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국립한글박물관 소장 『律譜』의 특성과 계보 = Characteristics and genealogy of 『Yulbo(律譜)』, Collection of the National Hangeul Museu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50826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에서는 신발굴 자료인 국립한글박물관 소장 『律譜』를 학계에 소개하고 그 특성과 계보를 고찰하였다.
      2장에서는 서지적 특성을 파악했다. 『율보』는 필사본 1책, 총 22장(표지 제외 44면) 규모의 가집이다. 금보와 함께 시조 99수, 가사 8편이 수록되었다. 필사 시기와 편자는 알 수 없다. 1면 에 ‘墨緣’, ‘杏農’이라는 붉은색 장서인 보이는데 底本에 찍혀 있던 것을 그대로 모사한 것이다. 이를 통해 『율보』는 재필사한 가집이고, 저본의 편자는 ‘杏農’이라는 사실이 드러난다. ‘墨緣’이 秋史 金正喜(1786~1856) 주변 인물들 사이에서 자주 쓰이던 것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杏農’은 추사의 지인으로 추정된다. 그렇다면 『율보』는 19세기 전반에 처음 편집되었고 1890년대 후반에 현재의 형태로 재필사 된 것으로 보인다. 앞뒤 표지 안쪽 배접지에 “陰竹郡印”이라는 方印이 포착되는 데 재필사한 후 찍은 것이다. 1895년 陰竹縣이 陰竹郡으로 재편된 사실에 주목하면 『율보』의 재필사 시기는 1895년 이후, 대략 1890년대 후반으로 판단된다.
      3장에서는 『율보』의 편제와 가곡 한바탕의 악곡 특성에 대해 고찰하였다. 『율보』는 금보 및 가곡장단도, 남녀창 가곡 한바탕, 가사, 시조, 남창 부조로 구성되었다. 가곡 한바탕에는 남창 19곡, 여창 9곡이 수록되었다. 무엇보다 ‘代受酙’, ‘衰玉’, ‘夜數大葉’, ‘庭花數葉’, ‘回樂’ 등 독특한 악곡명이 등장한다. 19세기 전반 가곡 한바탕의 분화 과정에서 새롭게 파생된 악곡들은 명목을 얻기 이전에는 여러 이름으로 불렸던 바 이들도 그러한 과도기적 사례이다.
      가곡 한바탕의 편제는 남녀창 모두 ‘반엽’이 등장하고 우계면 체제가 분명할 뿐만 아니라 ‘두거’를 ‘삼삭대엽’ 뒤에 배치했다. 이는 『율보』가 19세기 중엽의 산물임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계소용’도 보인다. 여창에서는 ‘回樂’이라는 이름으로 ‘환계락’이 등장한다. ‘臺’가 ‘庭花數葉’이라는 이름으로 남창에만 배치되었다. 『율보』의 편찬 당시에는 ‘臺’의 기능이 다소 유동적이었고 명목도 얻지 못했던 것으로 판단된다.
      4장에서는 가곡 한바탕의 노랫말 특성에 대해 논의를 전개하였다. 남창 57수, 여창 22수 도합 79수가 수록되었다. 10수를 수록한 남창 계면 ‘이삭대엽’을 제외하고 악곡당 1~5수 내외를 배치하였다. 당대에 가곡 연행 현장에서 실제로 널리 불리던 노랫말 가운데 대표곡 위주로 수록한 결과이다. 『율보』가 연행 현장에서 소용되던 연창 대본이었음을 말해주는 대목이다.
      5장에서는 『율보』의 이본인 『歌詞』(羅孫本), 『時調音律』과 특성을 비교하고 그 계보를 탐색하였다. 이들은 모두 19세기 전반에 편집된 가집을 재필사한 것들로, 『가사』(나손본)가 가장 먼저 편집된 것으로 드러났다. 남녀창의 구분이 명확하지 않고 독특한 악곡명이 쓰이고 있는 것은 가곡 한바탕이 막 분화되기 시작한 시기의 특성이다. 이에 비해 『율보』는 『가사』(나손본)와 악곡명은 공유하고 있지만 보다 안정된 한바탕의 면모를 보여주고 있다. 『시조음율』에서는 『가사』(나손본)나 『율보』와 다르게 독특한 악곡명은 쓰이지 않는다. 이들이 한바탕 내에서 명목을 획득했기 때문이다. 체제도 『율보』보다 정비되어 있다. 이로써 이들 사이의 파생 경로는 ‘『가사』(나손본) → 『율보』 → 『시조음율』’로 파악된다. 이들은 19세기 전 ...
      번역하기

