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음악비평 활동의 창의․인성 교육적 접근 = The Creativity․Character Education Approach of Musical Criticism Activ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23363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education of the world is advocating the creativity·character education while searching for more effective education contents and methods. Pursuing new values and raising people with desirable character would be an effort for more developmental future. The subject of music has also been making effort to raise creativity under such context and many related studies have been performed. But it is true that the theoretic approach and practical investigation were lacking in the character aspect. At this point in time when the creativity·character education is required, the subject of music needs a more comprehensive approach according to the objectives, contents and methods of one step more advanced education in which the creativity and character are applied. The musical criticism activity requires linguistic expression through creative thinking as a process of making value assessment on all phenomena related to music. It is also one of learning activities to investigate and learn character factors under the situation of having various problems. But the musical criticism activity in the subject of music is still unable to have the depth and range to the extent of being actively utilized in the learning activity. Accordingly, this study has searched for what kind of position that the musical criticism activity can have in the aspect of creativity·character education which is raised as being important at this time.
      The desirable use of musical criticism activity for creativity·character education would have to be performed by the contents and methods corresponding to the essence of musical subject and would have to utilize questions that can stimulate various thoughts by the students. Also, the range of thought would have to be widened by making them become able to present rational basis in determining values on the phenomena related to music. Although the musical criticism was long considered as an activity that can be performed only by the people with professional knowledge, it can be adequately utilized by being reorganized as the learning activity of students. Therefore, an activity of reorganizing the theory and essence of musical criticism established through long history of musical criticism would be necessary.
      번역하기

      The education of the world is advocating the creativity·character education while searching for more effective education contents and methods. Pursuing new values and raising people with desirable character would be an effort for more developmental f...

      The education of the world is advocating the creativity·character education while searching for more effective education contents and methods. Pursuing new values and raising people with desirable character would be an effort for more developmental future. The subject of music has also been making effort to raise creativity under such context and many related studies have been performed. But it is true that the theoretic approach and practical investigation were lacking in the character aspect. At this point in time when the creativity·character education is required, the subject of music needs a more comprehensive approach according to the objectives, contents and methods of one step more advanced education in which the creativity and character are applied. The musical criticism activity requires linguistic expression through creative thinking as a process of making value assessment on all phenomena related to music. It is also one of learning activities to investigate and learn character factors under the situation of having various problems. But the musical criticism activity in the subject of music is still unable to have the depth and range to the extent of being actively utilized in the learning activity. Accordingly, this study has searched for what kind of position that the musical criticism activity can have in the aspect of creativity·character education which is raised as being important at this time.
      The desirable use of musical criticism activity for creativity·character education would have to be performed by the contents and methods corresponding to the essence of musical subject and would have to utilize questions that can stimulate various thoughts by the students. Also, the range of thought would have to be widened by making them become able to present rational basis in determining values on the phenomena related to music. Although the musical criticism was long considered as an activity that can be performed only by the people with professional knowledge, it can be adequately utilized by being reorganized as the learning activity of students. Therefore, an activity of reorganizing the theory and essence of musical criticism established through long history of musical criticism would be necessar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창의․인성 교육을 위한 효과적인 음악비평 활동의 방법과 내용에 대해 살펴본다. 창의․인성 교육은 전 세계적인 교육의 추세이며 우리나라에서도 이를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음악비평 활동은 음악과 관련된 다양한 현상에 대한 가치 평가를 내리는 과정으로 깊이 있고 폭넓은 사고, 독창적인 아이디어, 논리적, 감성적 언어 표현 능력 등을 요구하며 창의성 향상에 도움이 되는 활동이다. 또한 가치 판단의 과정에서 경험하게 되는 여러 가지 상황들은 인성교육의 효과적인 내용과 방법이 된다. 따라서 창의․인성 교육을 위한 음악비평 활동은 음악교과의 본질을 살리며, 창의․인성 교육의 요소들이 학습될 수 있는 제재를 선정하고 효과적인 질문을 통해 학생들의 활발한 사고와 교사·학생, 학생·학생 간의 의사소통을 유도해야 한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창의․인성 교육을 위한 효과적인 음악비평 활동의 방법과 내용에 대해 살펴본다. 창의․인성 교육은 전 세계적인 교육의 추세이며 우리나라에서도 이를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

      본 논문은 창의․인성 교육을 위한 효과적인 음악비평 활동의 방법과 내용에 대해 살펴본다. 창의․인성 교육은 전 세계적인 교육의 추세이며 우리나라에서도 이를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음악비평 활동은 음악과 관련된 다양한 현상에 대한 가치 평가를 내리는 과정으로 깊이 있고 폭넓은 사고, 독창적인 아이디어, 논리적, 감성적 언어 표현 능력 등을 요구하며 창의성 향상에 도움이 되는 활동이다. 또한 가치 판단의 과정에서 경험하게 되는 여러 가지 상황들은 인성교육의 효과적인 내용과 방법이 된다. 따라서 창의․인성 교육을 위한 음악비평 활동은 음악교과의 본질을 살리며, 창의․인성 교육의 요소들이 학습될 수 있는 제재를 선정하고 효과적인 질문을 통해 학생들의 활발한 사고와 교사·학생, 학생·학생 간의 의사소통을 유도해야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홍, "확산적 사고와 수렴적 사고: 좌뇌와 우뇌의 연관성" 한국지식경영학회 7 (7): 1-11, 2006

