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난청학생의 교육환경에 대한 경험과 자아인식에 영향을 미친 요인을 분석하여 조사연구로 수행되었다. 전국 37개 대학교에 재학하고 있는 청각장애대학생 262명이 설문조사에 참...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983428
2021
-
청각장애 ; 난청 ; 교육환경 ; 자아인식 ; Hearing impairment ; hard of hearing ; educational environment ; self awareness
379
KCI등재
학술저널
27-46(20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난청학생의 교육환경에 대한 경험과 자아인식에 영향을 미친 요인을 분석하여 조사연구로 수행되었다. 전국 37개 대학교에 재학하고 있는 청각장애대학생 262명이 설문조사에 참...
이 연구는 난청학생의 교육환경에 대한 경험과 자아인식에 영향을 미친 요인을 분석하여 조사연구로 수행되었다. 전국 37개 대학교에 재학하고 있는 청각장애대학생 262명이 설문조사에 참여하였다. 교육환경에 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청각장애학교에 재학한 경험이 없는 경우가 77%였으며, 학교생활에서 경험한 어려움은 다양하게 나타났다. 건청학생과의 교우관계 유지는 학년이 올라갈수록 증가하였으나, 난청학생의 약 30%는 여전히 건청친구가 없었다. 통합교육을 받은 난청학생이 많았던 관계로 80% 이상의 난청학생은 청각장애 친구가 없었다. 선후배 관계에서도 청각장애보다 건청의 선후배와 교제를 하고 있었다. 교사와의 관계는 학년이 올라갈수록 긍정적이었으나, 건청교사의 영향이 지배적이었다. 자아인식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난청학생은 건청인과 동일시하면서도 청각장애 정체성도 내포하였다. 농문화에 대하여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듣고 말하기에 대한 인식은 개인에 따라 다양한 차이를 보였다. 이 연구에서는 난청학생의 교육환경에서의 경험 차이가 정체성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중문화와 이중언어 접근법의 중요성을 제안하고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 research study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the education environment experiences and self awareness of the students with hard of hearing. 262 college students with hard of hearing from 37 universities across the coun...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 research study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the education environment experiences and self awareness of the students with hard of hearing. 262 college students with hard of hearing from 37 universities across the country participated in the survey. The study results o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were as follows. 77% of the cases had no experience of attending a school for the deaf, and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in adjusting to school life varied. The number of students maintaining friendships with hearing impaired students increased as the grade level increased, but about 30% of the students with hard of hearing still did not have a hearing impaired friend. Because there were many students with hard of hearing who received inclusive education, more than 80% of students with hard of hearing had no hearing impaired friend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niors and juniors, the students with hard of hearing were friendly with seniors and juniors with hearing rather than those with hearing impairments. The relationship with the teacher was more positive as the grade level increased, but the influence of the teacher with hearing was more dominant than that of the teacher with hearing impairment. The results of self awareness were as follows. The students with hard of hearing identified with hearing people, but also included the identity of hearing impaired. Deaf culture was perceived positively, and the perception of listening and speaking showed various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individual.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 of differences in experiences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s of students with hard of hearing on identity formation, and suggests the importance of bicultural and bilingual approaches.
