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徐有英 文學의 硏究 補論 = Supplementation of study on literature of Seo-yooyung(徐有英)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50826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Article, I supplement earlier study on Seo-yooyung with several materials.
      <Jeokbyuk-Jipja-Chup(赤壁集字帖)> is sole material which was handed in descendant of Seo-yooyung. It is the collection of poems, which was made at Jeokbyuk(赤壁)’s meeting by five poets including Seo-yooyung.
      Seo-yooyung abandoned the state examination and secluded long time as same as Park-gyusoo(朴珪壽). The reason was death of Ikjong(翼宗) who gathered conscientious intellectuals to go against the political power of Kim’s family.
      Seo-yooyung started for his new post as governor of Uiryung(宜寧) at 1865. He was pressed for people’s pain by the burden of tax and authority. Jung-taewun(鄭泰元), in the letter, praised writing skill of Seo-yooyung, but he boasted his concern for Confucian Classics inwardly.
      Seo-yooyung was exiled to Samdeung(三登) at 1868, and retired to hometown Geumgye(錦溪) at 1870. We can find that he lived until 1876 by record of Seungjeongwun(承政院).
      번역하기

      In this Article, I supplement earlier study on Seo-yooyung with several materials. <Jeokbyuk-Jipja-Chup(赤壁集字帖)> is sole material which was handed in descendant of Seo-yooyung. It is the collection of poems, which was made at Jeokbyuk(...

      In this Article, I supplement earlier study on Seo-yooyung with several materials.
      <Jeokbyuk-Jipja-Chup(赤壁集字帖)> is sole material which was handed in descendant of Seo-yooyung. It is the collection of poems, which was made at Jeokbyuk(赤壁)’s meeting by five poets including Seo-yooyung.
      Seo-yooyung abandoned the state examination and secluded long time as same as Park-gyusoo(朴珪壽). The reason was death of Ikjong(翼宗) who gathered conscientious intellectuals to go against the political power of Kim’s family.
      Seo-yooyung started for his new post as governor of Uiryung(宜寧) at 1865. He was pressed for people’s pain by the burden of tax and authority. Jung-taewun(鄭泰元), in the letter, praised writing skill of Seo-yooyung, but he boasted his concern for Confucian Classics inwardly.
      Seo-yooyung was exiled to Samdeung(三登) at 1868, and retired to hometown Geumgye(錦溪) at 1870. We can find that he lived until 1876 by record of Seungjeongwun(承政院).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필자가 수행했던 서유영 연구에 대한 補論의 성격을 지닌다. 크게 네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赤壁集字帖>은 서유영의 후손가에 전해 오는 유일한 서유영의 文跡이다. 서유영을 포함한 다섯 명의 문인이 각기 시를 지어 만든 시첩이다. 둘째, 서유영은 과거 시험을 포기하게 되는데 그 결정적 계기는 안동 김씨 세도정권을 제어하고자 하다가 갑자기 서거한 孝明世子(翼宗)의 죽음이다. 서유영은 효명세자의 갑작스런 죽음으로 군신 관계의 만남이 완성되지 못한 것을 안타까워한다. 셋째, 서유영은 1865년 경상도 의령 현감에 부임하게 되는데, 이때 그가 사회 구조적 폐단에 시달리는 백성을 보며 괴로워하는 모습이 정태원 등 그 지방 문사들의 기록 속에서도 확인된다. 넷째, 서유영은 1868년 가을 암행어사의 탄핵을 입어 평안도 三登으로 유배를 다녀온 뒤 낙향하여 생을 마감하는데, 몰년에 대한 정확한 기록을 확인할 수 없다. 다만 최근 학계에 보고된 바, 1876년까지는 생존했던 기록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그의 몰년은 1876년 이후라고 봐야 할 것이다.
      번역하기

      이 논문은 필자가 수행했던 서유영 연구에 대한 補論의 성격을 지닌다. 크게 네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赤壁集字帖>은 서유영의 후손가에 전해 오는 유일한 서유영의 文跡이다. ...

      이 논문은 필자가 수행했던 서유영 연구에 대한 補論의 성격을 지닌다. 크게 네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赤壁集字帖>은 서유영의 후손가에 전해 오는 유일한 서유영의 文跡이다. 서유영을 포함한 다섯 명의 문인이 각기 시를 지어 만든 시첩이다. 둘째, 서유영은 과거 시험을 포기하게 되는데 그 결정적 계기는 안동 김씨 세도정권을 제어하고자 하다가 갑자기 서거한 孝明世子(翼宗)의 죽음이다. 서유영은 효명세자의 갑작스런 죽음으로 군신 관계의 만남이 완성되지 못한 것을 안타까워한다. 셋째, 서유영은 1865년 경상도 의령 현감에 부임하게 되는데, 이때 그가 사회 구조적 폐단에 시달리는 백성을 보며 괴로워하는 모습이 정태원 등 그 지방 문사들의 기록 속에서도 확인된다. 넷째, 서유영은 1868년 가을 암행어사의 탄핵을 입어 평안도 三登으로 유배를 다녀온 뒤 낙향하여 생을 마감하는데, 몰년에 대한 정확한 기록을 확인할 수 없다. 다만 최근 학계에 보고된 바, 1876년까지는 생존했던 기록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그의 몰년은 1876년 이후라고 봐야 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徐有英, "六美堂記"

      2 김명호, "환재 박규수 연구" 창비 2008

      3 장효현, "한국고전소설사연구" 고려대출판부 2002

      4 이완재, "초기개화사상연구" 민족문화사 1989

      5 김명호, "초기 한미관계의 재조명" 역사비평사 2005

      6 장효현, "심능숙문학의 연구"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2017

      7 장효현, "서유영문학의 연구" 아세아문화사 1988

      8 이완재, "박규수연구" 집문당 1999

      9 장효현, "고전소설연구의 방향" 새문사 1982

      10 徐有英, "雲皐詩選"

      1 徐有英, "六美堂記"

      2 김명호, "환재 박규수 연구" 창비 2008

      3 장효현, "한국고전소설사연구" 고려대출판부 2002

      4 이완재, "초기개화사상연구" 민족문화사 1989

      5 김명호, "초기 한미관계의 재조명" 역사비평사 2005

      6 장효현, "심능숙문학의 연구"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2017

      7 장효현, "서유영문학의 연구" 아세아문화사 1988

      8 이완재, "박규수연구" 집문당 1999

      9 장효현, "고전소설연구의 방향" 새문사 1982

      10 徐有英, "雲皐詩選"

      11 鄭泰元, "雙洲文集" 국학자료원 1980

      12 李參鉉, "鍾山集"

      13 徐有英, "錦溪筆談"

      14 李承元, "迂山稿"

      15 安鑽, "癡史集"

      16 朴珪壽, "瓛齋集" 민족문화추진회 2003

      17 洪翰周, "海翁詩文藁"

      18 洪翰周, "智水拈筆" 아세아문화사 1984

      19 "承政院日記"

      20 이기대, "19세기 조선의 소설가와 한문장편소설" 집문당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9 0.49 0.4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4 0.41 1.24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