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허나영, "현대한국채색화의 네오팝 경향과 의미" 한국조형교육학회 75 : 379-395, 2020
2 박경주, "현대미술에서 나타나는 네오 팝 아트에 관한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16 (16): 209-219, 2015
3 오세권, "현대 한국화에 나타나는 ‘차용’ 표현에 대한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15 (15): 317-329, 2014
4 유정서, "현대 민화화단의 진로-전승과 창작" 8 : 79-80, 2017
5 조은정, "한국현대미술에서 민화의 이코노그래피-현대미술의 창작 원천으로서의민화" 5 : 44-65, 2014
6 김복기, "한국미술의 동시대성과 비평담론" 미술사학연구회 (41) : 197-224, 2013
7 홍선표, "한국근대미술사" 시공사 2010
8 홍경한, "한국 현대 민화에 대한 미적 담론의 필요성"
9 강민기, "한국 근대 수묵채색화 연구사"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구 한국근대미술사학회) (24) : 7-32, 2012
10 정연심, "포스트-미디엄과 포스트프로덕션: 포스트모더니즘 이후 현대미술의 ‘동시대성(contemporaneity)’" 한국미술이론학회 (14) : 187-215, 2012
1 허나영, "현대한국채색화의 네오팝 경향과 의미" 한국조형교육학회 75 : 379-395, 2020
2 박경주, "현대미술에서 나타나는 네오 팝 아트에 관한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16 (16): 209-219, 2015
3 오세권, "현대 한국화에 나타나는 ‘차용’ 표현에 대한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15 (15): 317-329, 2014
4 유정서, "현대 민화화단의 진로-전승과 창작" 8 : 79-80, 2017
5 조은정, "한국현대미술에서 민화의 이코노그래피-현대미술의 창작 원천으로서의민화" 5 : 44-65, 2014
6 김복기, "한국미술의 동시대성과 비평담론" 미술사학연구회 (41) : 197-224, 2013
7 홍선표, "한국근대미술사" 시공사 2010
8 홍경한, "한국 현대 민화에 대한 미적 담론의 필요성"
9 강민기, "한국 근대 수묵채색화 연구사"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구 한국근대미술사학회) (24) : 7-32, 2012
10 정연심, "포스트-미디엄과 포스트프로덕션: 포스트모더니즘 이후 현대미술의 ‘동시대성(contemporaneity)’" 한국미술이론학회 (14) : 187-215, 2012
11 테리 스미스, "컨템포러리 아트란 무엇인가" 마로니에북스 2013
12 박혜성, "초현실주의 경향의 1950~1970년대 한국미술 - 구상 회화를 중심으로 -" 한국예술연구소 (27) : 161-183, 2020
13 조용진, "채색화 기법" 미진사 1994
14 이태호, "조선후기 회화의 사실정신" 학고재 1999
15 유홍준, "조선시대 화론 연구" 학고재 1998
16 이상현, "전통회화의 색; 우리 회화 전통 안료 바로 알기" 가일아트 2012
17 사와라기 노이, "일본․현대․미술" 두성북스 1998
18 윤진섭, "인사미술제와 한국의 팝아트 1967-2009" 에이엠아트 11-93, 2009
19 김성희, "이당 김은호의 채색인물화에 대한 재평가"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 2 : 115-146, 1995
20 정종미, "우리 그림의 색과 칠" 학고재 출판사 2001
21 류승민, "와유(臥遊), 그림에서 ‘우리’를 만나기-작가 조풍류의 개인전에 부쳐-, ≪이산 저산 서울 한바퀴 – 조풍류展≫ 전시자료"
22 곰브리치, "예술과 환영" 열화당 2003
23 김기수, "어떻게 ‘컨템퍼러리 아트’를 번역할 것인가?" 서양미술사학회 (48) : 211-237, 2018
24 오광수, "시대와 한국미술" 미진사 2007
25 허나영, "생성하는 오이코스(≪성민우 개인전≫ 서문)" 그림손 갤러리 2016
26 성민우, "색으로 그린 그림" 가가북스 2019
27 고충환, "비평으로 본 한국미술" 대원사 2001
28 최열, "박생광 탄생 100주년 기념 자료집" 이영미술관 173-174, 2004
29 정병모, "민화는 민화다" 다할미디어 2018
30 정병모, "무명화가들의 반란, 민화" 다할미디어 2017
31 크레이그 오웬스, "모더니즘 이후, 미술의 화두" 눈빛 163-211, 1999
32 강민기, "동양화의 근대적 모색: 한국적 기법과 일본적 기법의 경계"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4 : 355-383, 2010
33 한정희, "동양미술사 상권" 미진사 2009
34 김영기, "동양미술론" 우일출판사 1980
35 송미숙, "김은호 고사도석인물화의 제작 양상" 5 : 211-230, 2016
36 이숙경, "글로벌리즘과 한국현대미술의 동시대성" 미술사학연구회 (40) : 71-87, 2013
37 최열, "근대 수묵 채색화 감상법" 대원사 2001
38 李淑子, "韓國近代 東洋畵의 연구 : 韓國畵定立을 위한 基礎 調査" 홍익대학교 대학원 1970
39 "≪그림과 세상을 벗하다–곽수연展≫ 전시자료"
40 김경연, "‘보편회화’ 지향의 역사 - 20세기 전반기 동양화 개념의 형성과 변모에 대하여"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구 한국근대미술사학회) (38) : 33-57, 2019
41 김기수, "‘1989년 이후 컨템퍼러리 아트’에서 ‘동시대성’의 문제: 미술사적 담론을 중심으로" 현대미술학회 21 (21): 53-112, 2017
42 Bourriaud, Nicola, "Postproduction: Culture as Screenplay: How Art Reprograms the Wold" Lukas & Sternberg 2002
43 박천남, "Glocalization 시대의 현대미술" 20 : 67-92, 2006
44 한세현, "19세기 책가도(冊架圖)의 새로운 경향: <호피장막도(虎皮帳幕圖)>를 중심으로" 한국미술사교육학회 35 : 191-220, 2018
45 김경연, "1970년대 한국화에 대한 기억: 이숙자 구술을 중심으로"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구 한국근대미술사학회) (22) : 137-154, 2011
46 강민기, "1930~1940년대 한국 동양화가의 일본화풍 일본화풍의 전개와 수용" 한국미술연구소 (29) : 223-248,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