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article aims to answer why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was established in the French concession of Shanghai (法租界, la concession française de Changhaï) in 1919. The expansion of the Western empires caused several sp...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5951995
2018
Korean
349
KCI우수등재
학술저널
179-214(36쪽)
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aims to answer why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was established in the French concession of Shanghai (法租界, la concession française de Changhaï) in 1919. The expansion of the Western empires caused several sp...
This article aims to answer why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was established in the French concession of Shanghai (法租界, la concession française de Changhaï) in 1919. The expansion of the Western empires caused several special zones to be created in Shanghai in the middle of the 19th century. Because of the extraterritoriality guaranteed by international treaties, these extraordinary spaces created an international space within which various peoples oppressed by several empires saw the possibility of obtaining more liberties. This international character of Shanghai possibly held the key to the establishment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in Shanghai in 1919. The French concession of Shanghai was deemed to be a more suitable place to house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than the Anglo-American international settlement over which Great Britain held sway and wielded strong influence. Great Britain had forged an alliance with Japan in 1902, which was renewed and expanded in scope twice, in 1905 and 1911, before its official termination in 1923. The selection of the French concession was even more apt because the Provisional Government chose to employ diplomacy at the Paris Peace Conference after World War I instead of opting for military struggle. The establishment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was further facilitated by the raison d’Etat of French diplomats, who, since the French revolution of 1789, considered the international protection of liberty to be essential to their national interests and identity.
참고문헌 (Reference)
1 우남이승만문서편찬위원회, "梨花莊 所藏 雩南 李承晩 文書: 東文篇"
2 김영작, "金玉均 暗殺事件과 韓·淸·日 三國" 11 : 1994
3 최낙민, "해항도시 마카오와 상해의 문화교섭" 선인 2014
4 秋憲樹, "한민족의 독립운동과 임시정부의 위상" 연세대학교 출판부 1995
5 "한국일보"
6 반병률, "한국독립운동의 세계사적 성격" 단국대학교출판부 2017
7 한시준, "한국독립운동의 세계사적 성격" 단국대학교출판부 2017
8 윤종문, "한국독립운동의 세계사적 성격" 단국대학교출판부 2017
9 홍순호, "한국독립운동과 열강관계: 한국정치외교사학회 논총, 제2집" 평민사 1985
10 이덕희, "하와이 대한인국민회 100년사" 연세대학교 대학출판문화원 2013
1 우남이승만문서편찬위원회, "梨花莊 所藏 雩南 李承晩 文書: 東文篇"
2 김영작, "金玉均 暗殺事件과 韓·淸·日 三國" 11 : 1994
3 최낙민, "해항도시 마카오와 상해의 문화교섭" 선인 2014
