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제주지역 장애인관광과 수용태세에 대한 업종별 인식 비교 연구 = A Study on the perception differences of the Tourism for disabled people and Readiness State amongst types of tourism business in Jeju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97191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re is a growing interest in tourism for the disabl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overall perception and the readiness to receive of tourism for the disabled people in Jeju and to draw policy implications for the disability of disabled tourists in Jeju area.
      Survey data was collected from 252 local respondents, working in tourism related business. Factor analysis, T-test, Anova analysi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for perception of tourism for the disabled among industries.
      In particular, there is a marked difference in perceptions between tourism administration agencies and private businesses. This raises the necessity of policies and systems such as campaigns and educations for tourism for the disabled. In the case of readiness to receive the disabled tourists,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the employee and business. However, the perception of the disabled tourists is generally insufficient, This study aims to contribute to the study of suppliers for disabled tourists in Jeju.
      번역하기

      There is a growing interest in tourism for the disabl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overall perception and the readiness to receive of tourism for the disabled people in Jeju and to draw policy implications for the disability of disab...

      There is a growing interest in tourism for the disabl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overall perception and the readiness to receive of tourism for the disabled people in Jeju and to draw policy implications for the disability of disabled tourists in Jeju area.
      Survey data was collected from 252 local respondents, working in tourism related business. Factor analysis, T-test, Anova analysi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for perception of tourism for the disabled among industries.
      In particular, there is a marked difference in perceptions between tourism administration agencies and private businesses. This raises the necessity of policies and systems such as campaigns and educations for tourism for the disabled. In the case of readiness to receive the disabled tourists,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the employee and business. However, the perception of the disabled tourists is generally insufficient, This study aims to contribute to the study of suppliers for disabled tourists in Jeju.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장애인관광에 대한 연구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따라 본 연구는 제주지역 장애인 관광시장에 대한 전반적 인식과 장애인 관광객을 위한 수용태세에 대한 업종별 인식차이를 고찰하고 제주지역 장애인 관광의 장애해소를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 수행을 위해 제주지역 관광 관련 사업체 및 공공기관 16곳의 종사원 252명(유효표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업종간 인식차이를 탐색하기 위해 요인분석(EFA), T-test, Anova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제주지역 장애인관광에 대한 인식은 업종간 차이를 보였다. 특히, 관광행정기관과 민간사업체 간 인식차이가 두드러짐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는 공공부문이 주도하에 장애인관광과 장애인관광시장에 대한 민간업계의 인식개선을 위한 캠페인, 체험, 교육 등의 정책과 제도마련 필요성을 제기한다. 수용태세 인식의 경우 기업 수용태세와 종사자 수용태세에 대한 인식에서 업종간 차이를 보였으나, 대체적으로 장애인 관광객에 대한 인식이 매우 미흡하여 공급자 차원의 주도적 수용태세 향상을 기대하기는 어려운 실정으로, 이 점에서도 공공부문의 선도적 노력이 시급한 것으로 보인다.
      번역하기

      장애인관광에 대한 연구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따라 본 연구는 제주지역 장애인 관광시장에 대한 전반적 인식과 장애인 관광객을 위한 수용태세에 대한 업종별 인식차이를 고찰하고 제...

      장애인관광에 대한 연구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따라 본 연구는 제주지역 장애인 관광시장에 대한 전반적 인식과 장애인 관광객을 위한 수용태세에 대한 업종별 인식차이를 고찰하고 제주지역 장애인 관광의 장애해소를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 수행을 위해 제주지역 관광 관련 사업체 및 공공기관 16곳의 종사원 252명(유효표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업종간 인식차이를 탐색하기 위해 요인분석(EFA), T-test, Anova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제주지역 장애인관광에 대한 인식은 업종간 차이를 보였다. 특히, 관광행정기관과 민간사업체 간 인식차이가 두드러짐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는 공공부문이 주도하에 장애인관광과 장애인관광시장에 대한 민간업계의 인식개선을 위한 캠페인, 체험, 교육 등의 정책과 제도마련 필요성을 제기한다. 수용태세 인식의 경우 기업 수용태세와 종사자 수용태세에 대한 인식에서 업종간 차이를 보였으나, 대체적으로 장애인 관광객에 대한 인식이 매우 미흡하여 공급자 차원의 주도적 수용태세 향상을 기대하기는 어려운 실정으로, 이 점에서도 공공부문의 선도적 노력이 시급한 것으로 보인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희천, "호텔기업의 장애인 고객 서비스 향상에 관한 연구" 대한관광경영학회 24 (24): 197-212, 2009

      2 한국문화관광연구원, "해외동향분석, 장애인 문화정책" 2010

      3 이훈, "한국 장애인관광의 실태와 해외사례 분석" 34 : 31-37, 2008

      4 우경진, "한국 복지관광의 개선분야 중요도 인식에 관한 탐색적 연구" 4 (4): 18-28, 2018

      5 강청환, "취재파일-장애인도 여행가고 싶다"

      6 류성옥, "장애인의 관광활동 제약 협상과정" 한국관광학회 36 (36): 287-305, 2012

      7 전영록, "장애인의 관광활동 유형별 자기지각 삶의 질 비교: 청각장애인과 지체장애인 비교" 대한관광경영학회 23 (23): 375-396, 2009

