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김유정 소설의 문화산업적 활용 방안 고찰 = Utilization of Kim Yoo-Jung Literatur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63561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1930년대 한국문학의 대표적 작가 김유정의 작품 세계를 살펴보고, 이를 문화산업적 측면에서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 것인가를 연구했다. 그러기 위해 먼저 김유정 문학의 특징적 성격이 무엇인가를 구명하고 그 성격이 어떤 역사적 배경 아래 놓여 있는가를 확인하는 것이 필요했다. 김유정의 시대 인식이 어떤 모습으로 일제강점기의 지평 위에 서 있는가, 그리고 그 민중적 의식이 어떠한가를 검토해야, 그의 작품이 가진 특성으로서 서정성과 해학성의 의미를 올바르게 도출할 수 있기 때문이었다. 또한 그것이 작품의 미학적 가치를 부양함을 증거 해야 했다. 이러한 논의의 구체성을 위해, 단편 「동백꽃」을 표본 작품으로 검증했다.
      김유정 문학을 기리고 그 정신을 이어받기 위한 현양사업은 그 문학의 특징적 성격을 반영한 테마파크 전략, 그리고 일반적으로 유의하고 주력해야 할 전략의 방향성을 숙고해야 한다. 한 작가를 현창하는 사업이 성과를 거두려면, 그 사업이나 행사 그리고 작가의 테마파크가 작품의 특성을 위주로 특화되어야 한다. 「동백꽃」을 중심으로 김유정의 문학에서 살펴본 예술적 가치와 서정성ㆍ해학성은 그러한 측면에서 작가의 세계에 접근하는 중심 개념의 역할을 할 수 있었다.
      그런가 하면 김유정 문학에 대한 다면적 인식과 다양한 해석은, 선정된 한 작품을 매개로 이어 쓰기, 다시 쓰기 등을 시도할 수 있다. 일반 독자들을 대상으로 인물ㆍ사건 중심의 재창작을 모집하여 별도의 열전(列傳)을 만드는 방법도 있다. 또한 「동백꽃」, 「봄ㆍ봄」 등 널리 알려진 작품을 시나 희곡ㆍ시나리오 등 다른 장르로 써 보게 하는 새로운 변용도 가능하다. 여기서 더 나아가 이 작품들을 전문적 영역에서 OSMU로 개발하고 확산해 나가는 것은 바람직한 결과를 가져올 것으로 본다.
      그동안 ‘문화산업’과 같은 개념을 정론적으로 다루는 일은 지금까지 학술적 검토의 대상이 아닌 것으로 여겨져 왔다. 세상이 변하고 문학 내외의 사정도 달라져서 대중문화, 상업주의 문학이 이제는 문학 연구의 울타리 밖에 있다고 말하기 어려운 형편에 이르렀다. 그러기에 작가 김유정을 통해 구현한 이 시각을, 유사한 사정에 있는 다른 작가들의 문학 테마파크 전시 전략에도 두루 대입해 보고 일관된 논리를 발견할 수 있다면, 그 또한 진일보된 연구 성과를 담보할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이 글은 1930년대 한국문학의 대표적 작가 김유정의 작품 세계를 살펴보고, 이를 문화산업적 측면에서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 것인가를 연구했다. 그러기 위해 먼저 김유정 문학의 특징적 성...