      2 홍승연, "합주활동을 통한 인성교육 실현방안 모색" 한국음악교육공학회 (9) : 231-244, 2009

      3 안범회, "학교에서의 인성교육의 실태와 개선방안" 강원도 교육과학연구원 연구보고서 2004

      4 박진홍, "초등학교 음악수업에서 활용되는 음악의 언어표현 분석" 한국음악교육공학회 (7) : 15-30, 2008

      5 교육과학기술부, "초등학교 교사용지도서 도덕" 지학사 2011

      6 김도훈, "청소년의 시스템 사고 교육을 통한 창의성의 기반이 되는 사고의 확장 효과 분석"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학회 7 (7): 51-65, 2006

      7 박인호, "창의적인 인재육성은 국가의 미래" 한국과학창의재단 2009

      8 윤종용, "창의적인 인재육성은 국가의 미래" 한국과학창의재단 2009

      9 백윤수, "창의적 인재 육성 방안" 2008

      10 교육과학기술부, "창의․인성 교육 기본방안"

      1 이홍, "확산적 사고와 수렴적 사고: 좌뇌와 우뇌의 연관성" 한국지식경영학회 7 (7): 1-11, 2006

      2 홍승연, "합주활동을 통한 인성교육 실현방안 모색" 한국음악교육공학회 (9) : 231-244, 2009

      3 안범회, "학교에서의 인성교육의 실태와 개선방안" 강원도 교육과학연구원 연구보고서 2004

      4 박진홍, "초등학교 음악수업에서 활용되는 음악의 언어표현 분석" 한국음악교육공학회 (7) : 15-30, 2008

      5 교육과학기술부, "초등학교 교사용지도서 도덕" 지학사 2011

      6 김도훈, "청소년의 시스템 사고 교육을 통한 창의성의 기반이 되는 사고의 확장 효과 분석"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학회 7 (7): 51-65, 2006

      7 박인호, "창의적인 인재육성은 국가의 미래" 한국과학창의재단 2009

      8 윤종용, "창의적인 인재육성은 국가의 미래" 한국과학창의재단 2009

      9 백윤수, "창의적 인재 육성 방안" 2008

      10 교육과학기술부, "창의․인성 교육 기본방안"

      11 박춘성, "창의·인성의 특성과 학교에서의 발현을 위한 방안 탐색" 한국창의력교육학회 10 (10): 61-72, 2010

      12 문용린, "창의·인성 교육 총론" 21-29, 2010

      13 최준환, "인성교육의 문제점 및 창의․인성 교육의 이론적 고찰" 9 (9): 89-112, 2009

      14 Blacking, J, "인간은 얼마나 음악적인가" 민음사 1998

      15 오상규, "음악활동을 활용한 인성교육 프로그램이 여중생의 사회성, 교육관계 및 대인 불안에 미치는 영향" 한국상담학회 8 (8): 513-532, 2007

      16 최금뢰, "음악학" 심설당 2004

      17 박지원, "음악적 창의성 증진을 위한 총체예술의 필요성과 의의" 낭만음악사 20 (20): 37-57, 2008

      18 박진홍, "음악비평의 교육적 의의와 학습 방법 연구" 한국음악교육학회 33 : 159-180, 2007

      19 박진홍, "음악비평 활동이 음악인지 능력에 미치는 영향" 경성대학교 2009

      20 Reimer, B, "음악교육철학" 세광음악출판사 1987

      21 민경훈, "외국의 초등학교 1․2학년 음악과 교육과정에 관한 분석 연구 - 일본․미국․영국․프랑스․독일․핀란드를 중심으로" 한국음악교육학회 40 (40): 89-112, 2011

      22 이철수, "사회복지학사전" 블루피쉬 2009

      23 교육과학기술부, "기존 교육의 문제점"

      24 Aschenbrenner, K, "The concepts of criticis" D. Reidel Publishing Company 1974

      25 Sadie, S, "The New Grove Dictionary of Music and Musicians" Grove 2001

      26 Mandler, J. M, "Representation, In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Vol. 2. Cognition, perception, and language" John Wiley 255-308, 1998

      27 Tait, M. J, "Principles and processes of music education : new perspectives" Teachers College Press 1984

      28 Patchen, J, "Overview of Discipline-based music education" 84 : 1997

      29 Condry, J, "Enemies of exploration: Self-initiated versus other-initiated learning" 35 : 1977

      30 Barrett,T, "Criticizing art with children" 1992

      31 Stolniz, J, "Aesthetics and Philosophy of Art Criticism-A Critical Introduction" Houghton Mifflin 196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10-1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Music Educational Technology -> Journal of Music Education Science KCI등재후보
      2008-10-15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컴퓨터음악교육학회 -> 한국음악교육공학회
      영문명 : The Korean Computer Music Education Society -> The Korean Society of Music Education Technology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 0.7 0.6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5 0.67 0.785 0.3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