      본고에서는 신발굴 자료인 국립한글박물관 소장 『律譜』를 학계에 소개하고 그 특성과 계보를 고찰하였다. 2장에서는 서지적 특성을 파악했다. 『율보』는 필사본 1책, 총 22장(표지 제외 4...

      본고에서는 신발굴 자료인 국립한글박물관 소장 『律譜』를 학계에 소개하고 그 특성과 계보를 고찰하였다.
      2장에서는 서지적 특성을 파악했다. 『율보』는 필사본 1책, 총 22장(표지 제외 44면) 규모의 가집이다. 금보와 함께 시조 99수, 가사 8편이 수록되었다. 필사 시기와 편자는 알 수 없다. 1면 에 ‘墨緣’, ‘杏農’이라는 붉은색 장서인 보이는데 底本에 찍혀 있던 것을 그대로 모사한 것이다. 이를 통해 『율보』는 재필사한 가집이고, 저본의 편자는 ‘杏農’이라는 사실이 드러난다. ‘墨緣’이 秋史 金正喜(1786~1856) 주변 인물들 사이에서 자주 쓰이던 것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杏農’은 추사의 지인으로 추정된다. 그렇다면 『율보』는 19세기 전반에 처음 편집되었고 1890년대 후반에 현재의 형태로 재필사 된 것으로 보인다. 앞뒤 표지 안쪽 배접지에 “陰竹郡印”이라는 方印이 포착되는 데 재필사한 후 찍은 것이다. 1895년 陰竹縣이 陰竹郡으로 재편된 사실에 주목하면 『율보』의 재필사 시기는 1895년 이후, 대략 1890년대 후반으로 판단된다.
      3장에서는 『율보』의 편제와 가곡 한바탕의 악곡 특성에 대해 고찰하였다. 『율보』는 금보 및 가곡장단도, 남녀창 가곡 한바탕, 가사, 시조, 남창 부조로 구성되었다. 가곡 한바탕에는 남창 19곡, 여창 9곡이 수록되었다. 무엇보다 ‘代受酙’, ‘衰玉’, ‘夜數大葉’, ‘庭花數葉’, ‘回樂’ 등 독특한 악곡명이 등장한다. 19세기 전반 가곡 한바탕의 분화 과정에서 새롭게 파생된 악곡들은 명목을 얻기 이전에는 여러 이름으로 불렸던 바 이들도 그러한 과도기적 사례이다.
      가곡 한바탕의 편제는 남녀창 모두 ‘반엽’이 등장하고 우계면 체제가 분명할 뿐만 아니라 ‘두거’를 ‘삼삭대엽’ 뒤에 배치했다. 이는 『율보』가 19세기 중엽의 산물임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계소용’도 보인다. 여창에서는 ‘回樂’이라는 이름으로 ‘환계락’이 등장한다. ‘臺’가 ‘庭花數葉’이라는 이름으로 남창에만 배치되었다. 『율보』의 편찬 당시에는 ‘臺’의 기능이 다소 유동적이었고 명목도 얻지 못했던 것으로 판단된다.
      4장에서는 가곡 한바탕의 노랫말 특성에 대해 논의를 전개하였다. 남창 57수, 여창 22수 도합 79수가 수록되었다. 10수를 수록한 남창 계면 ‘이삭대엽’을 제외하고 악곡당 1~5수 내외를 배치하였다. 당대에 가곡 연행 현장에서 실제로 널리 불리던 노랫말 가운데 대표곡 위주로 수록한 결과이다. 『율보』가 연행 현장에서 소용되던 연창 대본이었음을 말해주는 대목이다.
      5장에서는 『율보』의 이본인 『歌詞』(羅孫本), 『時調音律』과 특성을 비교하고 그 계보를 탐색하였다. 이들은 모두 19세기 전반에 편집된 가집을 재필사한 것들로, 『가사』(나손본)가 가장 먼저 편집된 것으로 드러났다. 남녀창의 구분이 명확하지 않고 독특한 악곡명이 쓰이고 있는 것은 가곡 한바탕이 막 분화되기 시작한 시기의 특성이다. 이에 비해 『율보』는 『가사』(나손본)와 악곡명은 공유하고 있지만 보다 안정된 한바탕의 면모를 보여주고 있다. 『시조음율』에서는 『가사』(나손본)나 『율보』와 다르게 독특한 악곡명은 쓰이지 않는다. 이들이 한바탕 내에서 명목을 획득했기 때문이다. 체제도 『율보』보다 정비되어 있다. 이로써 이들 사이의 파생 경로는 ‘『가사』(나손본) → 『율보』 → 『시조음율』’로 파악된다. 이들은 19세기 전 ...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introduces the newly discovered Gajip, Gagok song book 『Yulbo(律譜)』, owned the National Museum, to the academic community and examines its characteristics and genealogy.
      Chapter 2 identified bibliographic characteristics. 『Yulbo』 is a collection of one manuscript, a total of 22 sheets(44 pages excluding the cover page). Along with the Geomungo(Korean musical instrument with six strings) score, 99 Sijo and eight Gasa lyrics were included. The timing of the manuscript and the editor are unknown. On the front page, you can see the red ownership stamp "Mukyeon(墨緣)" and "Hangnong(杏農)", which is a copy of the original script. This reveals that 『yulbo』 is recopied Gajip, and that the original scripted editor is "Hangnong". Considering that "Mukyeon" was frequently used among figures around Chusa Kim Jung-hee(金正喜, 1786~1856), "Hangnong" is believed to be a friend of Chusa’s. Then, it seems that 『yulbo』 was first edited in the first half of the 