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일제강점기 경성의 도시녹화 고찰 = A Study on Urban Greening in Gyeongseong, Japanese Colonial Er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41743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일제강점기 경성에서 실행된 도시녹화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선시대 산림의 보호와 관련 정책은 조선 왕실과 내사산을 중심으로 한 성저십리에 집중되어 있었다. 1890년대 조선을 방문한 외국인 시선에서 민둥산은 크게 각인되었다. 둘째, 일제강점이 시작되자 일제는 산림 황폐에 대한 원인 분석과 진단을 실시했다. 조선인 특유의 소나무 위주의 애호, 공익심 부족에 남벌과 도벌, 수목에 대한 애림사상 부족을 거론했다. 셋째, 조선인의 수목 인식 향상을 위해서 계몽적인 조선 녹화운동을 실시했고, 도시의 수목 필요성, 생태적 역할, 산업 소재로의 중요성을 인식시켰다. 넷째, 1911년부터 신무천황 제일인 4월 3일을 기념식수일로 지정하였다. 다섯째, 경성의 도시녹화를 위해서 훼손된 산지에 대한 사방공사, 녹지를 유지한 곳의 근대공원 조성, 경성내 중요 도로의 가로수 식재, 소규모 도시구조적 공간의 녹지대 조성으로 실체화했다. 여섯째, 도시녹화를 위해서 필요한 묘목은 총독부 주도의 종묘장을 통해서 진행되었다. 도시녹화는 현대라는 시간성만을 내포하고 있다고 가정되나, 실질적인 용어와 기법에 대한 강구는 일제강점기에 시작되었다.
      번역하기

      일제강점기 경성에서 실행된 도시녹화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선시대 산림의 보호와 관련 정책은 조선 왕실과 내사산을 중심으로 한 성저십리에 집중되어 있었다. 1890년대 조...

      일제강점기 경성에서 실행된 도시녹화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선시대 산림의 보호와 관련 정책은 조선 왕실과 내사산을 중심으로 한 성저십리에 집중되어 있었다. 1890년대 조선을 방문한 외국인 시선에서 민둥산은 크게 각인되었다. 둘째, 일제강점이 시작되자 일제는 산림 황폐에 대한 원인 분석과 진단을 실시했다. 조선인 특유의 소나무 위주의 애호, 공익심 부족에 남벌과 도벌, 수목에 대한 애림사상 부족을 거론했다. 셋째, 조선인의 수목 인식 향상을 위해서 계몽적인 조선 녹화운동을 실시했고, 도시의 수목 필요성, 생태적 역할, 산업 소재로의 중요성을 인식시켰다. 넷째, 1911년부터 신무천황 제일인 4월 3일을 기념식수일로 지정하였다. 다섯째, 경성의 도시녹화를 위해서 훼손된 산지에 대한 사방공사, 녹지를 유지한 곳의 근대공원 조성, 경성내 중요 도로의 가로수 식재, 소규모 도시구조적 공간의 녹지대 조성으로 실체화했다. 여섯째, 도시녹화를 위해서 필요한 묘목은 총독부 주도의 종묘장을 통해서 진행되었다. 도시녹화는 현대라는 시간성만을 내포하고 있다고 가정되나, 실질적인 용어와 기법에 대한 강구는 일제강점기에 시작되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변병설, "지속가능한 생태도시계획" 국토지리학회 39 (39): 491-500, 2005

      2 이사벨라 비숍, "조선과 그 이웃나라들" 집문당 2019

      3 최현배, "조선 민중 갱생의 도" 정음사 1962

      4 서유구, "임원경제지 섬용지1" 씨앗을 뿌리는 사람 2016

      5 나혜영 ; 변병설, "옥상녹화에 관한 연구동향" 국토지리학회 40 (40): 95-106, 2006

      6 염복규, "서울의 기원, 경성의 탄생" 이데아 2016

      7 진종헌, "발전의 상징경관으로서의 ‘푸른 산’ - 산림녹화정책에 대한 비판적 연구 -" 국토지리학회 50 (50): 539-548, 2016

      8 "국가기록원"