참고문헌 (Reference)
1 교육부, "특수교육통계" 교육부 2021
2 김정중, "특수교육전공 여부에 따른농대학생의 농정체성과 장애정체성 비교 연구"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2 (2): 89-111, 2011
3 최성규, "통합교육환경 청각장애 청소년의 교육환경에 대한이해와 정체성 인식 연구"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2 (2): 47-68, 2011
4 최성규, "통합교육 환경에서 수학한 청각장애대학생의 정체성 연구: 요인분석에서 나타난 문항별 특성을 중심으로" 국립특수교육원 27 (27): 51-78, 2020
5 정은영, "청각장애학생의 통합교육 배치 결정을 위한 퍼지 추론규칙 개발" 한국특수교육학회 47 (47): 19-46, 2012
6 최성규, "청각장애아의 심리" 도서출판 특수교육 1997
7 최성규, "청각장애대학생의 정체감ㆍ농문화ㆍ장애인식에 대한 배경변인별 분석과 구조관계 연구"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4 (54): 405-423, 2015
8 이정우, "청각장애대학생의 자아정체감, 자기효능감, 의사소통양식 간의 관계 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4
9 최성규, "청각장애교육에 대한 농인 당사자의 시각" 대한정치학회 28 (28): 145-170, 2020
10 황진옥, "전문직 종사 농인의 정체성과 진로선택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4 (4): 91-112, 2013
1 교육부, "특수교육통계" 교육부 2021
2 김정중, "특수교육전공 여부에 따른농대학생의 농정체성과 장애정체성 비교 연구"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2 (2): 89-111, 2011
3 최성규, "통합교육환경 청각장애 청소년의 교육환경에 대한이해와 정체성 인식 연구"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2 (2): 47-68, 2011
4 최성규, "통합교육 환경에서 수학한 청각장애대학생의 정체성 연구: 요인분석에서 나타난 문항별 특성을 중심으로" 국립특수교육원 27 (27): 51-78, 2020
5 정은영, "청각장애학생의 통합교육 배치 결정을 위한 퍼지 추론규칙 개발" 한국특수교육학회 47 (47): 19-46, 2012
6 최성규, "청각장애아의 심리" 도서출판 특수교육 1997
7 최성규, "청각장애대학생의 정체감ㆍ농문화ㆍ장애인식에 대한 배경변인별 분석과 구조관계 연구"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4 (54): 405-423, 2015
8 이정우, "청각장애대학생의 자아정체감, 자기효능감, 의사소통양식 간의 관계 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4
9 최성규, "청각장애교육에 대한 농인 당사자의 시각" 대한정치학회 28 (28): 145-170, 2020
10 황진옥, "전문직 종사 농인의 정체성과 진로선택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4 (4): 91-112, 2013
11 이현진, "의사소통 조망수용: 자기중심적 편향성과 실행기능의 역할"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9 (29): 81-100, 2016
12 Detterman, D. K., "What is so special about special education" 52 (52): 1082-1090, 1997
13 Broekhof, E., "Use of the brief shame and guilt questionnaire in deaf and hard of hearing children and adolescents" 27 (27): 194-205, 2020
14 Johnson, P., "Trauma and resilience among deaf individuals" 23 (23): 317-330, 2018
15 Mekonnen, M., "The self-concept of deaf/hard-of-hearing and hearing students" 21 (21): 345-351, 2016
16 Gibbons, E., "Supporting deaf and hard-of-hearing students in the schools" 19 (19): 46-53, 2015
17 Eichengreen, A., "Relationships among deaf/hard-of-hearing siblings : Developing a sense of self" 25 (25): 43-54, 2020
18 Jackson, P., "Psychology of deafness" Allyn & Bacon 1993
19 Kushalnagar, P., "Intelligence, parental depression, and behavior adaptability in deaf children being considered for cochlear implantation" 12 (12): 335-349, 2007
20 McIlroy, G., "Development of deaf identity : An ethnographic study" 16 (16): 494-511, 2011
21 Beckner, B., "Deaf or hearing : A hard of hearing individual's navigation between two worlds" 163 (163): 394-412, 2018
22 Moores, D., "Deaf learners: Developments in Curriculum and instruction" Gallaudet University Press 2006
23 Salehomoum, M., "Cochlear implant nonuse: Insight from deaf adults" 25 (25): 270-282, 2020
24 Mitchell, R. E,, "Chasing the mythical ten percent: Parental hearing status of deaf and hard of hearing students in the United States" 4 (4): 138-163, 2004
25 Skrtic. T., "Behind special education: A critical analysis of professional culture and school organization" Love Publishing 1991
온라인 기반 부수촉진을 통한 가상 조리 시연이 지적장애 고등학생의 직무기술 수행에 미치는 효과
청각장애인의 장애수용과 삶의 만족 간의 자기회귀 교차지연효과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3-13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연구외국어명 : 미등록 -> The study of Education for Hearing-Language Impairments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3 | 0.33 | 0.5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8 | 0.49 | 0.736 | 0.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