업참여 내용을 보완하고, 국내에서 최초로 만들어진 여수시 탄소중립 기본조례와 탄소중립마을 만들기 조례를 기반으로 기업참여, 정보화, 취약계층 지원, 갈등관리, 프로세스 등이 보완된 탄소중립 조례 개선(안)을 제안하였다.
      개선된 탄소중립마을 조례는 기업의 투자 및 참여를 강화하여 정부 지원 없어도 안정적으로 운영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며, 정보화시스템을 통해 계량화된 내용을 지역사회에서 모두 알 수 있게 함으로써 성과관리 및 향후 계획수립에 도움을 줄 것이다. 또한 기업 참여는 탄소중립 사업의 사전검토를 통해 환경성 및 경제성을 확보하는 계기를 만들어 줄 것이다. 이를 위해 시는 참여기업에게 특례를 제공함으로써 지역 활성화에 기여하도록 하였다. 또한 취약 계층 및 지역에 탄소중립마을을 먼저 적용함으로써 해당 지역의 에너지복지 실현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며, 지원센터에 갈등관리 업무를 추가하고 주거유형별로 특성화된 관리를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i
      • 제1장 서론
      •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
      • 2. 선행연구 분석 4
      • 국문요약 i
      • 제1장 서론
      •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
      • 2. 선행연구 분석 4
      • 3. 연구방법 8
      • 4. 연구흐름도 11
      • 제2장 국내 탄소중립마을 현황 검토
      • 1. 탄소중립마을 관련 법제도 현황 12
      • 2. 운영 현황 21
      • 3. 프로세스 및 유형화 47
      • 제3장 해외 사례 분석
      • 1. 독일 52
      • 2. 일본 67
      • 3. 소결 90
      • 제4장 정책 제안
      • 1. 정책 개선방향 93
      • 2. 법률 개선(안) 96
      • 3. 향후 연구방향 105
      • 참고문헌 109
      • 부 록
      • Ⅰ. 베를린 기후보호·에너지전환 조례(EWG Bln) 121
      • Ⅱ. 교토시 지구온난화대책 조례의 기업 참여 의무규정 138
      • Executive Summary 15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