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국인 학습자의 담화표지 ‘뭐’ 사용 분석 및교육 연구 = A Study on Korean Discourse Marker ‘mueo’ Used by Chinese Learn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32285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중·고급 중국인 학습자들의 일상대화 자료에 나타난 한국어 담화표지 ‘뭐’의 구체적 사용을 중간언어 관점에서 기능별로 분석하는 동시에 담화표지 ‘뭐’의 교육 가능성을 ...

      본 연구는 중·고급 중국인 학습자들의 일상대화 자료에 나타난 한국어 담화표지 ‘뭐’의 구체적 사용을 중간언어 관점에서 기능별로 분석하는 동시에 담화표지 ‘뭐’의 교육 가능성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자는 먼저 담화표지 ‘뭐’의 문법화 과정을 살핀 다음, 담화 맥락에 따라 열 가지 기능으로 분류함으로써 분석의 틀을 구축하였다. 이어서 ‘뭐’의 기능별 학습자 사용 및 오류를 파악하기 위해 2015년 3월부터 2016년 5월까지 60명의 중국인 학습자의 일상대화를 채록하여 분석해 보았다. 그리고 사후 인터뷰, 한·중 대조, 교재분석 등 방법을 활용하여 이러한 사용 및 오류의 원인을 질적으로 파악해 보았다. 그 결과, 학습자들이 ‘뭐’를 사용하는 데 있어서 모국어 “什么”에 기대는 경향이 강하며, 망설임 표시 기능의 ‘뭐’가 가장 빈번히 사용되 었으나 화자의 다양한 심리 태도를 표시하는 ‘뭐’는 전반적으로 능숙하게 사용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을 발견했다. 분석을 통해 교사 지도의 부족, 교재 기술의 불충분이 이러한 미숙한 사용을 초래하는 주된 원인으로 파악되었다. 마지막 부분에 서는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교육 내용 구성, 교수 방법, 교재 제시 등의 측면에서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담화표지 ‘뭐’ 교육을 위한 몇 가지 개선점을 마련해 보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use of Korean discourse markers ‘mueo’ in daily conversations of intermediate and advanced Chinese learners’ from the point of interlanguage and explore some suggestions for education of discourse marker ‘mueo’...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use of Korean discourse markers ‘mueo’ in daily conversations of intermediate and advanced Chinese learners’ from the point of interlanguage and explore some suggestions for education of discourse marker ‘mueo’.
      The grammaticalization process of ‘mueo’ was firstly examined and the framework for analysis was established based on ten kinds of discourse function of ‘mueo’. To investigate the use of ‘mueo’ and errors, 60 Chinese learners daily conversations were recorded and analysed from March, 2015 to May, 2016. Post interview, contrastive analysis between Chinese and Korean, analysis of the textbooks were utilized to grasp the cause of use and errors.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Chinese learners depended upon mother tongue ‘shenme’ when they used ‘mueo’. They showed high frequency on ‘mueo’ as a hesitation marker, but were inexperienced when it came to the use of ‘mueo’ which shows various attitudes of the speaker’s. Here, the inadequate teaching and lack of presentation in textbooks were analysed to be the main causes.
      Finally, on the basis of analysis results, some suggestions about the improvement on Korean discourse marker ‘mueo’ education for Chinese learners were provided from the aspect of education content construction, teaching method and textbook.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머리말
      • Ⅱ. 이론적 배경
      • Ⅲ. 연구 방법
      • Ⅳ. 중국인 학습자의 담화표지 ‘뭐’ 사용 분석
      • Ⅴ. 담화표지 ‘뭐’ 교육을 위한 개선점
      • Ⅰ. 머리말
      • Ⅱ. 이론적 배경
      • Ⅲ. 연구 방법
      • Ⅳ. 중국인 학습자의 담화표지 ‘뭐’ 사용 분석
      • Ⅴ. 담화표지 ‘뭐’ 교육을 위한 개선점
      • Ⅵ. 맺음말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민현식, "한국어교육을 위한 문법 기반 언어 기능의 통합 교육과정 구조화 방법론 연구" 국어교육연구소 (22) : 261-334, 2008

