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는 현대 중국 SF 문학에 등장하는 ‘비주체’적 존재들의 말하기 양상과 서사전략을 분석함으로써 기술사회에서 인간의 정체성과 존재의 윤리성이 재구성되는 과정을 탐색하려는 시도...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현대 중국 SF 문학에 등장하는 ‘비주체’적 존재들의 말하기 양상과 서사전략을 분석함으로써 기술사회에서 인간의 정체성과 존재의 윤리성이 재구성되는 과정을 탐색하려는 시도...
본고는 현대 중국 SF 문학에 등장하는 ‘비주체’적 존재들의 말하기 양상과 서사전략을 분석함으로써 기술사회에서 인간의 정체성과 존재의 윤리성이 재구성되는 과정을 탐색하려는 시도이다. 이에 현대 중국 SF 작가 샤쟈(夏笳)의 마인드 게임, 겨울 밤길을 걷는 자, 용마의 꿈 세 작품을 중심으로 감정, 기억, 감각이라는 감응적 매개를 통해 비주체적 존재들이 문학적 주체로서 복귀하는 방식을 조명한다. 이들 작품에 등장하는 비주체는 인간이거나 인간이 아닌 존재이자 기존의 언어 중심적 서사 규범에 포착되지 않는 경계적 존재로서 감응의 경험을 통해 새로운 의미화의 가능성을 열어 보이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다양한 서사 구조를 통해 기존의 주체 중심 서사를 비판적으로 재구성하고 말하지 않음, 침묵, 감응 등의 방식이 비주체적 존재의 서사 실천이 될 수 있음을 논증하고자 하였다. 이때 말하지 않음은 단순한 부재를 넘어 타자에 대한 감응적 윤리로 전환되고 침묵은 말하기의 또 다른 형태로 문학적 기능을 획득한다. 독자는 이들의 말할 수 없음에 응답함으로써 새로운 서사 공동체의 일부가 되고 감응은 관계의 윤리로 확장된다. 요컨대 본 연구는 궁극적으로 말할 수 없는 존재들이 어떻게 문학이라는 감응의 장(場) 속에서 자신을 표현하고 감각될 수 있는가를 고찰함으로써 현대 중국 SF 문학이 인간성의 새로운 가능성을 사유하는 철학적 장으로 기능할 수 있음을 밝히고자 하였다. 나아가 비주체의 서사 실천은 인간성 그 자체에 대한 근본적 재사유를 요청하는 문학적 실험이자 윤리적 상상력의 장임을 입증하고자 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examined how contemporary Chinese SF challenged traditional subjectivity through marginalized entities in Xia Jia's Psychological Game, If on a Winter's Night a Traveler, and The Dream of the Dragon-Horse. These works revealed alternative e...
This paper examined how contemporary Chinese SF challenged traditional subjectivity through marginalized entities in Xia Jia's Psychological Game, If on a Winter's Night a Traveler, and The Dream of the Dragon-Horse. These works revealed alternative expressions of being in posthuman environments, moving beyond linguistic articulation to affective communication. Psychological Game exposes emotion's commodification through algorithmic manipulation of therapeutic confession, blurring boundaries between human empathy and AI simulation. Winter's Night constructs an ethics of silence through an anonymous poet's legacy, resisting affective capitalism's spectacle-driven logic. Dragon-Horse redefines subjectivity through a machine's sensory, non-verbal experiences in a posthuman world. Drawing on Butler, Massumi and Foucault, this study positions these narratives as ethical experiments that critique techno-social affect while reimagining literary space for posthuman identities.
《전주와 가차의 상보적 기능에 대한 연구》- 중국어 언어 표현력과 문자 체계 안정성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
‘만들어진’ 잉카의 문화유산: 쿠스코 지역 엘리트의 역할과 그 사상적 기반
중국과 일본의 대(對)아프리카 문화외교 : 전략 비교와 언론담론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