4 秋憲樹, "한민족의 독립운동과 임시정부의 위상" 연세대학교 출판부 1995
5 "한국일보"
6 반병률, "한국독립운동의 세계사적 성격" 단국대학교출판부 2017
7 한시준, "한국독립운동의 세계사적 성격" 단국대학교출판부 2017
8 윤종문, "한국독립운동의 세계사적 성격" 단국대학교출판부 2017
9 홍순호, "한국독립운동과 열강관계: 한국정치외교사학회 논총, 제2집" 평민사 1985
10 이덕희, "하와이 대한인국민회 100년사" 연세대학교 대학출판문화원 2013
11 허재영, "태서신사 언역본 주해" 도서출판 경진 2015
12 조세현, "천하의 바다에서 국가의 바다로 : 해양의 시각으로 본 근대중국의 형성" 일조각 2016
13 권기돈, "조지 피치와 대한민국 : 피치 회고록과 문서 속 한국과 김구" 하우 2018
14 조봉암, "조봉암과 진보당" 한길사 1991
15 김원용, "재미한인 50년사" 혜안 2004
16 김희곤, "임시정부 시기의 대한민국 연구" 지식산업사 2015
17 한흥수, "임시정부 빠리위원부 통신국이 발행한 월간지 La Corée Libre(1920~21)에 대하여" 8 : 1990
18 정상천, "일제강점기(1910-1945)동안의 한국독립운동에 대한 프랑스 정부의 정책" 한국정치외교사학회 26 (26): 219-252, 2005
19 나가타 아키후미, "일본의 조선통치와 국제관계 : 조선독립운동과 미국 1910~1922" 일조각 2008
20 고정휴, "이승만과 한국독립운동" 연세대학교 출판부 2004
21 유영익, "이승만과 대한민국임시정부" 연세대학교 출판부 2009
22 손세일, "이승만과 김구 전7권" 조선뉴스프레스 2015
23 김명섭, "워싱턴회의 시기 이승만의 외교활동과 신문 스크랩, 1921-1922" 한국정치학회 51 (51): 175-198, 2017
24 강덕상, "여운형과 上海 임시정부" 선인 2017
25 나미키 요리히사, "아편전쟁과 중화제국의 위기" 논형 2017
26 배경한, "쑨원과 한국 : 중화주의와 사대주의의 교차" 한울아카데미 2007
27 김용구, "세계외교사"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6
28 류후이우(劉惠吾), "상해현대사" 경인문화사 2018
29 고정휴, "상해임시정부의 초기 재정운영과 차관교섭 ―임시대통령 이승만의 역할을 중심으로―" 고려사학회 (29) : 209-247, 2007
30 윤대원, "상해시기 대한민국임시정부 연구"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6
31 위앤진, "상하이는 어떻게 중국 근대의 문화중심이 될 수 있었는가" 한국학연구소 (20) : 7-27, 2009
32 국사편찬위원회, "사료 고종시대사 10" 한국사데이타베이스
33 김구, "백범일지" 돌베개 2002
34 김덕영, "루터와 종교개혁 : 근대와 그 시원에 대한 신학과 사회학" 길 2017
35 윤상원, "러시아지역 한인의 항일무장투쟁 연구 : 1918-1922"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0
36 김용구, "러시아의 만주 한반도 정책사, 17~19세기" 푸른역사 2018
37 대한민국임시정부자료집 편찬위원회, "대한민국임시정부자료집 2: 임시의정원 I"
38 대한민국임시정부자료집 편찬위원회, "대한민국임시정부자료집 24: 대유럽외교 II" 국사편찬위원회 2010
39 최기영, "대한민국임시정부자료집 23: 대유럽외교I" 국사편찬위원회 2008
40 대한민국임시정부자료집 편찬위원회, "대한민국임시정부자료집 23: 대유럽외교 I"
41 申載洪, "대한민국임시정부외교사 연구" 경희대학교 1988
42 鄭用大, "대한민국임시정부외교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2
43 추헌수, "대한민국임시정부사"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 연구소 1989
44 김희곤, "대한민국임시정부 연구" 지식산업사 2004
45 孫科志,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 80주년 기념논문집" 국가보훈처 1999
46 신용하,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현대사적 성찰" 나남 2010
47 김명섭, "네르친스크조약의 국제정치학 : 1689년 러·청 국제조약에 관한 연구" 한국국제정치학회 57 (57): 7-44, 2017
48 조봉암., "내가 걸어온 길"
49 김광재, "근현대 상해 한인사 연구" 경인문화사 2018
50 양일모, "근대 중국의 서양 학문 수용과 번역" 한국철학사상연구회 15 (15): 119-152, 2004
51 김승욱, "근대 상하이 도시 공간과 기억의 굴절" 중국근현대사학회 (41) : 115-140, 2009
52 강미정, "근대 계몽기 한국에서의 중국 번역 서학서 수용 양상과 의의" 동악어문학회 (71) : 253-288, 2017
53 김준석, "국제정치의 탄생: 근세 초 유럽 국제정치사의 탐색, 1494~1763" 북코리아 2018
54 秋憲樹, "資料 韓國獨立運動, 1, 2, 3, 4(상), 4(하)" 연세대학교 출판부 1971
55 呂運亨, "自叙傳 第二: 나의 上海時代" 4 (4): 1932
56 姜德相, "現代史資料 26" みすず書房 1967
57 李圭甲, "漢城臨時政府 수립의 전말"
58 金正明, "朝鮮獨立運動 II" 原書房 1967
59 金榮秀, "大韓民國臨時政府憲法論 : 憲法制定의 背景 및 改憲過程을 中心으로" 三英社 1980
