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의 목적은 한무숙의 장편소설 『빛의 계단』(1960)에 재현된 근대적 가정공간(domestic place)과 가정여성(domestic women)의 의미를 분석함으로써, 근대 가족 개념이 확산되고 있었던 1950년대 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2635611
2016
Korean
가정여성 ; 가정공간 ; 가정주의 이데올로기 ; 한무숙 ; 『빛의 계단』 ; 1950년대 ; domestic women ; domestic place ; domesticity ; Musook Han ; Stairway of Light ; 1950’s
KCI등재
학술저널
31-57(27쪽)
5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의 목적은 한무숙의 장편소설 『빛의 계단』(1960)에 재현된 근대적 가정공간(domestic place)과 가정여성(domestic women)의 의미를 분석함으로써, 근대 가족 개념이 확산되고 있었던 1950년대 한...
이 글의 목적은 한무숙의 장편소설 『빛의 계단』(1960)에 재현된 근대적 가정공간(domestic place)과 가정여성(domestic women)의 의미를 분석함으로써, 근대 가족 개념이 확산되고 있었던 1950년대 한국사회에서 지식인 여성이 구축하고 있었던 가정주의(domesticity)의 이데올로기가 무엇이었는가를 밝히는 것이다. 한무숙은 ‘규수작가’라는 수식어에도 드러나듯이 1950년대에 활동한 여성작가 중에서 현숙한 주부의 이미지가 가장 뚜렷한 작가였다. 소설 『빛의 계단』은 전후소설이 일반적으로 보여주는 전쟁으로 인한 일상의 파괴, 삶과 죽음의 실존적 인식, 아프레 여성들의 성적 방종과 가부장 권력의 복원 등을 직접 그리기보다는 1950년대 중산층 가정의 풍속과 교양여성의 이상을 구체적으로 그리고 있어서 주목된다.
『빛의 계단』은 기존의 윤리의식이 전쟁으로 무참히 깨져버리고 난 자리에 아프레한 세태와 배금주의로 인한 탐욕이 넘쳐나는 세상에서 새 시대의 윤리를 세우는 주체를 설정하고, 미래의 사회윤리와 질서를 기획하고 있는 소설이다. 한무숙은 새 시대의 윤리를 탐욕과 타락의 세상이 감히 물들일 수 없는 신성한 공간으로서의 ‘가정’을 상상한다. 이 가정 공간은 임형인이 꿈꾸었듯이 전후의 타락과 추악한 행적이 용서받고 구원받을 수 있는 공간이면서, 영혼의 안식과 위안이 있는 공간이다. 임형인이 그토록 간절하게 원했던 ‘생활이 있는 집’은 바로 양공주가 되어버린 옛 애인의 죄악과 임형인의 무책임한 윤리의식에서 비롯된 죄의식을 씻고 “정상적이고, 상식적인” 삶이 시작되는 회생의 공간인 것이다. 그러나 전쟁의 상처와 분노로 비정한 삶을 선택했던 임형인이 마치 그 선택에 대한 응징처럼 죽음을 맞게 되었을 때, 그의 낭만적 사랑의 상대인 경전은 혼자 남겨진 채로 팍팍하고 거친 삶을 감내해야 하는 숙명에 놓이게 된다. 현명하고 이상적인 가정주부의 자격을 갖춰가는 경전이, 스위트홈의 이상을 실현하지 못한 채 좌절하게 되는 것은 전후의 현실에서 회생의 공간으로서의 가정은 허상일 뿐임을 방증하는 것이라 하겠다. 이는 전후 새로운 가족이념과 근대가족의 이상이 넘쳐나고 있었지만, 이상적인 스위트홈의 가정여성의 삶은 여전히 요원한 것이었음을 경전의 비극적 결말이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the meanings of domestic place and domestic women in Han Moo Sook "s novel, Stairway of Light(1960) and the ideology of domesticity that intellectual women were building in society. Han Moo Sook was one of the...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the meanings of domestic place and domestic women in Han Moo Sook "s novel, Stairway of Light(1960) and the ideology of domesticity that intellectual women were building in society. Han Moo Sook was one of the most prominent women in the 1950s. Stairway of Light is not a direct picture of the destruction of daily life, the existential perception of life and death, the sexual indulgence of oppressed women and the restoration of patriarchal power, It is noteworthy that the ideal of a cultured woman is specifically described. The Stairway of Light is a novel that sets the subject of establishing the ethics of the new age in the world where the existing ethical consciousness is wrecked by the war, and plans the future social ethics and order. This domestic space is a place where the post-war fall and the ugly act can be forgiven and saved, and the space with the rest and comfort of the soul. The "house with a life" that the characters in the novel wanted so desperately is the space of revival where the guilt that comes from the ethical consciousness of the Korean society that has been ruined after the war is washed away and the "normal, common sense" life begins.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권혜린, "한무숙 소설의 윤리성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2 조혜윤, "한무숙 소설 연구 : 전통과 근대에 대한 비판적 인식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3 김시태, "한무숙 문학연구" 을유문화사 1996
4 "주부생활"
5 린다 맥도웰, "젠더, 정체성, 장소" 한울아카데미 140-, 2010
6 장세훈, "전쟁과 도시화 : 한국전쟁 전후 한국의 도시화를 중심으로" (8) : 2002
7 "여원"
8 "여성생활"
9 이임하, "여성, 전쟁을 넘어 일어서다" 서해문집 2004
10 김혜경, "식민지하 근대가족의 형성과 젠더" 창비 2006
1 권혜린, "한무숙 소설의 윤리성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2 조혜윤, "한무숙 소설 연구 : 전통과 근대에 대한 비판적 인식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3 김시태, "한무숙 문학연구" 을유문화사 1996
4 "주부생활"
5 린다 맥도웰, "젠더, 정체성, 장소" 한울아카데미 140-, 2010
6 장세훈, "전쟁과 도시화 : 한국전쟁 전후 한국의 도시화를 중심으로" (8) : 2002
7 "여원"
8 "여성생활"
9 이임하, "여성, 전쟁을 넘어 일어서다" 서해문집 2004
10 김혜경, "식민지하 근대가족의 형성과 젠더" 창비 2006
11 한무숙, "빛의 계단-한무숙문학전집ㆍ2" 을유문화사 1992
12 한무숙, "빛의 계단" 현대문학사 1960
13 김연주, "근대 ‘가정주부’ 되기 과정과 도시 중산층 가족의 형성: 구술생애사 사례 분석" 한국가족학회 25 (25): 29-61, 2013
14 박정애, "규수작가 의 타협과 배반" 한국어문학회 (93) : 2006
15 "경향신문"
16 趙東珠, "韓戊淑 소설 연구" 淑明女子大學校 敎育大學院 1996
17 강소연, "1950년대 여성잡지에 표상된 미국문화와 여성담론" 상허학회 18 : 74-93, 2006
18 김현주, "1950년대 여성잡지 <여원>과 ‘제도로서의 주부’의 탄생" 대중서사학회 (18) : 387-416, 2007
19 강소연, "1950년대 여성소설 연구 : 손소희,한무숙,한말숙 작품의 여성의식을 중심으로"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9
20 오유석, "1950년대 남북한의 선택과 굴절" 역사비평사 2003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3-04-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현장점검) (기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9 | 0.39 | 0.4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 | 0.5 | 0.701 | 0.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