      이 글은 1930년대 한국문학의 대표적 작가 김유정의 작품 세계를 살펴보고, 이를 문화산업적 측면에서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 것인가를 연구했다. 그러기 위해 먼저 김유정 문학의 특징적 성격이 무엇인가를 구명하고 그 성격이 어떤 역사적 배경 아래 놓여 있는가를 확인하는 것이 필요했다. 김유정의 시대 인식이 어떤 모습으로 일제강점기의 지평 위에 서 있는가, 그리고 그 민중적 의식이 어떠한가를 검토해야, 그의 작품이 가진 특성으로서 서정성과 해학성의 의미를 올바르게 도출할 수 있기 때문이었다. 또한 그것이 작품의 미학적 가치를 부양함을 증거 해야 했다. 이러한 논의의 구체성을 위해, 단편 「동백꽃」을 표본 작품으로 검증했다.
      김유정 문학을 기리고 그 정신을 이어받기 위한 현양사업은 그 문학의 특징적 성격을 반영한 테마파크 전략, 그리고 일반적으로 유의하고 주력해야 할 전략의 방향성을 숙고해야 한다. 한 작가를 현창하는 사업이 성과를 거두려면, 그 사업이나 행사 그리고 작가의 테마파크가 작품의 특성을 위주로 특화되어야 한다. 「동백꽃」을 중심으로 김유정의 문학에서 살펴본 예술적 가치와 서정성ㆍ해학성은 그러한 측면에서 작가의 세계에 접근하는 중심 개념의 역할을 할 수 있었다.
      그런가 하면 김유정 문학에 대한 다면적 인식과 다양한 해석은, 선정된 한 작품을 매개로 이어 쓰기, 다시 쓰기 등을 시도할 수 있다. 일반 독자들을 대상으로 인물ㆍ사건 중심의 재창작을 모집하여 별도의 열전(列傳)을 만드는 방법도 있다. 또한 「동백꽃」, 「봄ㆍ봄」 등 널리 알려진 작품을 시나 희곡ㆍ시나리오 등 다른 장르로 써 보게 하는 새로운 변용도 가능하다. 여기서 더 나아가 이 작품들을 전문적 영역에서 OSMU로 개발하고 확산해 나가는 것은 바람직한 결과를 가져올 것으로 본다.
      그동안 ‘문화산업’과 같은 개념을 정론적으로 다루는 일은 지금까지 학술적 검토의 대상이 아닌 것으로 여겨져 왔다. 세상이 변하고 문학 내외의 사정도 달라져서 대중문화, 상업주의 문학이 이제는 문학 연구의 울타리 밖에 있다고 말하기 어려운 형편에 이르렀다. 그러기에 작가 김유정을 통해 구현한 이 시각을, 유사한 사정에 있는 다른 작가들의 문학 테마파크 전시 전략에도 두루 대입해 보고 일관된 논리를 발견할 수 있다면, 그 또한 진일보된 연구 성과를 담보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takes a look into Kim Yoo-Jung"s literary world, and discusses the application of it on cultural industry. In order to do so, it needs to verify the unique characteristic of Kim"s literature and the historical background. The lyricism, humor and aesthetics in his work are based on the view of the time during Japanese colonization as well as the public consciousness. For this purpose, his work 「Camellia」 was chosen to be the sample of analysis.
      Informing Kim"s literature reflects the important features in his philosophy. The theme park therefore should be specialized in lyricism, humor and aesthetics which were examined in his masterpiece 「 Camellia」. In addition, writing-to-be-continued as well as rewriting can also be tried within the various interpretation and acknowledge of Kim"s literature. An example could be a separate series of biography on Kim"s life targeting general readers who would be in favor of creating a new story based on the given characters and incidents. His well-known works such as 「Camellia」 or 「Spring」 could be rewritten in different genres such as poetry or play. OSMU (One-Source Multi-Use) could also be done in other professional fields.
      So far, the notion of cultural industry has not been considered scholaric achievement. Yet, the trend has changed and dealing with today"s literature requisite the knowledge of pop culture as well as commercialism. The application of classic literature to the publicity as discussed with Kim"s 「Camellia」 can be a stepping stone for other writers" literary theme park. This would be another interesting and crucial progress next to scholaric performance.
      번역하기

      This article takes a look into Kim Yoo-Jung"s literary world, and discusses the application of it on cultural industry. In order to do so, it needs to verify the unique characteristic of Kim"s literature and the historical background. The lyricism, hu...