19th century and copied again in its current form in the late 1890s. A square of "Eumjukgun(陰竹郡)" stamp is visible on the backing paper inside the front and back cover, which is believed to have been taken after being recopied. Noting that "Eumjukhyun(陰竹縣)" was reorganized as "Eumjukgun" in 1895, it is believed that the period of the being recopied of the 『Yulbo』 was after 1895 and in the late 1890s In Chapter 3, the organization of 『Yulbo』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musical pieces of Gagok Hanbatang were discussed. The 『Yulbo』 was composed of Geomungo score and the picture of Gagok rhythm, song of men and women's Gagok, Gasa, Sijo, Nanchang(男唱) Bujo(浮調), In the song of Gagok Hanbatang, there are 19 men’s and 9 women's Gagok musical pieces, Above all, a unique musical name is found. That is 'Daesujim(代受酙)', ​'Jonsudaeyeop(죤數大葉)', 'Seook(衰玉)', 'Yadaeyeop(夜數大葉)', 'Jeonghwasuyeop(庭花數葉)' and 'Heorak(回樂)'. Newly derived musical pieces in the process of differentiation were called by various names that reveal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musical pieces before they were nominal, and they are regarded as such transitional cases.
      The organization of Gagok Hanbatang shows that 'Banyeop(半葉)' appears in both men and women's song and the 'Wujo(羽調)' and 'Gyemyeonjo(界面調)' system is clear. In both men and women song, 'Dugeo(頭擧)' is located behind 'Samsakdaeyeop(三數大葉)', which shows that 『Yulbo』 is a product 'Dugeo' was derived and 'Gunggeo(中擧)' and 'Pyeonggeo(平擧)' did not appear in the first half of the 19th century. 'Gyesoyong(界騷聳)' is also visible. In Yeochang(women's song), ‘Hwangeirak(還界樂)’ appears in the name of 'Heorak'. ‘Hwangeirak’ is Called by many names, it appears to have been nominal in the late 19th century. ‘Dae(臺)’, ending song, appears only in the Nanchang(mes’s song) the name of 'Jeonghwasuyeop'. This shows that at the time of the compilation of the 『Yulbo』, the function of 'Dae' was somewhat fluid and yet nominal.
      In chapter 4, we discussed the lyrics of the Gagok Hanbatang. A total of 79 pieces, Namchang 57, pieces, Yeochang 22 pieces were recorded. 1~5 numbers per music were arranged. It is the result of the representative song, which was actually widely used at the stage of performing Gagok. It is a passage showing that 『Yulbo』 was a singing script used at the performance site.
      In Chapter 5, we compared the characteristics of 『Yulbo』, 『Gasa(歌詞)』(Collection of Nason) and 『Sijoeumryul(時調音律)』 and explored the genealogy. They were all recopied of Gajip edited in the first half of the 19th century, with 『Gasa』(Collection of Nason) being the first to be edited. The distinction between the Namchang and Yeochang is not clear and the use of a unique musical name clearly shows the beginning of the 19th century when the Gagok Hanbatang was diversed. On the other hand,...
      번역하기

