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연구목적 □ 현재 한국에서 성평등의식을 측정하는 검사도구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것이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에서 개발된 한국형남녀평등의식검사(김양희?정경...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322850
2016
-
337
학술저널
1-224(224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1. 연구목적 □ 현재 한국에서 성평등의식을 측정하는 검사도구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것이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에서 개발된 한국형남녀평등의식검사(김양희?정경...
1. 연구목적 □ 현재 한국에서 성평등의식을 측정하는 검사도구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것이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에서 개발된 한국형남녀평등의식검사(김양희?정경아, 1999)이다. 한국형남녀평등의식검사(Korean Gender Egalitarianism Scale: KGES)는 1999년에 개발된 이후 17년이 경과하였으며, 그 동안 양성평등 정책 및 학술 연구 등의 목적으로 사람들이 가진 ‘성차별의식/성평등’ 태도를 측정하는 가장 일반화된 검사도구로 활용되어 왔다. 그러나 시대가 변화하듯이 그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의 의식과 생각도 끊임없이 변화한다. 언제나 검사개발자인 연구자의 목표는 시대변화에 영향을 적게 받는 강건한 검사도구를 지향하지만, 사람들의 의식과 태도를 측정하는 그 어떤 검사도구도 이러한 변화에 따른 제약에서 완전히 자유로울 수는 없다. 한국형남녀평등의식검사(KGES) 역시 개발 당시와 비교하여, 시대상황이 크게 바뀌었고 정책 환경 또한 그 당시와 많이 달라져 이러한 변화들을 온전히 반영하는데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어 왔다. □ 최근 우리나라는 그 동안의 젠더 관련 정책의 기조가 여성발전기본법에서 양성평등기본법으로 전환기를 맞이하였고, 이에 따른 한국 국민이 가진 성별의식의 정도와 향후 추이를 가늠하여, 관련 정책에 반영해야 할 필요성이 점차 증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 KGES가 안고 있는 시대적 배경의 영향을 최소화하고, 사회적 당위성에 의한 바람직성에 입각한 응답 왜곡을 줄일 수 있는 신규 문항들을 추가 개발하는 등 개정작업을 통해, 향후 젠더 관련 정책 수립에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는 보다 신뢰도 높고 타당성을 갖춘, 보다 간편한 형태의 개정 한국형남녀평등의식검사를 마련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2. 연구내용 □ 안정된 검사도구의 개발은 상당한 시간과 노력, 또 이에 따른 많은 예산이 투입되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몇 차례의 사전 예비조사들이 필요하고, 개발된 문항들의 특성을 확인하기 위한 큰 규모의 본조사도 따라야 한다. 이 번 1차년도(2016년)에서는, 먼저 1999년에 개발된 한국형남녀평등의식검사의 구성개념 검토, 기존 문항이 갖고 있는 특성의 이해 및 이를 개선하기 위한 신규문항의 개발, 내용 타당화 및 구성타당도를 갖춘 검사도구(안)을 마련하는 것이 목표이다. 2차례에 걸친 예비조사와 1차례의 예비타당화조사를 포함하는 검사의 타당화를 위한 기초연구를 현재의 예산범위 내에서 수행하는 것이다. 추후 2차년도에는 보다 큰 규모의 전국 단위의 대표적 표집을 통한 본조사를 실시하여, 수렴 및 변별타당도 확인, 구성타당도를 위한 확인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표준화 규준 마련, 검사도구의 채점 및 해석을 위한 활용 매뉴얼 제작 등이 후속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 따라서 이번 1차년도(2016년) 연구의 범위와 목표는, 현재의 예산범위 내에서 가능한 수준으로 검사도구의 최종 문항을 선정하는 단계까지이며, 예산 투입이 가능한 시점에서 보다 큰 규모의 대표적 표집을 통한 본조사를 실시하여, 표준화 규준 및 검사 매뉴얼 제작작업 수행이 2차년도에 진행되어야할 연구내용이 될 것이다. □ 1차년도의 연구내용 - 개념설정 및 이론적 틀 마련 - 예비조사 1의 자유응답기술 및 문헌연구를 통한 문항 원집합 구성 - 예비조사 2 실시를 통한 문항의 하위 영역 범주화 및 문항 수정, 문항의 효과성 및 하위척도 반영도 제고, 문항 선별, 개정 남녀평등의식검사도구(안) 마련 - 예비 타당화조사를 통한 신뢰도, 구성타당도 확인, 최종 개정 남녀평등의식검사의 확정 □ 2차년도의 연구내용 - 전국단위 성인 남녀의 대표적 표집에 의한 본조사 실시 - 최종 검사도구의 구성타당도, 수렴 및 변별타당도, 신뢰도 확인 - 표준화 규준 마련 - 검사도구의 매뉴얼 제작 3. 연구방법 □ 본 연구의 연구방법은 성평등 및 성차별 관련 문헌연구, 기존 KGES 문항 검토와 신규 문항 개발 및 문항 원집합 구성을 위한 자유기술응답 형식의 예비조사 1, 문항 원집합에 대한 내용 타당화, 타당도 및 신뢰도 제고, 개정 남녀평등의식검사(안) 마련을 위한 예비조사 2, 선정된 검사(안)에 대한 신뢰도와 타당도 분석과 교차타당화 분석을 위한 예비타당화조사, 전문가 자문회의 등으로 진행되었다. 가. 문헌연구 성차별주의와 편견, 최근 척도개발 관련 연구동향, 성역할, 성차별/성평등 관련 기존 검사현황 및 검사개발 연구와 각종 심리검사개발 방법론에 관한 문헌들을 검토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1. Purpose of Study The Korean Gender Egalitarianism Scale (KGES) is the most widely used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test in Korea. The tool was developed by Yanghee Kim and Gyungah Jung back in 1999 and is now in its 17th year of use. Times have c...
