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담장허물기로 인한 주택지 외부공간의 열환경 평가 = Evaluation of Thermal Environment of External Space following the Fence Demolition Campaign in Detached Housing A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79052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how fence demolition may change the thermal environments of external spaces of houses and suggests what factors need to be considered when a fence is demolished.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summarized as follows. In terms of th...

      This study examines how fence demolition may change the thermal environments of external spaces of houses and suggests what factors need to be considered when a fence is demolished.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summarized as follows. In terms of the surface temperatur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time plots after the removal of all materials. However, applying greening methods (changing the surface materials, planting trees, and building a green roof following fence demolition) could lower the surface temperatures, calling for proper plans for various greening methods. The MRT results indicates that walls block solar radiation and provide shade, reducing radiant heat from roads and surrounding structures during the daytime when solar radiation directly effects surface temperatures. Also, the application of greening methods such as planting vegetation and trees could have shading and evapotranspiration effects, leading to a lower temperature distribution. The HIP results were similar to the MRT results. They indicated that walls block solar radiation within the residential sections and provide shade, resulting in a lower temperature distribution during the daytime. However, areas where greening methods such as a green roof or tree planting were applied showed $1{\sim}2^{\circ}C$ difference in temperature distributi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수봉, "한국의 공동체 도시환경 개선사업 평가 : 대구광역시 담장허물기사업을 사례로" 한국환경과학회 13 (13): 863-870, 2004

      2 박은태, "친환경 건축물 인증 아파트 단지 일조환경 분석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23 (23): 3-13, 2007

      3 박경돈, "지방자치단체 담장허물기 사업의 정책효과 분석: 범죄예방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정부학회 14 (14): 203-223, 2010

      4 오규식, "열환경 향상을 위한 아파트 주동배치계획"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12 (12): 83-94, 2009

      5 장은숙, "아파트 단지내의 열섬효과가 대기오염물질 확산에 미치는 영향 해석을 위한 열유동장 수치모의" 한국환경과학회 14 (14): 577-582, 2005

      6 백승인, "담장허물기사업이 거주민의 커뮤니티의식 및 안전의식에 미치는 영향 - 서울시 단독주택지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지역개발학회 22 (22): 181-200, 2010

      7 최정민, "담장허물기 사업에 대한 주민참여 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0 (40): 25-2, 2005

      8 윤용한, "공원녹지의 토지피복비율과 기온간의 요인분석" 한국환경과학회 17 (17): 485-491, 2008

      9 윤성환, "공동주택의 주동형상 및 배치유형에 따른 여름철 옥외 열환경 예측 평가" 대한건축학회 25 (25): 321-328, 2009

      10 류지원, "공동주택단지 환경친화 계획특성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 15 (15): 97-106, 2004

      1 김수봉, "한국의 공동체 도시환경 개선사업 평가 : 대구광역시 담장허물기사업을 사례로" 한국환경과학회 13 (13): 863-870, 2004

      2 박은태, "친환경 건축물 인증 아파트 단지 일조환경 분석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23 (23): 3-13, 2007

      3 박경돈, "지방자치단체 담장허물기 사업의 정책효과 분석: 범죄예방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정부학회 14 (14): 203-223, 2010

      4 오규식, "열환경 향상을 위한 아파트 주동배치계획"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12 (12): 83-94, 2009

      5 장은숙, "아파트 단지내의 열섬효과가 대기오염물질 확산에 미치는 영향 해석을 위한 열유동장 수치모의" 한국환경과학회 14 (14): 577-582, 2005

      6 백승인, "담장허물기사업이 거주민의 커뮤니티의식 및 안전의식에 미치는 영향 - 서울시 단독주택지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지역개발학회 22 (22): 181-200, 2010

      7 최정민, "담장허물기 사업에 대한 주민참여 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0 (40): 25-2, 2005

      8 윤용한, "공원녹지의 토지피복비율과 기온간의 요인분석" 한국환경과학회 17 (17): 485-491, 2008

      9 윤성환, "공동주택의 주동형상 및 배치유형에 따른 여름철 옥외 열환경 예측 평가" 대한건축학회 25 (25): 321-328, 2009

      10 류지원, "공동주택단지 환경친화 계획특성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 15 (15): 97-106, 2004

      11 류지원, "공동주택 건축물 층수완화에 따른 열환경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 22 (22): 93-100, 2011

      12 Nikolopoulou, M., "Use of outdoor spaces and microclimate in a mediterranean urban area" 42 (42): 3691-3707, 2007

      13 전미영, "Unsteady-state CFD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여름철 공동주택 외부공간의 온열환경 및 쾌적성 평가"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10 (10): 67-73, 2010

      14 Nikolopoulou, M, "Thermal comfort and psychological adaptation as a guide for designing urban spaces" 35 (35): 95-101, 2003

      15 Lee, J., "The influence of demolish a wall at houses upon the inhabitants’ satisfaction" University of Chungju 2006

      16 Ryu, J., "Study on evaluation of thermal environment following alleviation of limit on number of floors of apartment complex" 923-933, 2011

      17 Givoni, B, "Outdoor comfort research issue" 35 (35): 77-86, 2003

      18 Mayer, H, "Human thermal comfort in summer within an urban street canyon in Central Europe" 17 (17): 241-250, 2008

      19 Sato, R, "Evaluation of thermal control effect of vegetation in substantial urban area using numerical simulation" 4 : 723-724, 2004

      20 Hoyano, A, "Environmental design tool by combining outdoor thermal environment simulation with 3D-CAD" 20 : 195-199, 2004

      21 Oliveira, s, "An initial assessment of the bioclimatic comfort in an outdoor public space in Lisbon" 52 (52): 69-84, 2007

      22 Jun, H, "A study on urban environmnet change and improvement method of the fence demolition campaign in detached housing area" University of Seoul 2010

      23 Noh, Y, "A study on the post evaluation of the residents in the walless housing" University of Hanyang 2007

      24 Son, S, "A study on the implementation strategy of community development wall removal campaign in Daegu" 26 (26): 7-27, 2001

      25 Kwon, Y, "A study on civil attitutes on fence removal" University of Keimyun 200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2 0.52 0.5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4 0.53 0.797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