      9 김경민, "건축왕, 경성을 만들다" 이마 2017

      10 卦場定吉, "鮮に於て薪材林を仕立つるには如何なる樹種と土地とを選ぶべきか" 6 (6): 1911

      1 변병설, "지속가능한 생태도시계획" 국토지리학회 39 (39): 491-500, 2005

      2 이사벨라 비숍, "조선과 그 이웃나라들" 집문당 2019

      3 최현배, "조선 민중 갱생의 도" 정음사 1962

      4 서유구, "임원경제지 섬용지1" 씨앗을 뿌리는 사람 2016

      5 나혜영 ; 변병설, "옥상녹화에 관한 연구동향" 국토지리학회 40 (40): 95-106, 2006

      6 염복규, "서울의 기원, 경성의 탄생" 이데아 2016

      7 진종헌, "발전의 상징경관으로서의 ‘푸른 산’ - 산림녹화정책에 대한 비판적 연구 -" 국토지리학회 50 (50): 539-548, 2016

      8 "국가기록원"

      9 김경민, "건축왕, 경성을 만들다" 이마 2017

      10 卦場定吉, "鮮に於て薪材林を仕立つるには如何なる樹種と土地とを選ぶべきか" 6 (6): 1911

      11 和田義睦, "韓國對管見(講演), ‘新人’"

      12 小林尙古, "朝鮮林業逸誌" 朝鮮山林會 1933

      13 朝鮮總督府, "寫眞帖 朝鮮"

      14 김현욱, "『조선왕조실록』에 의한 한양의 입지와 도성관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4

      15 "『고종실록』고종11년 3월 3일 기사"

      16 GOVERNMENT-GENERAL OF CHOSEN, "ANNUAL REPORT"

      17 "<<태극학보>> 1907년 6월 24일 기사"

      18 "<<조선일보>> 1940년 4월 3일 기사"

      19 "<<조선일보>> 1940년 1월 4일 기사"

      20 "<<조선일보>> 1937년 2월 4일 기사"

      21 "<<조선일보>> 1937년 11월 8일 기사"

      22 "<<조선일보>> 1936년 6월 21일 기사"

      23 "<<조선일보>> 1934년 4월 21일 기사"

      24 "<<조선일보>> 1933년 9월 2일 기사"

      25 "<<조선일보>> 1932년 5월 13일 기사"

      26 "<<조선일보>> 1931년 3월 31일 기사"

      27 "<<조선일보>> 1930년 11월 27일 기사"

      28 "<<조선일보>> 1920년 12월 4일 기사"

      29 "<<서우>> 1907년 12월 1일 기사"

      30 "<<매일신보>> 1938년 2월 9일 기사"

      31 "<<매일신보>> 1920년 4월 3일 기사"

      32 "<<매일신보>> 1917년 4월 17일 기사"

      33 "<<매일신보>> 1914년 5월 6일 기사"

      34 "<<매일신보>> 1914년 2월 7일 사설"

      35 "<<매일신보>> 1914년 1월 16일 기사"

      36 "<<매일신보>> 1912년 12월 6일 기사"

      37 "<<매일신보>> 1911년 7월 18일 기사"

      38 "<<매일신보>> 1911년 4월 5일 기사"

      39 "<<매일신보>> 1911년 2월 8일 기사"

      40 "<<동아일보>> 1934년 7월 17일 기사"

      41 "<<동아일보>> 1934년 6월 10일 기사"

      42 "<<동아일보>> 1934년 5월 9일 기사"

      43 "<<동아일보>> 1934년 4월 6일 기사"

      44 "<<동아일보>> 1934년 2월 6일 기사"

      45 "<<동아일보>> 1934년 12월 28일 기사"

      46 "<<동아일보>> 1931년 12월 2일 기사"

      47 "<<동아일보>> 1924년 4월 5일 기사"

      48 "<<동아일보>> 1920년 5월 20일 기사"

      49 "<<독립신문>> 1896년 8월 11일 기사"

      50 "<<대한흥학보>> 1910년 3월 20일 기사"

      51 "<<대조선독립협회보>> 1896년 12월 31일 기사"

      52 "<<경성일보>> 1930년 6월 28일 기사"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