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경찰 문제행동과 시민의 법준수인식간 영향관계- 법냉소주의의 매개효과- = Effective Relation to Perception of Police Misconduct and Compliance of Law for Citizen: Mediated Effect of Legal Cynicis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49138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ased on the importance of securing legitimacy for the police pursued in the procedural justice model, the study identified the factors that police misconduct and citizen's legal cynicism which may lead to lack of legitimacy for the police, and the factors that affect the perception of complaince of law. Through prior research, police legitimacy is a factor that raises citizens' complaince of law and thus establishes a hypothesis that policing and cynicism which have been cited as negative factors in establishing legitimacy for police, will have an impact on the perception of compliance of law.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olice behavior problem was cynicism, identified as a factor to increase the law. Second, the police action problem is the citizens 'awareness shown to have a negative impact on compliance of law. Third, the law recognition shown to have a negative impact on compliance with the laws of its cynicism. Finally, the study showed that legal cynicism has a medial effect in the negative impact of policing on citizens' compliance of law. Through these analyses, individual police officers came up with suggestions such as the need for a more systematic and realistic education to comply with the proper procedures in enforcing the law, and the preparation and supplementation of policies for the police to communicate and approach the people in a friendly manner.
      번역하기

      Based on the importance of securing legitimacy for the police pursued in the procedural justice model, the study identified the factors that police misconduct and citizen's legal cynicism which may lead to lack of legitimacy for the police, and the fa...

      Based on the importance of securing legitimacy for the police pursued in the procedural justice model, the study identified the factors that police misconduct and citizen's legal cynicism which may lead to lack of legitimacy for the police, and the factors that affect the perception of complaince of law. Through prior research, police legitimacy is a factor that raises citizens' complaince of law and thus establishes a hypothesis that policing and cynicism which have been cited as negative factors in establishing legitimacy for police, will have an impact on the perception of compliance of law.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olice behavior problem was cynicism, identified as a factor to increase the law. Second, the police action problem is the citizens 'awareness shown to have a negative impact on compliance of law. Third, the law recognition shown to have a negative impact on compliance with the laws of its cynicism. Finally, the study showed that legal cynicism has a medial effect in the negative impact of policing on citizens' compliance of law. Through these analyses, individual police officers came up with suggestions such as the need for a more systematic and realistic education to comply with the proper procedures in enforcing the law, and the preparation and supplementation of policies for the police to communicate and approach the people in a friendly manner.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절차적 정의모델(모형)에서 추구하고 있는 경찰에 대한 정당성 확보의 중요성에 착안하여, 경찰에 대한 정당성 확보를 결여시킬 수 있는 요인인 경찰 문제행동과 시민의 법냉소주의를 선행요인으로 하여 법준수 인식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였다. 선행연구들을 통해 경찰 정당성은 시민의 법준수 인식을 제고하는 요인임을 확인하였고, 이를 통해 경찰에 대한 정당성 확립에 부정적 요인으로 지목된 경찰 문제행동과 법냉소주의가 법준수 인식에 미치는 영향이 존재할 것이라는 가설을 성립하였다. 구조모형 분석을 통해 연구가설을 검증하였고,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찰 문제행동은 법냉소주의를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경찰 문제행동은 시민의 법준수 인식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법냉소주의는 시민의 법준수 인식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경찰 문제행동이 시민의 법준수 인식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에 있어 법냉소주의가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를 통해 경찰 개개인에 대해 법을 집행함에 있어 적정절차를 준수할 수 있도록 보다 체계적이고, 현실에 맞는 교육이 필요성과 경찰이 국민과 소통하고 친근하게 다가갈 수 있는 정책 마련 및 보완 등의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절차적 정의모델(모형)에서 추구하고 있는 경찰에 대한 정당성 확보의 중요성에 착안하여, 경찰에 대한 정당성 확보를 결여시킬 수 있는 요인인 경찰 문제행동과 시민의 법냉소주...

      이 연구는 절차적 정의모델(모형)에서 추구하고 있는 경찰에 대한 정당성 확보의 중요성에 착안하여, 경찰에 대한 정당성 확보를 결여시킬 수 있는 요인인 경찰 문제행동과 시민의 법냉소주의를 선행요인으로 하여 법준수 인식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였다. 선행연구들을 통해 경찰 정당성은 시민의 법준수 인식을 제고하는 요인임을 확인하였고, 이를 통해 경찰에 대한 정당성 확립에 부정적 요인으로 지목된 경찰 문제행동과 법냉소주의가 법준수 인식에 미치는 영향이 존재할 것이라는 가설을 성립하였다. 구조모형 분석을 통해 연구가설을 검증하였고,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찰 문제행동은 법냉소주의를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경찰 문제행동은 시민의 법준수 인식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법냉소주의는 시민의 법준수 인식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경찰 문제행동이 시민의 법준수 인식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에 있어 법냉소주의가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를 통해 경찰 개개인에 대해 법을 집행함에 있어 적정절차를 준수할 수 있도록 보다 체계적이고, 현실에 맞는 교육이 필요성과 경찰이 국민과 소통하고 친근하게 다가갈 수 있는 정책 마련 및 보완 등의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윤병훈, "한국 지역주민의 법준수 인식에 대한 영향요인: 지역사회 경찰활동과 경찰 정당성을 중심으로" 한국경찰연구학회 14 (14): 349-376, 2015