60 이현희, "大韓民國臨時政府史" 한국학술정보 2003
61 李延馥, "大韓民國臨時政府 30年史" 국학자료원 1999
62 方善柱, "在美韓人의 獨立運動" 한림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1989
63 金承學, "亡命客行蹟錄: 제가 적은 옛 자취" 12 : 1998
64 孫科志, "上海韓人社會史(1910~1945" 한울 2001
65 리우후이우(劉惠吾), "上海近代史" 경인문화사 2016
66 "『독립신문』. 1923년 제169호~1926년 198호"
67 "『獨立新聞』. 1919년 제22호~1923년 제168호"
68 "『獨立』. 1919년 제1호~제21호"
69 Goh, Moo Song, "Western and Asian Portrayals of Robert Jermain Thomas (1839~1866), Pioneer Protestant Missionary to Korea: A Historical Study of an East-West Encounter through His Mission" The University of Birmingham 1995
70 Ferguson, Nial, "The War of the World : History’s Age of Hatred" Penguin 2006
71 Gross, Leo, "The Peace of Westphalia, 1648~1948" 42 (42): 1948
72 Saul, Norman E., "The Life and Times of Charles R. Crane, 1858–1939: American Businessman, Philanthropist, and a Founder of Russian Studies in America" Lexington Books 2013
73 Crawford, James R, "The Creation of States in International Law" Oxford University Press 2006
74 Cady, J. F., "The Beginnings of French Imperialism in the Pacific Orient" 14 : 1942
75 Laffey, John F., "Racism and Imperialism: French Views of the ‘Yellow Peril’ 1894–1914" (Spring) : 1977
76 Young, Allen, "On Korea" 9 (9): 1864
77 "Madrolle’s Guide Books: Northern China, The Valley of the Blue River" Hachette & Company 1912
78 KBS 1TV, "KBS 파노라마: 카레이스키 150"
79 Johnstone, William C., "International Relations: The Status of Foreign Concessions and Settlements in the Treaty Ports of China" 31 (31): 1937
80 Leclair, Zacharie, "Charles R. Crane and Wilsonian Progressivism" Peter Lang 2017
81 서재필, "A Few Recollection of the 1898 Revolution, 回顧甲申政變"
82 Nussbaum, Arthur, "A Concise History of the Law of Nations" The Macmillan Company 1961
83 김희곤, "3.1운동과 1919년의 세계사적 의의" 동북아역사재단 2010
84 서광덕, "19세기 중엽 ‘상하이 지식네트워크’에 대한 고찰" 대한중국학회 (63) : 201-218, 2018
85 강상규, "19세기 동아시아의 패러다임 변환과 제국 일본" 논형 2007
86 조규태, "1920년대 북경고려기독교청년회의 종교활동과 민족운동" 한국기독교역사학회 (31) : 163-198, 2009
87 "1793년 프랑스헌법"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3 | 평가예정 |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 |
2018-01-01 | 평가 |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3-03-22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The Korean Journal of International Studies -> Korean Journal of International Relations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0-12-01 | 평가 | 학술지 분리 (기타) | ![]() |
2010-06-22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The Korean Journal of International Relations -> The Korean Journal of International Studies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1999-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91 | 0.91 | 1.1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07 | 1.09 | 1.415 | 0.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