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기술의 발전이 매체 활용에 대한 변화를 가져오고 있음을 전제한다. 이에 따라 기독교회의 매체사용에 대한 시각에도 많은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이런 가운데 기독교 예배에 공...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99540819
김양중 (성결대학교)
2012
Korean
매체 활용 ; 성경 ; 예배 ; 예배공학 ; 공학적 요소 ; 한국교회 ; medium application ; the scriptures ; worship ; worship technology ; technological element ; Korean church
KCI등재
학술저널
108-138(31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기술의 발전이 매체 활용에 대한 변화를 가져오고 있음을 전제한다. 이에 따라 기독교회의 매체사용에 대한 시각에도 많은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이런 가운데 기독교 예배에 공...
본 논문은 기술의 발전이 매체 활용에 대한 변화를 가져오고 있음을 전제한다. 이에 따라 기독교회의 매체사용에 대한 시각에도 많은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이런 가운데 기독교 예배에 공학적 요소를 활용하는 방법의 필요성은 증대되었다. 논자는 이러한 요구에 대한 성경적 대답과 그에 따른 대안을 위하여 구약성경, 신약성경 그리고 예배 역사를 통하여 예배공학의 신학적 근거를 논술하였다. 이를 통하여 기독교에서 예배를 위하여 기술적 방법을 사용하는 것은 신학적인 문제가 없음을 증명하였다. 그것은 예배의 목적이 기술이 아니라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는 데 있기 때문이다. 논자는 이를 기초로 예배 역사를 통한 예배공학을 제시하면서 그것이 현대 문화가 구두문화에서 문자 문화로 그것은 또다시 영상 문화로 급진전하고 있기 때문임을 규명하였다. 논자는 기독교회가 공학에 대한 성경적 이해를 바탕으로 예배에 공학적 요소를 활용하는 것이 성경과 신학에 위배되지 않음을 밝혔다. 이를 통하여 한국교회의 예배가 현실의 기술적 요소를 배제하지 않고 오히려 이를 적극 사용하여야 한다는 사실을 예배담당자에게 제안하여 한국교회의 새로운 예배 형태를 위한 학문적 발전에 이바지하고자 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thesis presupposes that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is to bring on the change in the medium application. Accordingly, it has also been bring various changes in an angle of view of the Christian church with the use of medium. In this situation, ...
This thesis presupposes that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is to bring on the change in the medium application. Accordingly, it has also been bring various changes in an angle of view of the Christian church with the use of medium. In this situation, it was increased that is the necessity of method to apply the technological elements in Christian worship. A disputant stated the theological grounds of worship technology through the old and new testaments with history of worship for biblical answer and its alternative. Through this, it showed that theological problems have not to use technological methods for Christian worship. Because the purpose of worship is to consecrate to God as opposed to a skill. In this basis, a disputant examined as how modern culture make rapid progress to image culture from oral and word to propose a worship technology through history of worship. A disputant defined that is not violated the Scripture and theology what Christian church does utilize technological elements in worship with ground of the biblical understanding on technology. Through this, it had desired to contribute the academic development for new form of worship in Korean church to propose worship leaders those they should actively use rather than the worship of Korean church exclude technological elements in actuality.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Focillon, Henri, "형태의 삶" 학고재 2001
2 남상식, "현대예술의 혁명" 한길사 1-234, 2004
3 박주하, "현대사회와 매스커뮤니케이션" 한울 2006
4 정일웅, "한국 교회와 실천신학" 이레서원 2002
5 이영규, "컴퓨터기술과 기독교 윤리" 한들출판사 2005
6 Keil Carl F., "카알 텔리취 구약주석 다니엘(하)" 기독교문화사 1983
7 정인교, "청중의 눈과 귀를 열어주는 특수설교" 두란도아카데미 2007
8 Mathewson, Steven D, "청중을 사로잡는 구약의 내러티브 설교" CLC 2004
9 Buckingham, David, "전자 매체 시대의 아이들" 우리교육 2004
10 Petroski, Henry, "인간과 공학 이야기" 지호 1997
1 Focillon, Henri, "형태의 삶" 학고재 2001
2 남상식, "현대예술의 혁명" 한길사 1-234, 2004
3 박주하, "현대사회와 매스커뮤니케이션" 한울 2006
4 정일웅, "한국 교회와 실천신학" 이레서원 2002
5 이영규, "컴퓨터기술과 기독교 윤리" 한들출판사 2005
6 Keil Carl F., "카알 텔리취 구약주석 다니엘(하)" 기독교문화사 1983
7 정인교, "청중의 눈과 귀를 열어주는 특수설교" 두란도아카데미 2007
8 Mathewson, Steven D, "청중을 사로잡는 구약의 내러티브 설교" CLC 2004
9 Buckingham, David, "전자 매체 시대의 아이들" 우리교육 2004
10 Petroski, Henry, "인간과 공학 이야기" 지호 1997
11 이덕형, "이콘과 아방가르드" 생각의 나무 2008
12 Ripa, Cesare, "이코놀로지아: 그림 속 비밀을 읽는 책" 루비박스 2007
13 Wiersbe, Warren W, "이미지에 담긴 설교" 요단출판사 1997
14 Tozer, Aiden W, "이것이 예배이다" 규장 2006
