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박태원 문학의 문학사 기입과정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63580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박태원 문학이 한국문학사에 어떤 식으로 기입되었는지 그 과정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박태원의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이 발표된 1934년 전후의 비평계에 박...

      이 글은 박태원 문학이 한국문학사에 어떤 식으로 기입되었는지 그 과정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박태원의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이 발표된 1934년 전후의 비평계에 박태원이 어떠한 평가를 얻고 있었는지, 한국문학사에는 어떤 식으로 기입되어 있는지 그 과정을 추적해보았다. 1934년을 전후한 비평계에서 박태원은 문체, 형식 면에서도 조선어문학의 새로운 경지를 개척하였으며, 1936년 무렵 고현학에 대한 소개가 있었다는 것, 이태준의 지지가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했다는 것, 프로작가들은 기교파, 심리주의라고 비판했으나 안회남부터 박태원의 도회적 감각, 기교주의의 긍정성에 대한 평가를 하고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백철의 문학사에서는 최재서의 비평을 토대로 천변풍경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지고, 조연현의 문학사에서는 박태원에 대한 언급이 사라졌다. 박태원이 문학사에 복원되는 것은 1973년 김윤식 김현의 한국문학사 서술에서이다. 여기서 언급된 장거리문장은 1938년 이태준이 단행본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 서문에서 언급한 것이 유래가 된다.
      이러한 논의에 기대어 박태원과 이태준이 공유하고 있는 문학, 한국문학사 내에서 장거리문장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 기교파라는 지칭의 일본 · 조선 간 비평의 맥락에 대한 복원 등을 통해 박태원 연구 나아가 한국문학연구가 풍성해지길 전망해본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to trace the process of how the works of Tae-won Park secured a position in Korean literary history. Above all, I traced what evaluations Tae-won Park received in the field of literary criticism around the year of 1934, when his novel A ...

      This study is to trace the process of how the works of Tae-won Park secured a position in Korean literary history. Above all, I traced what evaluations Tae-won Park received in the field of literary criticism around the year of 1934, when his novel A day in the life of Mr. Gubo the Novelist was published, and how he is described in Korean literary history nowadays.
      The results are as follows: Park developed a new fields in the aspects of writing style and literary form in Korean literature around the year of 1934. Mun-chip Kim introduced the modernology around 1936. The support of Tae-joon Lee played a critical role in the evaluation of the novel A day in the life of Mr. Gubo the Novelist. While the writers in proletarian literature criticized him as technicism or psychologism, Hoe-nam Ahn appraised his urban sensibility and technicism. After Korea’s independence, Chol Paik rated Scenes From Chong-gye Stream high in his literary historiography, on the while Yeon-hyeon Cho never gave any comment on Tae-won Park in his literary history. It is in the Korean literary history by Hyeon Kim and Yun-shik Kim in 1973 that Park is restored in literary history. The concept of ‘long distance sentence’ referred by them, originated in Tae-joon Lee’s preface which was included in the Park’s book A day in the life of Mr. Gubo the Novelist.
      I am looking forward that research of Korean literature as well as Tae-won Park will bear abundant fruit with my findings as followings: ‘long distance sentences’ in Korean literary history which Park and Tae-joon Lee is sharing, technicism in the contexts of criticism between Colonial Korea and Japa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1. 서론
      • 2.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1934) 전후의 박태원 관련 비평
      • 3. 한국 문학사 속 박태원
      • 4. 결론
      • 〈국문요약〉
      • 1. 서론
      • 2.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1934) 전후의 박태원 관련 비평
      • 3. 한국 문학사 속 박태원
      • 4.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한숙, "현대한국문학사" 고려대출판부 1982

      2 권영민, "한국현대문학사 1" 민음사 2002

      3 조연현, "한국현대문학사" 성문각 1969

      4 김윤식, "한국소설사" 예하 1993

      5 김윤식, "한국문학의 리얼리즘과 모더니즘" 민음사 1989

      6 김윤식, "한국문학사" 민음사 1973

      7 백철, "조선신문학사조사 현대편" 백양당 1949

      8 손유경, "식민지 조선에서 ‘전위’가 된다는 것 (1)" 한국현대문학회 (41) : 435-464, 2013

      9 박태원,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 문장사 1938

      10 백철, "세 개의 신변소설"

      1 정한숙, "현대한국문학사" 고려대출판부 1982

      2 권영민, "한국현대문학사 1" 민음사 2002

      3 조연현, "한국현대문학사" 성문각 1969

      4 김윤식, "한국소설사" 예하 1993

      5 김윤식, "한국문학의 리얼리즘과 모더니즘" 민음사 1989

      6 김윤식, "한국문학사" 민음사 1973

      7 백철, "조선신문학사조사 현대편" 백양당 1949

      8 손유경, "식민지 조선에서 ‘전위’가 된다는 것 (1)" 한국현대문학회 (41) : 435-464, 2013

      9 박태원,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 문장사 1938

      10 백철, "세 개의 신변소설"

      11 김종욱, "새 민족문학사강좌-근대계몽기에서 2천년대 대중문학까지 02" 창비 2009

      12 김흥식, "박태원의 소설과 고현학" 한국현대문학회 (18) : 327-358, 2005

      13 천정환, "문학사 이후의 문학사-한국 현대문학사의 해체와 재구성" 푸른역사 2013

      14 김병익, "문단반세기"

      15 박진숙, "도시의 일상성과 기교의 결합이 낳은 승리, 박태원 문학" 2009

      16 조영복, "넘다 보다 듣다 읽다 : 1930년대 문학의 경계넘기와 개방성의 시학"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2013

      17 김소운, "내가 겪은 20세기"

      18 박태원, "내 예술에 대한 항변-작품과 비평가의 책임"

      19 김양석, "기성작가와 신진작가"

      20 천정환, "근대의 책 읽기" 푸른역사 2003

      21 김두용, "구인회에 대한 비판"

      22 조용만, "구인회 만들 무렵" 정음사 1984

      23 오현숙, "구보 텍스트 심층읽기1 -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 구보학회 (12) : 331-358, 2015

      24 권 은, "경성 모더니즘 소설 연구 : 박태원 소설을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대학원 2013

      25 정영훈, "1970년대 구보 잇기의 문학사적 맥락" 구보학회 9 : 289-322, 2013

      26 임화, "1933년의 조선문학의 제경향과 전망"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27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Urimalgeul -> Urimalgeul: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8 0.58 0.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4 0.53 1.033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