1. Purpose of Study The Korean Gender Egalitarianism Scale (KGES) is the most widely used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test in Korea. The tool was developed by Yanghee Kim and Gyungah Jung back in 1999 and is now in its 17th year of use. Times have changed significantly, both social and government policy-wise, since the development of KGES. Thus, several individuals have noted the limitations that KGES possesses in adequately reflecting the major changes over the years. The former ??Basic Law on Women s Development?? has gone under a complete makeover and now been revised under the new name the ??Basic Act on Gender Equality??. With the newly revised Act, an awareness test of the general population has to be done on an annual basis and reflected in following gender policies. Consequently, in order to overcome limitations of the current measurement and to provide a tool with higher reliability and validity, a revised KGES (R-KGES) was developed. 2. Contents of Study The tool is to be developed over a two-year period. In the first year (2016), preliminary survey 1, preliminary survey 2, and feasibility study were conducted to come up with a tentative R-KGES. Then, in the second year, a large-scale survey will be conducted for adult men and women all around the nation. Additionally, a standardized tool and a manual for use of the developed R-KGES will be created. 3. Methodology of Study A.Preliminary survey 1 in which free-response survey was administered to 147 individuals B.Preliminary survey 2 in which 922 men and women aged 20 to 69 were given online surveys for selected items C.Feasibility study 3: Used measurement tool (tentative) obtained from preliminary study 2 and conducted survey for 2,600 individuals (2,000: online, 600: offline) 4. Results A. Structure of measurement tool -Composed of items which are relatively less impacted by changes in time -11 items from existing KGES included. Five items included in abridged version. -Composed into four domains like the existing KGES -Complete version consists of 32 items with 8 items per domain (reliability: ?=.96) -Abridged versions consists of 12 items with 3 items per domain (reliability: ?=.96) B. Measurement results -Scores were higher for younger age groups and higher levels of education. Scores higher for those who received gender equality education. -Average score respondents who identified with misogynous writings online was 2.67 while average score of those who did not was 3.03, thus displaying a significant gap between the two groups. C.Development of complete version (32 items) and abridged version (12 items) 5. Policy Suggestions A.Use R-KGES for family panel survey to identify long-term trends in changes in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B.Use as tool to identify gender conflicts in major policy issues related to gender equality C.Use as tool for developing egalitarian education contents and measuring education effectiveness D.Use as tool in central and regional public official training institutes to measure sexual discrimination by public officials E.Use as ground data for sexual and domestic violence counseling F.Provide as online measurement tool and have it on both websites of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and Korean Women s Development Institute so that all individuals who desire to do so may utilize R-KGES
목차 (Table of Contents)
건강정책에 대한 성인지적 분석과 향후 과제 : 청·장년층을 중심으로
2016년 아태지역 양성평등 정책 인프라 강화 사업(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