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한국어에서 사용되는 국가명을 비판지명학의 관점으로 관찰하고 이해하기 위한 목적을 갖는다. 언어권 간 국가명의 소통은 언어적 과정과 더불어 국가 간 관계의 역사에서 탄생...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534159
2023
Korean
국가명 ; 비판지명학 ; 수혜언어 ; 기부언어 ; 외래지명 ; 토착지명 ; country names ; critical toponymy ; receiver language ; donor language ; exonym ; endonym
989
학술저널
1-14(14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한국어에서 사용되는 국가명을 비판지명학의 관점으로 관찰하고 이해하기 위한 목적을 갖는다. 언어권 간 국가명의 소통은 언어적 과정과 더불어 국가 간 관계의 역사에서 탄생...
이 연구는 한국어에서 사용되는 국가명을 비판지명학의 관점으로 관찰하고 이해하기 위한 목적을 갖는다. 언어권 간 국가명의 소통은 언어적 과정과 더불어 국가 간 관계의 역사에서 탄생하는 정치적 결과이며 국가명에 담긴 이데올로기와 정체성의 재현 과정이다. 역사 자료와 문헌, 현대 사용 관례 조사를 통하여, 한국어의 국가명 사용은 한자 외래지명의 도입, 영어 외래지명의 확산, 자국어 토착지명의 한국어 표기 등으로 확대해갔음을 알 수 있다. 기부언어 사용국가가 외래지명에 대하여 문제를 제기한 경우는 적으나, 정체성의 함축과 재현을 위한 자국어 국가명 사용을 요청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한국은 매우 신속한 긍정적 대응을 취해왔는데, 이것은 옛 명칭 배제 및 자국어 정체성 확보의 가치에 대한 동의, 중앙집중식 행정체계, 한국어의 외국어 표기 능력 등이 작용한 것으로 해석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observe and understand country names used in the Korean language from the perspective of critical toponymy. Communicating on the country names between language groups is perceived as being a political product resulting from the long...
This study aims to observe and understand country names used in the Korean language from the perspective of critical toponymy. Communicating on the country names between language groups is perceived as being a political product resulting from the long history of diplomatic relations, as well as linguistic processes, and thus a representation of ideology and identity contained in those names. Through a review of historical records and academic literature and an observation of the current practices, three phases are found; adoption of exonyms originating from hanja characters, diffusion of English exonyms, and conversion of endonyms into Korean. Few cases have been recorded in which donor language countries raised the issue of being called by exonyms. However, there were requests that their endonyms should be used in order to ensure denotation and representation of their identities. In those case, the Korean government made quick positive responses. It is interpreted that such factors as agreement to the values of excluding old exonyms and preserving endonyms, centralized administrative system, and capacity of the Korean language to convert complicated foreign scripts functioned in this move.
목차 (Table of Contents)
프레카리아트의 불안정성과 反프레카리아트화의 공간적 실천
지역문제 대응에 있어 지역연구의 역할과 정책적 함의 : 전주시를 사례로
연안생태축 관리를 위한 생태계 건강성 평가시스템 개발 : 한려해상국립공원 남 해대교지구를 사례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