      2 홍성주, "북한이탈주민의 범죄신고 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 법적 냉소주의 모형, 절차적 정당성 모형 및 법행동 모형을 중심으로 -" 한국경호경비학회 (59) : 161-188, 2019

      3 박철현, "법적 냉소주의와 침입절도피해의 신고" 지방자치연구소 34 (34): 135-150, 2018

      4 Tyler, T. R, "Why People Obey the Law"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6

      5 Miller, J, "Unpacking publi c attitudes to the police: Contrasting perceptions of misconduct with traditional measures of satis faction" 10 (10): 9-22, 2008

      6 Tyler, T. R, "Trust in the la w: Encouraging public cooperation with the poli ce and courts" Russell Sage 2002

      7 S. H. Hong, "The criteria for selecting app ropriate fit indice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i ng and their rationales" 19 (19): 161-177, 2000

      8 Kahan, D, "The Secret Ambition of Deterr ence" 113 : 413-500, 1999

      9 Weitzer, R, "Race and per ceptions of police misconduct" 51 (51): 305-325, 2004

      10 Son, I. S, "R ace and its effect on police officers' perceptions of misconduct" 26 (26): 21-28, 1998

      1 윤병훈, "한국 지역주민의 법준수 인식에 대한 영향요인: 지역사회 경찰활동과 경찰 정당성을 중심으로" 한국경찰연구학회 14 (14): 349-376, 2015

      2 홍성주, "북한이탈주민의 범죄신고 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 법적 냉소주의 모형, 절차적 정당성 모형 및 법행동 모형을 중심으로 -" 한국경호경비학회 (59) : 161-188, 2019

      3 박철현, "법적 냉소주의와 침입절도피해의 신고" 지방자치연구소 34 (34): 135-150, 2018

      4 Tyler, T. R, "Why People Obey the Law"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6

      5 Miller, J, "Unpacking publi c attitudes to the police: Contrasting perceptions of misconduct with traditional measures of satis faction" 10 (10): 9-22, 2008

      6 Tyler, T. R, "Trust in the la w: Encouraging public cooperation with the poli ce and courts" Russell Sage 2002

      7 S. H. Hong, "The criteria for selecting app ropriate fit indice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i ng and their rationales" 19 (19): 161-177, 2000

      8 Kahan, D, "The Secret Ambition of Deterr ence" 113 : 413-500, 1999

      9 Weitzer, R, "Race and per ceptions of police misconduct" 51 (51): 305-325, 2004

      10 Son, I. S, "R ace and its effect on police officers' perceptions of misconduct" 26 (26): 21-28, 1998

      11 Dowler, K, "Public percept ions of police misconduct and discrimination: E xamining the impact of media consumption" 35 (35): 193-203, 2007

      12 Barker, T, "Police deviance" Anderso n Publishing Co 3-11, 1991

      13 Tyler, T, "Legitimacy and Co operation: Why Do People Help the Police Fight Crime in Their Communities" 6 : 231-275, 2008

      14 Fagan, J, "Legal socializatio n of children and adolescents" 18 : 217-242, 2005

      15 Reisig, M. D, "Legal cynicism, legitimacy, and criminal offen ding: The nonconfounding effect of low self-cont rol" 38 (38): 1265-1279, 2011

      16 Seron, C, "Judgin g police misconduct:“Street‐Level” versus prof essional policing" 38 (38): 665-710, 2004

      17 Weitzer, R, "Incidents of police misconduct and public opinion" 30 (30): 397-408, 2002

      18 Ivkovic, S. K, "Fallen blue knights: Contr olling police corrup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19 Charette, B, "Early identification of police brutality and misconduct: The Metr o-Dade Polic e Department model"

      20 Piquero, A. R, "Developmental traject ories of legal socialization among serious adolesc ent offenders" 96 : 267-298, 2005

      21 Kirk, D. S, "Cultural mechanisms and the persistence of neighborhood violence" 116 : 1190-1233,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5 0.95 1.1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 1.05 1.468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