15 강승한, "유비쿼터스 사회의 지식생태 전략" Jinhan M&B 2008
16 김지찬, "요단강에서 바벨론 물가까지" 생명의말씀사 1999
17 김영훈, "예술신학과 신앙" 할렐루야서원 1992
18 Grethlein, Christian, "예배학 개론" 기독교문서선교회 2006
19 Wakefild, Goldson S, "예배의 역사와 전통" CLC 2007
20 Webber, Robert E, "예배의 역사와 신학" 한국장로교출판사 1988
21 White, James F, "예배의 역사" 쿰란출판사 1997
22 김양중, "예배공학" 기독교문서선교회 2011
23 도정일, "영상 시대의 문학의 힘과 가능성" 현대문학사 44 (44): 54-, 1998
24 Siewert, Alison, "에배 핸드북" 낮은울타리 2001
25 김지찬, "언어의 직공이 되라" 생명의말씀사 2000
26 Bolz, Norbert, "세계를 만드는 커뮤니케이션" 한울 2009
27 Long, Thomas G., "성서의 문학유형과 설교" 대학기독교서회 1995
28 조신권, "성서문학의 이해" 연세대학교 출판부 1985
29 정인찬, "성서대백과사전: 제6권" 기독지혜사 1980
30 Bunmann, Daniel J, "성공적인 설교자를 위한 길잡이" 예배와 설교 아카데미 2008
31 신준형, "성 토마스 아퀴나스의 성상이론: ICON, INDEX, ISLAM"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2 : 43-68, 2008
32 Eslinger, Richard L, "설교 그물짜기" 예배와설교아카데미 2008
33 Sailhamer, John H, "서술로서의 모세오경" 새순출판사 1994
34 Wiersbe, Warren W, "상상이 담긴 설교" 요단출판사 1997
35 임헌우, "상상력에 엔진을 달아라" 나남 2007
36 정병관, "복음혁명을 주도하는 크리스천 커뮤니케이션" 총신대학교 출판부 2009
37 이병철, "바이블렉스 8.0" 브니엘성경연구소 2009
38 이기현, "미디올로지 : 사회적 상상과 매체 문화" 한울 2003
39 Hartmann, Frank, "미디어 철학" 북코리아 2008
40 송태현, "문자와 이미지" 프랑스학회 (33) : 123-145, 2005
41 Grethlein, Christian, "매체 사회에서 나타난 복음의 커뮤니케이션" 기독교문서선교회 2008
42 이춘길, "리얼리즘 미학의 기초이론" 한길사 1985
43 Manovich, Lev, "뉴미디어의 언어" 생각의 나무 2004
44 Savary, Louis M, "꿈: 내 마음의 거울" 크리스천치유목회연구원 2000
45 White, James F, "기독교 예배학 입문" 에배와설교아카데미 2000
46 White, James F., "기독교 예배" 기독교문서선교회 2002
47 Grabar, Andre, "기독교 도상학의 이해"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07
48 손호현, "그림은 '빈자의 성서'인가?: 그레고리우스 Ⅰ세의 기독교 예술교육론" 한국기독교교육 정보학회 14 : 285-286, 2006
49 최종진, "구약적 이스라엘의 종교" 소망사 1987
50 Harrelson, Walter, "구약성서의 예배" 대한기독교출판사 1980
51 이형원, "구약성서 해석의 원리와 실제" 대한기독교서회 1999
52 Bullock, C. Hassell, "구약 선지서 개론" 크리스챤출판사 2001
53 wilson, Robert R, "고대 이스라엘의 예언과 사회" 예찬사 1991
54 Dawn. Marva J, "고귀한 시간 낭비" 이레서원 2004
55 이기흔, "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에 기초한 기독교 교육과목의 다중 교수전략" 대학복음화학회 11 : 129-, 2005
56 Houston, Graham, "Virtual Morality: Christian Ethics in the Computer Age" Apollos 1998
57 McLuhan, Marshall, "Understanding Media: The Extension of Man" New American Library 1966
58 Berns, Jorg Jochen, "Umrustung der Mnemotechnik im Kontext von Reformation und Gutenbergs Erfindung" Germany 1993
59 Alter, Robert, "The Literary Guide to the Bible" Harvard University 1987
60 Caird, George B, "The Language and Imagery of the Bible" Westminster 1980
61 Lukes, Steven, "Power: A Radical View" MacMillan 1978
62 Platon, "Phedre in Le Banquet" Garnier 1964
63 Hennecke, Edgar, "New Testament Apocrypha 2" Westminster 1965
64 Kroeker, Charlotte Y, "Music in Christian Worship : at The Service of the Liturgy" Liturgical 2005
65 Bredin, Hugh, "Medieval Art Theory, In A Companion to Art Theory" Blackwell 2002
66 Hegel, Georg W. F., "Lectures on the Philosophy of Religion" University of California 1984
67 Gaston Bachelard, "La Poetique de la reverie" PUF 1960
68 Durand, Gilbert, "L'Imaginaire, Essai sur les Sciences et la Philosophie de L'image" Hatier 1994
69 Troeger, Thomas H, "Imagining a Sermon: Abingdon Preacher's Libray" Abingdon 1990
70 Schultze, Quentin J, "High-Tech Worship?" Baker 2004
71 Muggeridge, Malcolm, "Confessions of a Twentieth-Century Pilgrim" Harper & Row 1988
72 Westmann, Claus, "Basic Forms of Prophetic Speech" Westminster 1967
73 White, Susan J., "Art, Architecture and Liturgical Reform: The Liturgical Art Society, 1928-1972" Pueblo 1989
74 Banks, Robert, "1세기 교회의 예배 모습" 여수룬 1989
실천신학의 과제와 전망 - 한국복음주의 실천신학회를 중심으로
교파별 예배 모델 모색 : 성결교회의 비예전적 예배 유형을 중심으로
"헨리 나우웬 영성이 현대 기독교 영성에 미친 영향 : 한 복음주의자의 견해"
북한선교패러다임에 따른 북한인권 접근 방식에 관한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6-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8-12-30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복음주의 실천신학 논총 -> 복음과 실천신학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19 | 1.19 | 1.0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 | 0.88 | 0.878 | 0.3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