      2 서희정, "한국어교육에서 ‘무엇’의 기술 방안" 한국국어교육학회 (83) : 261-284, 2009

      3 정선혜,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담화표지 연구 : {글쎄}, {뭐}, {좀}을 중심으로" 상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4 형몽아, "한국어 의문사 담화표지의 중국어 대응 표현 연구 : ‘뭐’, ‘왜’, ‘어디’를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대학원 2015

      5 구본관, "한국어 문법 교수․학습 방법의 현황과 개선 방향" 국어교육연구소 (30) : 255-313, 2012

      6 이미혜, "한국어 문법 교수 방법론의 재고찰제2 언어 교수 이론에 바탕을 둔 교수 모형의 보완"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8 (18): 285-310, 2007

      7 주요, "한국어 담화표지에 관한 중국어 대응 표현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1

      8 이한규, "한국어 담화 표지어 ‘그래’의 의미연구" 3 : 1-26, 1996

      9 유나, "중국어권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구어 담화표지 교육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6

      10 차지현, "운율과 담화 기능의 상호 작용-문장 뒤에서 나타나는 한국어 담화 표지"뭐"를 중심으로-" 25 : 227-256, 2010

      1 민현식, "한국어교육을 위한 문법 기반 언어 기능의 통합 교육과정 구조화 방법론 연구" 국어교육연구소 (22) : 261-334, 2008

      2 서희정, "한국어교육에서 ‘무엇’의 기술 방안" 한국국어교육학회 (83) : 261-284, 2009

      3 정선혜,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담화표지 연구 : {글쎄}, {뭐}, {좀}을 중심으로" 상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4 형몽아, "한국어 의문사 담화표지의 중국어 대응 표현 연구 : ‘뭐’, ‘왜’, ‘어디’를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대학원 2015

      5 구본관, "한국어 문법 교수․학습 방법의 현황과 개선 방향" 국어교육연구소 (30) : 255-313, 2012

      6 이미혜, "한국어 문법 교수 방법론의 재고찰제2 언어 교수 이론에 바탕을 둔 교수 모형의 보완"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8 (18): 285-310, 2007

      7 주요, "한국어 담화표지에 관한 중국어 대응 표현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1

      8 이한규, "한국어 담화 표지어 ‘그래’의 의미연구" 3 : 1-26, 1996

      9 유나, "중국어권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구어 담화표지 교육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6

      10 차지현, "운율과 담화 기능의 상호 작용-문장 뒤에서 나타나는 한국어 담화 표지"뭐"를 중심으로-" 25 : 227-256, 2010

      11 이성하, "문법화의 이해" 한국문화사 1998

      12 박석준, "담화표지화의 정도성에 대한 한 논의 - ‘뭐, 어디, 왜’를 대상으로 -" 한말연구학회 (21) : 81-101, 2007

      13 남길임, "담화표지 ‘뭐’의 사용패턴과 기능" 한글학회 (288) : 91-119, 2010

      14 구종남, "담화표지 ‘뭐’의 문법화와 담화 기능" 35 : 5-32, 2000

      15 송인성, "담화표지 ‘뭐’의 기능과 운율적 특성" 한국어학회 58 : 83-106, 2013

      16 김선희, "담화 표지의 의미 연구" 27 : 5-26, 1995

      17 이정애, "국어 화용표지의 연구" 월인 2002

      18 김명희, "국어 의문사의 담화표지화" 담화·인지언어학회 12 (12): 41-64, 2005

      19 장소원, "국어 의문사 어휘의 실제적 용법 연구" 23 : 691-708, 1998

      20 王海峰, "自然口语中"什么"的话语分析" 2 : 21-29, 2003

      21 陈希, "中韩话语标记语语用功能对比研究" 中国海洋大学 2009

      22 吕叔湘, "中国文法要略" 商务印书馆 1982

      23 담청흔, "‘뭐’, ‘어디’를 중심으로 한 한국어 담화표지 교육에 대한 연구 : 중국대학교 한국어학과 학생을 대상으로"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9 1.29 1.3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7 1.42 1.436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