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2000년대 한국의 ‘퓨전산수화’ 연구 = A Study on Korean Style 'Fusion Hills and Waters Painting' in the 2000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79563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riental hills and waters painting, which originated as the backgrounds of portraits in the Han Dynasty, has a long tradition. Korean hills and waters painting was introduced from China and when looking at the tomb murals of the Koguryo Period, it was first used as the background of portraits rather than as a main subject.
      The environments of art and culture, along with politics and society, have been going through many changes in the 2000s. With the rapidly changing traditional life style and culture, the 'fusion' concept has been developing with the blending together of different things. This fusion phenomena influences not only art and culture, but also daily life. Today, 'fusion' means creating a new 3rd when two different or multiple cultures, regions, ranks, and objects are compromised, complemented and fused.
      Today's Korean style 'hills and waters painting' is adopts this fusion concept. While the traditional sense of landscape painting is breaking up, Western mediums, besides paper and ink, are used and have resulted in fusion landscape painting, showing the co-existence of tradition and Western. This fusion trend has led to a new current in Korean style Hills and Waters Painting in the 2000s.
      This study focuses on fusion Hills and Waters Painting that has appeared as a major trend of the 2000s. First, it reviews how the fusion Hills and Waters Painting was born along with its significance, then looks into how the fusion Hills and Waters Painting is expressed by examining some examples.
      번역하기

      Oriental hills and waters painting, which originated as the backgrounds of portraits in the Han Dynasty, has a long tradition. Korean hills and waters painting was introduced from China and when looking at the tomb murals of the Koguryo Period, it was...

      Oriental hills and waters painting, which originated as the backgrounds of portraits in the Han Dynasty, has a long tradition. Korean hills and waters painting was introduced from China and when looking at the tomb murals of the Koguryo Period, it was first used as the background of portraits rather than as a main subject.
      The environments of art and culture, along with politics and society, have been going through many changes in the 2000s. With the rapidly changing traditional life style and culture, the 'fusion' concept has been developing with the blending together of different things. This fusion phenomena influences not only art and culture, but also daily life. Today, 'fusion' means creating a new 3rd when two different or multiple cultures, regions, ranks, and objects are compromised, complemented and fused.
      Today's Korean style 'hills and waters painting' is adopts this fusion concept. While the traditional sense of landscape painting is breaking up, Western mediums, besides paper and ink, are used and have resulted in fusion landscape painting, showing the co-existence of tradition and Western. This fusion trend has led to a new current in Korean style Hills and Waters Painting in the 2000s.
      This study focuses on fusion Hills and Waters Painting that has appeared as a major trend of the 2000s. First, it reviews how the fusion Hills and Waters Painting was born along with its significance, then looks into how the fusion Hills and Waters Painting is expressed by examining some exampl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산수화(山水畵)는 오랜 전통을 지니고 있는데 중국의 한(漢)대에 인물화의 배경으로부터 시작되었다. 한국의 산수화는 중국으로부터 전해졌다고 보고 있는데 고구려의 고분벽화에서는 주제로 표현된 것이 아니라 인물화의 배경으로 나타나고 있다.
      2000년대가 되면서 정치·사회 뿐만 아니라 예술문화의 환경도 바뀌어 가고 있다. 특히 전통적인 생활양식이나 문화가 급격하게 변화하면서 서로 다른 것이 ‘융합’하는 ‘퓨전’ 현상이 일어나고 있다. 이와 같은 퓨전현상은 예술과 문화 나아가 일상생활에까지 그 영향을 미치고 있는데 오늘날 ‘퓨전’의 의미는 상이한 두 종류 이상의 문화와 지역, 계층, 사물들이 서로 절충하고 보완하여 융합되면서 제 3의 새로운 것을 창조하는 것을 말한다.
      동시대 ‘산수화’에도 퓨전의 개념이 개입되어 표현되기 시작하면서 전통적 산수개념이 해체되고 동양적 표현과 서양적 표현이 혼재되는 ‘퓨전산수화’가 탄생하였다. 그리고 ‘퓨전산수화’의 경향은 2000년대 한국화의 산수화 표현에서 새로운 흐름을 주도하고 있다.
      본 연구는 현대 산수화의 변화 속에서 2000년대에 이르러 중요 경향으로 형성되고 있는 퓨전산수화에 주목하였다. 이에 따라 첫째, 퓨전산수화의 의미와 함께 퓨전산수화가 어떻게 형성되고 있는가 하는 것을 알아보고, 둘째, 구체적인 퓨전산수화의 사례를 통하여 어떻게 표현되고 있는가 하는 것을 알아보았다.
      번역하기

      산수화(山水畵)는 오랜 전통을 지니고 있는데 중국의 한(漢)대에 인물화의 배경으로부터 시작되었다. 한국의 산수화는 중국으로부터 전해졌다고 보고 있는데 고구려의 고분벽화에서는 주제...

