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수한 작문의 요소로서 coherence(일관성, 통일성)는 언어교육계의 관심의 대상이 되어왔다. 작문의 일관성 • 통일성을 도모하는 요소 중 하나는 cohesion(결속성)이다. 결속성의 종류로는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764793
-
2010년
Korean
coherence ; reference ; effect ;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 criteria for scoring ; Cohesion ; cohesive markers ; letters ; writing ; English ; children ; lexical ties ; ellipsis ; substitution ; conjunction ; writing education ; narrative ; stories ; coherence ; picture ; repeated measure MANOVA ; EQS ; cohesion ; pronoun ; substitution ; ellipsis ; synonym/antonym ; article ; conjunction ; homonym ; repetition ; collocation ; path modeling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우수한 작문의 요소로서 coherence(일관성, 통일성)는 언어교육계의 관심의 대상이 되어왔다. 작문의 일관성 • 통일성을 도모하는 요소 중 하나는 cohesion(결속성)이다. 결속성의 종류로는 ...
우수한 작문의 요소로서 coherence(일관성, 통일성)는 언어교육계의 관심의 대상이 되어왔다. 작문의 일관성 • 통일성을 도모하는 요소 중 하나는 cohesion(결속성)이다. 결속성의 종류로는 다음과 같은 종류가 있다: pronoun, substitution, ellipsis, synonym/antonym, article, conjunction, homonym, repetition, collocation. 이들이 소위 cohesive markers(결속 표지어)라는 용어로 지칭되고 있다. 이들 표지어들 중 어떤 표지어들이 더 coherence에 기여하는지, 또한 장르 간에 현상이 동일한지에 대해서는 지금껏 empirical research를 통해 조사된 바가 거의 없다.
본 연구는 위 이론이 초등학생들이 쓴 두 장르(이야기와 편지)의 영어작문 데이타에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통계적으로 검증해 보았다. 구체적으로 (1) 결속표지어들이 나타나는 정도가 이야기와 편지 간에 다른지 동일한지, (2) coherence가 결속성 표지어들에 영향을 받는다는 이론이 이야기와 편지 데이터에 의해 증명되는지의 여부, (2) 각 표지어들이 coherence에 상대적으로 어느 정도 많이 혹은 적게 기여하는지를 조사하였다. 편지와 이야기 작문은 coherence quality 점수와 cohesive markers 각각이 나타나는 빈도수로 평가되었다. 데이터 분석으로 다변량 검증, t 검정, 경로분석이 사용되었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이야기와 편지 두 장르 간에 나타나는 결속 표지어(cohesive markers)의 빈도수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표지어들 그룹(pronoun, substitution, ellipsis, synonym/antonym)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 표지어들(article, conjunction, hononym, repetition, collocation) 그룹으로 나뉘어 졌다.
(2) 결속 표지어(cohesive markers)들이 작문의 일관성(coherence)에 기여하는 정도는 편지와 이야기 두 장르 간에 다르게 나타났다. 편지에서는 conjunction, ellipsis, collocation 이 일관성에 중요한 공헌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야기에서는 이 세가지 외 pronoun도 중요한 공헌자로 나타났다. 나머지 표지어들은 통계적으로 중요하지 않은 요소들로 판명되었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언어교육계에 고유한 공헌을 할 것이다. 첫째, 결속 표지어들의 coherence에 대한 관계와 영향정도에 대한 이론적 이해를 증진시킬것이다. 둘째, 본 연구의 결과는 영어작문교육에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언어교사들은 ellipsis, collocation, pronoun의 중요성을 강조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coherence에 부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드러난 conjunction을 지나치게 강조하지 않게 될 것이다. 셋째, 이 연구 검증에 사용된 경로분석 방법의 사용 예시는 다른 연구자들이 유관 분야에서 변수의 상대적인 중요성을 조사하는데 유효한 참조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oherence has been a critical element for achieving high quality writing, and therefore, it has emerged as a significant area of interest in the field of language education. One of the factors contributing to coherence is cohesion, which comprises the...
Coherence has been a critical element for achieving high quality writing, and therefore, it has emerged as a significant area of interest in the field of language education. One of the factors contributing to coherence is cohesion, which comprises the following elements: substitution; conjunction; ellipsis; reference consisting of pronoun, proper noun, and article; and lexical ties consisting of hynonym, repetition, collocation, synonym and antonym. These elements ar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cohesive markers.’ It has been for a long time a question which of these markers contributes to coherence more greatly or less so. It has also been a question whether the effect of these markers show the same or different degrees across two genres, story writing and letter writing.
This study investigated these questions based on data collected from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were required to write both letters and stories. Both letters and stories were evaluated for the quality of coherence and the frequencies of the cohesive markers. The analysis used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paired t tests, and path modeling wit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the frequencies of the cohesive markers were not the same across letters and stories. The following markers showed statistically similar frequencies between two genres: article, conjunction, homonym, repetition, and collocation. However, the following markers showed statistically different occurrences across the two genres: pronoun, substitution, ellipsis, and synonym/antonym. Second, the extent to which these cohesive markers contributed to the quality of coherence was different across the genres. In letters, conjunction, ellipsis, collocation were significant factors to coherence. However, in stories, pronoun, as well as conjunction, ellipsis, and collocation, was a significant factor. The other markers recorded as a non-significant factor to coherence quality.
This study makes unique contributions to the field of language education. First, the results of this study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oherence and cohesion. Educators will be able to apply these results to the teaching of coherence and cohesion in composition classes. For instance, they will emphasize the value of collocation, ellipsis, and pronoun, and not focus too much on conjunction, which emerged as a negative factor to coherence. Finally, the use of path modeling in this study will serve as an example for those wanting to use this methodology to investigate the relative importance of variables to a target variable of interest.
Protecting Children: Four True Stories
Teachers TV Teachers TVCreative writing book, teaching narrative animation, talk-for-writing resource
Teachers TV Teachers TVPrimary Writing Starters: The Railway Children
Teachers TV Teachers TVAdvanced English Writing
성균관대학교 러스티힛, 성균관대학교English Writing
성균관대학교 저스틴그린우드, 성균관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