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원불교 효사상의 현대적 이해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82217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원불교 효사상의 현대적 이해에 도움이 되고자하는데 있다. 원불교는 1916년 소태산(1891-1943)의 대각에 의해 한국에서 개교되어 세계로 뻗어가고 있는 종교로서 국내 4대 종...

      본 연구의 목적은 원불교 효사상의 현대적 이해에 도움이 되고자하는데 있다. 원불교는 1916년 소태산(1891-1943)의 대각에 의해 한국에서 개교되어 세계로 뻗어가고 있는 종교로서 국내 4대 종교의 하나로 자리하고 있다. 또한 원불교는 모든 종교에서 그렇듯이 원불교의 교리와 실천이 담긴 경전에서 효(孝)를 강조하고 있다. 소태산은 효가 그 형식은 시대에 따라 다르나 효의 정신은 어느 시대에나 변함없이 활용되어야 한다고 밝히며 효를 강조하였다. 더불어 소태산은 4은 중 부모은에 원불교의 효를 밝혔다. 소태산의 뒤를 이은 정산(1900-1962)은 효는 보은의 도를 행하는 보은행에 있으며 효의 실행은 사은의 모든 은혜를 발견하는데 있다고 하였다. 3대 종법사인 대산(1914-1998)은 효와 자비를 강조하며 효의 성자라 할 수 있을 정도로 효를 중요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소태산과 정산, 대산에 이르기까지 3대에 걸쳐서 원불교가 표방하는 효사상을 대외에 인식시킬 수 있는 소중한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modern understanding of filial piety in Won-Buddhism, religion founded in Korea. After many years of searching for the truth and undergoing ascetic practices, Sotaesan(1891-1943), the Founding Master of Won-Buddhism, att...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modern understanding of filial piety in Won-Buddhism, religion founded in Korea. After many years of searching for the truth and undergoing ascetic practices, Sotaesan(1891-1943), the Founding Master of Won-Buddhism, attained supreme enlightenment in 1916. Won-Buddhism is now recognized as one of four major religions in Korea and is growing worldwide. Similar to other Eastern traditions, the virtue of filial piety is emphasized in Won-Buddhism. According to Sotaesan, although the practice of Hyo(filial piety,孝) may vary according to the era, the spirit of filial piety will continue throughout the ages. One of the main teachings in Won-Buddhism is the Fourfold Grace which includes the Grace of Parents. Filial piety is one of the main concepts in the section on the Grace of Parents. Jeongsan(1900-1962), the second Prime Dharma Master of Won-Buddhism, taught that the way to practice filial piety was to show gratitude to one's parents, which is accomplished by awakening to the Fourfold Grace. Daesan(1914-1998), the third Prime Dharma Master of Won-Buddhism, filial piety and benevolence and is therefore known as the sage of filial piety. This study will be an important step to present the concept of Won-Buddhism's thoughts of filial piet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Ⅰ. 들어가는 말
      • Ⅱ. 소태산의 대각과 효
      • Ⅲ. 사은과 효의 관계성 및 부모은
      • Ⅳ. 정산종사와 효
      • 요약
      • Ⅰ. 들어가는 말
      • Ⅱ. 소태산의 대각과 효
      • Ⅲ. 사은과 효의 관계성 및 부모은
      • Ⅳ. 정산종사와 효
      • Ⅴ. 대산종사와 효
      • Ⅶ. 나오는 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철호, "효학의 이론과 실천" 한국학술정보 2010

      2 최성규, "효학개론" 성산효대학원대학교 2004

      3 김종두, "효의 패러다임과 현대적 개념" 명문당 2012

      4 최성규, "효신학개론" 도서출판 성산서원 2007

      5 김용옥, "효경한글역주" 통나무 2009

      6 최성규, "효HYO 3통 7행" 도서출판 성산서원 2009

      7 "합본4서3경(合本四書三經)" 양우당 1980

      8 류병덕, "한국사상과 원불교" 교문사 1989

      9 김지하, "촛불, 횃불, 숯불" 이룸 2009

      10 김용옥, "중용 인간의 맛" 통나무 2011

      1 박철호, "효학의 이론과 실천" 한국학술정보 2010

      2 최성규, "효학개론" 성산효대학원대학교 2004

      3 김종두, "효의 패러다임과 현대적 개념" 명문당 2012

      4 최성규, "효신학개론" 도서출판 성산서원 2007

      5 김용옥, "효경한글역주" 통나무 2009

      6 최성규, "효HYO 3통 7행" 도서출판 성산서원 2009

      7 "합본4서3경(合本四書三經)" 양우당 1980

      8 류병덕, "한국사상과 원불교" 교문사 1989

      9 김지하, "촛불, 횃불, 숯불" 이룸 2009

      10 김용옥, "중용 인간의 맛" 통나무 2011

      11 송천은, "종교와 원불교" 원광대학교 출판국 1979

      12 "조선일보"

      13 "정전대의-대산종법사 법문집 1" 원불교출판사 1977

      14 원불교정화사, "정전" 원불교출판사 1992

      15 원불교정화사, "정산종사법어 : 제2부 법어" 원불교출판사 1992

      16 정순일, "유·불·도 삼교의 교섭" 원불교사상연구원 1992

      17 원불교정화사, "원불교전서" 원불교출판사 1992

      18 원불교정화사, "원불교교사" 원불교출판사 1992

      19 박광수, "원불교70년 정신사" 원불교출판사 1989

      20 조정현, "원불교 효사상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대학원 2011

      21 박상권, "원불교 신앙론 연구" 원광대학교 1996

      22 "엣센스 국어사전" 민중서림 2006

      23 김학주, "신완역 효경" 명문당 2006

      24 김시우, "성경적 효 입문" 도서출판 다사랑 2008

      25 성규탁, "새 시대의 효" 연세대학교 출판부 1995

      26 광덕, "부모은중경(父母恩重經)" 신흥출판사 1979

      27 원불교정화사, "대종경" 원불교출판사 1992

      28 "대산종사법어<자문판>" 원불교출판사 2006

      29 "대산종법사 법문집 제3집" 원불교출판사 1988

      30 "대산종법사 법문집 제2집" 원불교출판사 1980

      31 김덕균, "근·현대사속 겨레의효자들" 다른생각 2013

      32 신도형, "교전공부" 원불교출판사 199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5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9-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1 0.61 0.4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3 0.62 0.699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