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이성복 시의 변화 양상 소고 = Consideration on the Changes of Lee Seong-bok’s Poems - Focusing on love poems and rhythms found in 『The End of That Summe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63561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에서는 이성복의 『그 여름의 끝』에 나타난 이전 시집들과의 가장 큰 변화 양상을 ‘연애시’라는 키워드를 통해 살펴보고, 이를 내용과 형식 차원에서 각각 검토해 보았다. 특히 왜 그가 연애시로의 본격적이고 의도적인 변화의 과정을 모색하게 되었는지를 그의 시론에 근거하여 밝혀 보았다. 또한 3시집 『그 여름의 끝』의 내용과 형식상의 변화 양상을 구체적인 텍스트 분석을 통해 연애와 리듬, 즉 의미와 결합된 형식이 주는 미적 효과 등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성복의 시학에서 연애와 연애시가 글쓰기와 삶에 어떻게 맞닿아 있는지에 대한 의문점도 제기 및 고찰해 보았다. 3장에서는 이성복의 연애시와 소월, 만해 등 전통시와의 영향관계를 검토하되 만해와 소월과의 공통점과 차이점 등을 여성 화자와 어조, 역설과 아이러니의 차원에서 각각 대별하여 비교 및 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 이성복의 텍스트는 내용과 형식에 있어 소월보다는 한용운의 역설의 시학에 보다 많은 영향을 받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번역하기

      본고에서는 이성복의 『그 여름의 끝』에 나타난 이전 시집들과의 가장 큰 변화 양상을 ‘연애시’라는 키워드를 통해 살펴보고, 이를 내용과 형식 차원에서 각각 검토해 보았다. 특히 왜 ...

      본고에서는 이성복의 『그 여름의 끝』에 나타난 이전 시집들과의 가장 큰 변화 양상을 ‘연애시’라는 키워드를 통해 살펴보고, 이를 내용과 형식 차원에서 각각 검토해 보았다. 특히 왜 그가 연애시로의 본격적이고 의도적인 변화의 과정을 모색하게 되었는지를 그의 시론에 근거하여 밝혀 보았다. 또한 3시집 『그 여름의 끝』의 내용과 형식상의 변화 양상을 구체적인 텍스트 분석을 통해 연애와 리듬, 즉 의미와 결합된 형식이 주는 미적 효과 등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성복의 시학에서 연애와 연애시가 글쓰기와 삶에 어떻게 맞닿아 있는지에 대한 의문점도 제기 및 고찰해 보았다. 3장에서는 이성복의 연애시와 소월, 만해 등 전통시와의 영향관계를 검토하되 만해와 소월과의 공통점과 차이점 등을 여성 화자와 어조, 역설과 아이러니의 차원에서 각각 대별하여 비교 및 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 이성복의 텍스트는 내용과 형식에 있어 소월보다는 한용운의 역설의 시학에 보다 많은 영향을 받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Lee Seong-bok’s 『The End of That Summer』 is changed from his previous collections of poems with the keyword of ‘love poems’ in terms of contents and forms respectively. Particularly, this author investigates why he tries that genuine and intentional change to love poems based on the poetic theory of his. Also, this study analyzes the text in detail regarding the changes of contents and forms with his three collections of poems in order to examine the aesthetic effect given by the combination of love, rhythm, and meaning. Also, this researcher tries to find an answer to the question of how love and love poems meet writing and life. In Chapter 3, this author looks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his poems and traditional poems written by Sowol or Manhae in the field of love poems and comparatively analyzes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his and Manhae and Sowol’s in terms of the female narrator, tone, paradox, and irony respectively. The results show that Lee Seong-bok’s text is influenced by Han Yongun’s poetics of paradox more than Sowol in terms of contents and form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Lee Seong-bok’s 『The End of That Summer』 is changed from his previous collections of poems with the keyword of ‘love poems’ in terms of contents and forms respectively. Particularly, this author i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Lee Seong-bok’s 『The End of That Summer』 is changed from his previous collections of poems with the keyword of ‘love poems’ in terms of contents and forms respectively. Particularly, this author investigates why he tries that genuine and intentional change to love poems based on the poetic theory of his. Also, this study analyzes the text in detail regarding the changes of contents and forms with his three collections of poems in order to examine the aesthetic effect given by the combination of love, rhythm, and meaning. Also, this researcher tries to find an answer to the question of how love and love poems meet writing and life. In Chapter 3, this author looks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his poems and traditional poems written by Sowol or Manhae in the field of love poems and comparatively analyzes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his and Manhae and Sowol’s in terms of the female narrator, tone, paradox, and irony respectively. The results show that Lee Seong-bok’s text is influenced by Han Yongun’s poetics of paradox more than Sowol in terms of contents and form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 초록〉
      • 1. 서론
      • 2. 이성복 시의 내·외적 변화 양상
      • 3. 전통시와의 영향 관계 - 소월, 만해
      • 4. 결론
      • 〈국문 초록〉
      • 1. 서론
      • 2. 이성복 시의 내·외적 변화 양상
      • 3. 전통시와의 영향 관계 - 소월, 만해
      • 4.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혜경, "쨍한 사랑의 노래 해설" 문학과지성사 2005

      2 이성복, "제 4회 소월시문학상 수상작품집" 문학사상사 1990

      3 이성복, "정든 유곽에서" 문학과지성사 1996

      4 이성복, "장봉현 선생에게" 세계사 (가을) : 2003

      5 이성복, "뒹구는 돌은 언제 잠 깨는가" 문학과지성사 1980

      6 "대담, 유곽과 경전의 힘" 문학정신사 1990

      7 이성복, "남해금산" 문학과지성사 1986

      8 이성복, "꽃 핀 나무들의 괴로움" 살림 1990

      9 이성복, "그 여름의 끝" 문학과지성사 1990

      10 김우창, "궁핍한 시대의 시인" 민음사 1977

      1 박혜경, "쨍한 사랑의 노래 해설" 문학과지성사 2005

      2 이성복, "제 4회 소월시문학상 수상작품집" 문학사상사 1990

      3 이성복, "정든 유곽에서" 문학과지성사 1996

      4 이성복, "장봉현 선생에게" 세계사 (가을) : 2003

      5 이성복, "뒹구는 돌은 언제 잠 깨는가" 문학과지성사 1980

      6 "대담, 유곽과 경전의 힘" 문학정신사 1990

      7 이성복, "남해금산" 문학과지성사 1986

      8 이성복, "꽃 핀 나무들의 괴로움" 살림 1990

      9 이성복, "그 여름의 끝" 문학과지성사 1990

      10 김우창, "궁핍한 시대의 시인" 민음사 1977

      11 김대행, "고전문학과 여성화자, 그 글쓰기 전략" 한국고전여성문학회, 월인 2003

      12 오세영, "70년대 젊은 시인들" 문학세계사 199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4-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현장점검) (기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9 0.39 0.4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 0.5 0.701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