      산수화(山水畵)는 오랜 전통을 지니고 있는데 중국의 한(漢)대에 인물화의 배경으로부터 시작되었다. 한국의 산수화는 중국으로부터 전해졌다고 보고 있는데 고구려의 고분벽화에서는 주제로 표현된 것이 아니라 인물화의 배경으로 나타나고 있다.
      2000년대가 되면서 정치·사회 뿐만 아니라 예술문화의 환경도 바뀌어 가고 있다. 특히 전통적인 생활양식이나 문화가 급격하게 변화하면서 서로 다른 것이 ‘융합’하는 ‘퓨전’ 현상이 일어나고 있다. 이와 같은 퓨전현상은 예술과 문화 나아가 일상생활에까지 그 영향을 미치고 있는데 오늘날 ‘퓨전’의 의미는 상이한 두 종류 이상의 문화와 지역, 계층, 사물들이 서로 절충하고 보완하여 융합되면서 제 3의 새로운 것을 창조하는 것을 말한다.
      동시대 ‘산수화’에도 퓨전의 개념이 개입되어 표현되기 시작하면서 전통적 산수개념이 해체되고 동양적 표현과 서양적 표현이 혼재되는 ‘퓨전산수화’가 탄생하였다. 그리고 ‘퓨전산수화’의 경향은 2000년대 한국화의 산수화 표현에서 새로운 흐름을 주도하고 있다.
      본 연구는 현대 산수화의 변화 속에서 2000년대에 이르러 중요 경향으로 형성되고 있는 퓨전산수화에 주목하였다. 이에 따라 첫째, 퓨전산수화의 의미와 함께 퓨전산수화가 어떻게 형성되고 있는가 하는 것을 알아보고, 둘째, 구체적인 퓨전산수화의 사례를 통하여 어떻게 표현되고 있는가 하는 것을 알아보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오광수, "한국현대미술사" 열화당 2004

      2 최열, "한국근대미술의 역사" 열화당 2006

      3 이구열, "한국근대미술산고" 을유문화사 1972

      4 오광수, "한국근대미술 사상 노트" 일지사 1998

      5 제임스 캐힐, "중국회화사" 열화당 2002

      6 마이클 설리반, "중국의 산수화" 문예출판사 1994

      7 리차드 에드워즈, "중국산수화의 세계" 예경 1992

      8 권덕주, "중국미술사상에 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출판부 1982

      9 쑨언퉁, "중국 산수화의 이해" 미진사 2008

      10 지순임, "산수화의 이해" 일지사 1993

      1 오광수, "한국현대미술사" 열화당 2004

      2 최열, "한국근대미술의 역사" 열화당 2006

      3 이구열, "한국근대미술산고" 을유문화사 1972

      4 오광수, "한국근대미술 사상 노트" 일지사 1998

      5 제임스 캐힐, "중국회화사" 열화당 2002

      6 마이클 설리반, "중국의 산수화" 문예출판사 1994

      7 리차드 에드워즈, "중국산수화의 세계" 예경 1992

      8 권덕주, "중국미술사상에 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출판부 1982

      9 쑨언퉁, "중국 산수화의 이해" 미진사 2008

      10 지순임, "산수화의 이해" 일지사 1993

      11 김종태, "동양회화사상" 일지사 1984

      12 김종태, "동양화론" 일지사 1997

      13 "『신산수풍경』카탈로그"

      14 광주mbc, "『2006 수묵대전』 카탈로그"

      15 "2000 한국디자인학회 봄학술발표대회 자료집"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2-0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Bulletin of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 Journal of Basic Design & Art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3 0.33 0.3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4 0.34 0.512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