      This article takes a look into Kim Yoo-Jung"s literary world, and discusses the application of it on cultural industry. In order to do so, it needs to verify the unique characteristic of Kim"s literature and the historical background. The lyricism, humor and aesthetics in his work are based on the view of the time during Japanese colonization as well as the public consciousness. For this purpose, his work 「Camellia」 was chosen to be the sample of analysis.
      Informing Kim"s literature reflects the important features in his philosophy. The theme park therefore should be specialized in lyricism, humor and aesthetics which were examined in his masterpiece 「 Camellia」. In addition, writing-to-be-continued as well as rewriting can also be tried within the various interpretation and acknowledge of Kim"s literature. An example could be a separate series of biography on Kim"s life targeting general readers who would be in favor of creating a new story based on the given characters and incidents. His well-known works such as 「Camellia」 or 「Spring」 could be rewritten in different genres such as poetry or play. OSMU (One-Source Multi-Use) could also be done in other professional fields.
      So far, the notion of cultural industry has not been considered scholaric achievement. Yet, the trend has changed and dealing with today"s literature requisite the knowledge of pop culture as well as commercialism. The application of classic literature to the publicity as discussed with Kim"s 「Camellia」 can be a stepping stone for other writers" literary theme park. This would be another interesting and crucial progress next to scholaric performanc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 초록〉
      • 1. 머리말
      • 2. 김유정의 작품 세계와 「동백꽃」의 특성
      • 3. 김유정 소설의 문화산업적 활용 방안
      • 4. 마무리
      • 〈국문 초록〉
      • 1. 머리말
      • 2. 김유정의 작품 세계와 「동백꽃」의 특성
      • 3. 김유정 소설의 문화산업적 활용 방안
      • 4. 마무리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강언, "현실과 이상의 갈등구조-김유정 소설의 구성법" 한민족어문학회 1980

      2 송하섭, "한국현대소설의 서정성 연구" 단국대학교출판부 1989

      3 김유정, "한국현대문학전집 13" 삼성출판사 1979

      4 김현, "한국문학사" 민음사 1973

      5 김해옥, "한국 현대 서정소설론" 새미 209-, 1999

      6 김종회, "하동 이병주 기념사업의 문화산업적 고찰" 진주교육대학교 경남권문화연구소 (20) : 2011

      7 김종회, "의식의 감옥과 비상에의 욕망-이상" 문학수첩 2006

      8 최성실, "수수께끼 풀기와 그 욕망의 중층구조-김유정 단편소설의 구조분석을 위한 시론" 서강어문학회 1994

      9 김종회, "문학작품과 문학 테마파크-소나기마을은 왜, 어떻게 조성되었나" 2015

      10 송하춘, "마적을 꿈꾸다" 소명출판 2013

      1 이강언, "현실과 이상의 갈등구조-김유정 소설의 구성법" 한민족어문학회 1980

      2 송하섭, "한국현대소설의 서정성 연구" 단국대학교출판부 1989

      3 김유정, "한국현대문학전집 13" 삼성출판사 1979

      4 김현, "한국문학사" 민음사 1973

      5 김해옥, "한국 현대 서정소설론" 새미 209-, 1999

      6 김종회, "하동 이병주 기념사업의 문화산업적 고찰" 진주교육대학교 경남권문화연구소 (20) : 2011

      7 김종회, "의식의 감옥과 비상에의 욕망-이상" 문학수첩 2006

      8 최성실, "수수께끼 풀기와 그 욕망의 중층구조-김유정 단편소설의 구조분석을 위한 시론" 서강어문학회 1994

      9 김종회, "문학작품과 문학 테마파크-소나기마을은 왜, 어떻게 조성되었나" 2015

      10 송하춘, "마적을 꿈꾸다" 소명출판 2013

      11 김종회, "낭만적 서정과 세련된 기교-이효석" 문학수첩 2006

      12 손종업, "김유정의 소설과 식민지 근대성"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00

      13 나병철, "김유정 소설의 해학성과 현실인식" 한국비평문학회 (8) : 1994

      14 김혜영, "김유정 소설에 나타난 욕망의 의미" 한국현대소설학회 17 : 159-182, 2002

      15 전신재, "김유정 소설과 언어의 기능" 한말연구학회 2000

      16 조두섭, "김유정 농민 소설의 타자의 존재 방식과 주체 구성의 전략" 문예미 학회 2002

      17 유인순, "김유정 ‘봄ㆍ봄’의 아바타 연구" 소명출판 2013

      18 김종회, "‘토지’공간과 동시대 수용의 방향성" 이병주문학관 2015

      19 김종건, "1930년대 소설의 공간설정과 작가의식의 상관성 연구-김유정과 이무영을 중심으로" 우리말글학회 199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4-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현장점검) (기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9 0.39 0.4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 0.5 0.701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