      This paper introduces the newly discovered Gajip, Gagok song book 『Yulbo(律譜)』, owned the National Museum, to the academic community and examines its characteristics and genealogy. Chapter 2 identified bibliographic characteristics. 『Yulbo...

      This paper introduces the newly discovered Gajip, Gagok song book 『Yulbo(律譜)』, owned the National Museum, to the academic community and examines its characteristics and genealogy.
      Chapter 2 identified bibliographic characteristics. 『Yulbo』 is a collection of one manuscript, a total of 22 sheets(44 pages excluding the cover page). Along with the Geomungo(Korean musical instrument with six strings) score, 99 Sijo and eight Gasa lyrics were included. The timing of the manuscript and the editor are unknown. On the front page, you can see the red ownership stamp "Mukyeon(墨緣)" and "Hangnong(杏農)", which is a copy of the original script. This reveals that 『yulbo』 is recopied Gajip, and that the original scripted editor is "Hangnong". Considering that "Mukyeon" was frequently used among figures around Chusa Kim Jung-hee(金正喜, 1786~1856), "Hangnong" is believed to be a friend of Chusa’s. Then, it seems that 『yulbo』 was first edited in the first half of the 19th century and copied again in its current form in the late 1890s. A square of "Eumjukgun(陰竹郡)" stamp is visible on the backing paper inside the front and back cover, which is believed to have been taken after being recopied. Noting that "Eumjukhyun(陰竹縣)" was reorganized as "Eumjukgun" in 1895, it is believed that the period of the being recopied of the 『Yulbo』 was after 1895 and in the late 1890s In Chapter 3, the organization of 『Yulbo』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musical pieces of Gagok Hanbatang were discussed. The 『Yulbo』 was composed of Geomungo score and the picture of Gagok rhythm, song of men and women's Gagok, Gasa, Sijo, Nanchang(男唱) Bujo(浮調), In the song of Gagok Hanbatang, there are 19 men’s and 9 women's Gagok musical pieces, Above all, a unique musical name is found. That is 'Daesujim(代受酙)', ​'Jonsudaeyeop(죤數大葉)', 'Seook(衰玉)', 'Yadaeyeop(夜數大葉)', 'Jeonghwasuyeop(庭花數葉)' and 'Heorak(回樂)'. Newly derived musical pieces in the process of differentiation were called by various names that reveal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musical pieces before they were nominal, and they are regarded as such transitional cases.
      The organization of Gagok Hanbatang shows that 'Banyeop(半葉)' appears in both men and women's song and the 'Wujo(羽調)' and 'Gyemyeonjo(界面調)' system is clear. In both men and women song, 'Dugeo(頭擧)' is located behind 'Samsakdaeyeop(三數大葉)', which shows that 『Yulbo』 is a product 'Dugeo' was derived and 'Gunggeo(中擧)' and 'Pyeonggeo(平擧)' did not appear in the first half of the 19th century. 'Gyesoyong(界騷聳)' is also visible. In Yeochang(women's song), ‘Hwangeirak(還界樂)’ appears in the name of 'Heorak'. ‘Hwangeirak’ is Called by many names, it appears to have been nominal in the late 19th century. ‘Dae(臺)’, ending song, appears only in the Nanchang(mes’s song) the name of 'Jeonghwasuyeop'. This shows that at the time of the compilation of the 『Yulbo』, the function of 'Dae' was somewhat fluid and yet nominal.
      In chapter 4, we discussed the lyrics of the Gagok Hanbatang. A total of 79 pieces, Namchang 57, pieces, Yeochang 22 pieces were recorded. 1~5 numbers per music were arranged. It is the result of the representative song, which was actually widely used at the stage of performing Gagok. It is a passage showing that 『Yulbo』 was a singing script used at the performance site.
      In Chapter 5, we compared the characteristics of 『Yulbo』, 『Gasa(歌詞)』(Collection of Nason) and 『Sijoeumryul(時調音律)』 and explored the genealogy. They were all recopied of Gajip edited in the first half of the 19th century, with 『Gasa』(Collection of Nason) being the first to be edited. The distinction between the Namchang and Yeochang is not clear and the use of a unique musical name clearly shows the beginning of the 19th century when the Gagok Hanbatang was diversed. On the other han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신경숙, "하순일 편집 '가곡원류'의 성립" 한국시조학회 (26) : 125-150, 2007

