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교통약자의 이동수단 이용특성 분석에 관한 연구 - 이동지수 산정 및 적용을 중심으로 - = Analysis of Traffic Characteristics for the Transportation Vulnerabl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66307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교통약자의 이동편의 증진법"이 제정됨에 따라, 각 지자체에서는 교통약자의 이동권을 보장하고자 다양한 노력을 해오고 있다. 그러나, 지역여건 및 교통수단 특성 등 교통약자의 교통수단...

      "교통약자의 이동편의 증진법"이 제정됨에 따라, 각 지자체에서는 교통약자의 이동권을 보장하고자 다양한 노력을 해오고 있다. 그러나, 지역여건 및 교통수단 특성 등 교통약자의 교통수단 도입과 관련한 주변 상황은 고려되지 않아 교통약자 이동편의 증진 시책은 그 실효성이 매우 미흡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부산광역시를 대상으로 행정동별 경사도와 저상버스 운행여건, 특별교통수단 이용실태 등 교통약자의 교통수단 이용특성을 고찰하였다. 또한, 교통약자의 교통수단 이동지수 개념을 도입하여 지역별 교통약자의 교통수단 이용여건을 수량화하여 비교분석함으로써 지역특성에 부합하는 교통약자의 교통수단 이용편의 증진방안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ince the enactment of "Mobility Promotion Law for Transportation Vulnerable", each municipality has been various efforts to improve the transportation vulnerable's the right of movement. However, the effectiveness of mobility promotion policy for the...

      Since the enactment of "Mobility Promotion Law for Transportation Vulnerable", each municipality has been various efforts to improve the transportation vulnerable's the right of movement. However, the effectiveness of mobility promotion policy for the transportation vulnerable is awfully inadequate because circumstances which associated with operation of transportation of the handicapped such as local conditions and transport characteristics have not been considered. Thus, in this study investigated traffic characteristics of the transportation vulnerable through the data of regional slope, non-step buses and handicap vehicles operating conditions and so on in Busan Metropolitan. Also, we proposed to introduction of the 'mobility index' which is based on local condition analysis of Busan. And we suggested that how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transportation vulnerable's movemen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헌영, "이중양분선택형 질문법을 이용한 CVM에 의한 지하철 역사 Barrier-free 시설의 가치분석" 대한교통학회 26 (26): 205-216, 2008

      2 김지영, "교통약자를 위한 저상버스도입의 효과에 대한 연구 - 노년층을 중심으로 -" 대한토목학회 28 (28): 29-34, 2008

      3 황덕수, "교통약자를 고려한 보행 신호시간 산정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대한교통학회 26 (26): 181-190, 2008

      4 이신해, "교통약자 만족도 분석을 통한 교통약자 이동편의정책에관한 연구" 서울연구원 10 (10): 197-208, 2009

      5 淸水浩志郞, "高齡者の交通行動に關すす調査․分 析" 421-426, 1983

      6 北川睦彦, "高齡者の交通に關 する硏究" 16 (16): 59-64, 1987

      7 杉尾恵太, "都市バスの役割 の類型化とそれに對應した路線機能改善策の檢討" (17) : 757-764, 2000

      8 森山昌幸, "過疎地域における公共交通 サービスの評価指標の提案" (38) : 475-480, 2003

      9 猪井博登, "福祉の向上の視点を組み込んだコミュニティバ スの評価に關する硏究" 大阪大學博士學位論文 2005

      10 吉田 樹, "市民の外出活性水準を考慮し た地域公共交通の評価に關する基礎的檢討" 65 (65): 348-359, 2009

      1 정헌영, "이중양분선택형 질문법을 이용한 CVM에 의한 지하철 역사 Barrier-free 시설의 가치분석" 대한교통학회 26 (26): 205-216, 2008

      2 김지영, "교통약자를 위한 저상버스도입의 효과에 대한 연구 - 노년층을 중심으로 -" 대한토목학회 28 (28): 29-34, 2008

      3 황덕수, "교통약자를 고려한 보행 신호시간 산정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대한교통학회 26 (26): 181-190, 2008

      4 이신해, "교통약자 만족도 분석을 통한 교통약자 이동편의정책에관한 연구" 서울연구원 10 (10): 197-208, 2009

      5 淸水浩志郞, "高齡者の交通行動に關すす調査․分 析" 421-426, 1983

      6 北川睦彦, "高齡者の交通に關 する硏究" 16 (16): 59-64, 1987

      7 杉尾恵太, "都市バスの役割 の類型化とそれに對應した路線機能改善策の檢討" (17) : 757-764, 2000

      8 森山昌幸, "過疎地域における公共交通 サービスの評価指標の提案" (38) : 475-480, 2003

      9 猪井博登, "福祉の向上の視点を組み込んだコミュニティバ スの評価に關する硏究" 大阪大學博士學位論文 2005

      10 吉田 樹, "市民の外出活性水準を考慮し た地域公共交通の評価に關する基礎的檢討" 65 (65): 348-359, 2009

      11 三星 昭宏, "交通困難者の槪念と交通需要につい て" 28 (28): 31-42, 1995

      12 新田 保次, "モビリティ確保の視点から見 た高齡者對応型バス計劃についての一考察" 28 (28): 43-54, 1995

      13 김태호, "M-IPA를 이용한 장애인과 일반인 지하철 이동시설 만족도 비교 연구" 대한토목학회 29 (29): 703-709, 2009

      14 Kim, Chul, "A Study on the Mobility Characteristics Concerning the Transportation-Poor" 19 (19): 361-368, 199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7-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8-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 0.4 0.4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8 0.35 0.707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