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張彦遠, "歷代名畵記" 시공아트 2008
2 朱熹, "論語集註" 전통문화연구회 2018
3 朱熹, "중용장구, 중용혹문" 한길사 2014
4 드배리, 시어도어, "중국의 자유전통" 이산출판사 2004
5 兪劍華, "중국역대화론 I" 다운샘출판사 2004
6 정병석, "주역" 을유문화사 2018
7 손정희, "조선시대 ‘완물’(玩物)의 논리 구조 - ‘유어예’(游於藝)와 ‘완물’의 층위를 중심으로" 한국미학회 84 (84): 1-40, 2018
8 김재숙, "북송대 문인화론에 나타난 동양예술정신- 문인 계층의 미학적 은일주의를 중심으로 -" 대한철학회 115 : 23-45, 2010
9 정혜린, "북송대 문인화 사대부 문화의 시각화 - 소식(蘇軾)의 논의를 중심으로 -" 인문학연구원 112 : 231-263, 2018
10 李浩然, "郭若虛繪畫思想中的氣韻觀硏究" 山東大學 2015
1 張彦遠, "歷代名畵記" 시공아트 2008
2 朱熹, "論語集註" 전통문화연구회 2018
3 朱熹, "중용장구, 중용혹문" 한길사 2014
4 드배리, 시어도어, "중국의 자유전통" 이산출판사 2004
5 兪劍華, "중국역대화론 I" 다운샘출판사 2004
6 정병석, "주역" 을유문화사 2018
7 손정희, "조선시대 ‘완물’(玩物)의 논리 구조 - ‘유어예’(游於藝)와 ‘완물’의 층위를 중심으로" 한국미학회 84 (84): 1-40, 2018
8 김재숙, "북송대 문인화론에 나타난 동양예술정신- 문인 계층의 미학적 은일주의를 중심으로 -" 대한철학회 115 : 23-45, 2010
9 정혜린, "북송대 문인화 사대부 문화의 시각화 - 소식(蘇軾)의 논의를 중심으로 -" 인문학연구원 112 : 231-263, 2018
10 李浩然, "郭若虛繪畫思想中的氣韻觀硏究" 山東大學 2015
11 彭萊, "郭若虛“氣韻非師”說與北宋文人畵思潮" 文化藝術出版社 (289) : 2016
12 王陶峰, "郭若虛“心印說”意涵辨析" 西安美術學院 2020 (2020): 2020
13 손보미, "董其昌 繪畵論에서 ‘師’ - ‘師’의 지향 : 독창성 -" 동양고전학회 (46) : 217-246, 2012
14 董其昌, "畵眼" 시공사 2012
15 李滿, "氣韻生動說的道禪哲學淵源" 南昌師範學院 23 (23): 2002
16 張完碩, "宋代畫論美學硏究" 武漢大學 2004
17 郭若虛, "圖畵見聞誌" 시공사 2007
18 兪劍華, "中國畵論類編" 華正書局有限公司 1984
19 何楚熊, "中國畫論硏究" 中國社會科學出版社 1996
20 조송식, "『도화견문지』에 나타난 곽약허의 예술사상" 한국미학회 (49) : 1-40, 2007
21 蔡釗, "“氣韻本乎游心”-道家“氣”思想的心學意義" 四川大學道敎與宗敎文化硏究所 2011 (2011): 2011
22 손보미, "‘游’의 원리로 구성되는 畵意의 구조 연구 서설 — 『圖畵見聞誌』, 『林泉高致』를 중심으로 —" 동양고전학회 (41) : 445-476,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