      8 김영규, "장애인의 관광 활동 활성화방안에 관한 연구" 대한관광경영학회 27 (27): 431-445, 2013

      9 박종일, "장애인의 관광 참여 동기와 장애에 관한 탐색적 조사" 2004 (2004): 181-194, 2004

      10 전영록, "장애인의 개인가치, 감성지능이 관광선호에 미치는 영향" (사)한국관광레저학회 22 (22): 23-42, 2010

      1 이희천, "호텔기업의 장애인 고객 서비스 향상에 관한 연구" 대한관광경영학회 24 (24): 197-212, 2009

      2 한국문화관광연구원, "해외동향분석, 장애인 문화정책" 2010

      3 이훈, "한국 장애인관광의 실태와 해외사례 분석" 34 : 31-37, 2008

      4 우경진, "한국 복지관광의 개선분야 중요도 인식에 관한 탐색적 연구" 4 (4): 18-28, 2018

      5 강청환, "취재파일-장애인도 여행가고 싶다"

      6 류성옥, "장애인의 관광활동 제약 협상과정" 한국관광학회 36 (36): 287-305, 2012

      7 전영록, "장애인의 관광활동 유형별 자기지각 삶의 질 비교: 청각장애인과 지체장애인 비교" 대한관광경영학회 23 (23): 375-396, 2009

      8 김영규, "장애인의 관광 활동 활성화방안에 관한 연구" 대한관광경영학회 27 (27): 431-445, 2013

      9 박종일, "장애인의 관광 참여 동기와 장애에 관한 탐색적 조사" 2004 (2004): 181-194, 2004

      10 전영록, "장애인의 개인가치, 감성지능이 관광선호에 미치는 영향" (사)한국관광레저학회 22 (22): 23-42, 2010

      11 이혜련, "장애인을 위한 컨벤션 접근성 제공: 컨벤션전문가의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18 (18): 295-309, 2009

      12 이봉구, "장애인관광시장에 대한 우리나라 관광업계 인식 및준비 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관광학회 37 (37): 55-76, 2013

      13 이봉구, "장애인관광시장과 동 시장 활성화 방안에 대한 우리나라 여행업 종사원의 인식"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22 (22): 299-316, 2013

      14 박정아, "장애인 유형에 따른 여가특성 연구" (사)한국관광레저학회 23 (23): 279-297, 2011

      15 박승현, "장애유형에 따른 관광제약의 차이 분석 - 지체 · 시각 · 청각 장애를 대상으로 -" 관광연구소 23 (23): 193-212, 2011

      16 이봉구, "장애유형에 따른 관광 제약요인관광활동 참여 시 고려사항 차이에 관한 연구" (사)한국관광레저학회 20 (20): 7-24, 2008

      17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외래관광객 1,000만 명 시대의 관광수용태세 정비방안" 2012

      18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서울시의 무장애 관광도시 조성계획, 한국관광정책" 2017

      19 부산발전연구원, "무장애관광동시 조성의 필요성과 부산의 방향"

      20 김문찬, "관광위기에 대한 업종별 인식 차이연구: 2015년 메르스 사태를 중심으로" (사)한국관광레저학회 29 (29): 271-287, 2017

      21 이봉구, "관광 관련 제약요인이 장애인의 관광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Seligman의 무력감이론의 적용" 한국관광학회 32 (32): 39-59, 2008

      22 Takeda, "U.S. Tour operators and travel agencies" 12 (12): 47-61, 2002

      23 Darcy, S., "Towards strategic intent : Perceptions of disability service provision amongst hotel accommodation managers" 30 : 468-476, 2011

      24 Turbo, D. M., "Tourism constraint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33 (33): 78-84, 1998

      25 Pagan, R, "Time allocation in tourism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39 (39): 1514-1537, 2012

      26 Open Doors Organization, "Research among adults with disabilities: Travel and Hospitality Chicago" 2003

      27 Smith, R. W., "Leisure of disabled tourists : Barriers to travel" 14 (14): 376-389, 1987

      28 Ozturk, Y., "Is The Turkish tourism industry ready for a disabled customer's market? The views of hotel and travel agency managers" 29 : 382-, 2008

      29 신문기, "IPA기법을 활용한 해양레저 수용태세 개선에 관한 연구 :포항지역 스쿠버다이빙 방문객을 대상으로" 대한관광경영학회 32 (32): 253-266, 2017

      30 Grady, J., "Equal access to hospitality services for guests with mobility impairments under the Americans with Disabilities Act : Implications for the hospitality industry" 28 : 161-169, 2009

      31 Eichhorn, V., "Enabling access to tourism through information schemes" 35 (35): 189-210, 2008

      32 Darcy, S., "Disability citizenship. An Australian human rights analysis of the Cultural industries" 28 (28): 419-441, 2009

      33 Burnett, J. J., "Assessing the travel related behaviors of the mobility-disabled consumer" 40 : 4-11, 2010

      34 Israeli, A. A., "A preliminary investigation of the importance of site accessibility factors for disabled tourists Journal of Hospitality Management" 41 (41): 101-104, 2002

      35 보건복지부, "2017 보건복지통계연보" 2017

      36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4년 장애인 실태조사" 201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7-04-0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International Journal of Tourism Management and Science -> International Journal of Tourism Management and Sciences KCI등재
      2017-03-3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Tourism Research -> International Journal of Tourism Management and Science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79 2.79 3.0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3 2.97 3.547 0.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