      2 이상원, "최영년의 고시조 연구와 그 의의" 한국언어문학회 (58) : 83-106, 2006

      3 권순회, "청구영언 : 영인편" 국립한글박물관 152-153, 2017

      4 권순회, "신발굴 가집 『歌辭』의 특성" 한민족문화학회 55 (55): 59-88, 2016

      5 김흥규, "고시조대전"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2

      6 권순회, "고시조 문헌 해제"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96-298, 2012

      7 한영숙, "가집에 수록된 영산회상 고찰 -『시조음률』과 『가사 시조 금보』를 중심으로-" 한국국악학회 53 : 171-198, 2013

      8 김영운, "가곡 연창형식의 역사적 전개 양상" 민속원 169-175, 2005

      9 "歌詞(羅孫本), 필사본 1책"

      10 "時調音律, 필사본 1책"

      1 신경숙, "하순일 편집 '가곡원류'의 성립" 한국시조학회 (26) : 125-150, 2007

      2 이상원, "최영년의 고시조 연구와 그 의의" 한국언어문학회 (58) : 83-106, 2006

      3 권순회, "청구영언 : 영인편" 국립한글박물관 152-153, 2017

      4 권순회, "신발굴 가집 『歌辭』의 특성" 한민족문화학회 55 (55): 59-88, 2016

      5 김흥규, "고시조대전"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2

      6 권순회, "고시조 문헌 해제"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96-298, 2012

      7 한영숙, "가집에 수록된 영산회상 고찰 -『시조음률』과 『가사 시조 금보』를 중심으로-" 한국국악학회 53 : 171-198, 2013

      8 김영운, "가곡 연창형식의 역사적 전개 양상" 민속원 169-175, 2005

      9 "歌詞(羅孫本), 필사본 1책"

      10 "時調音律, 필사본 1책"

      11 "律譜, 필사본 1책"

      12 김진향, "善歌 河圭一 先生 略傳" 민속원 204-577, 1993

      13 권순회, "『海東歌譜』(전북대 소장)의 性格" 한국시조학회 (28) : 229-261, 2008

      14 권순회, "『時調音律』의 편제와 가곡의 특성" 한국언어문학회 (66) : 111-125, 2008

      15 신경숙, "19세기 가집의 전개" 계명문화사 46-, 199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9 0.49 0.4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4 0.41 1.24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