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자치의 활성화와 사회복지서비스의 지방분권화에 따라 지역특성에 맞는 노인복지정책 수립이 요구되고있다. 지역실정에 맞는 정책수립을 위해서는 지역사회에서의 노인복지 욕구를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60025054
2010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11-127(17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지방자치의 활성화와 사회복지서비스의 지방분권화에 따라 지역특성에 맞는 노인복지정책 수립이 요구되고있다. 지역실정에 맞는 정책수립을 위해서는 지역사회에서의 노인복지 욕구를 ...
지방자치의 활성화와 사회복지서비스의 지방분권화에 따라 지역특성에 맞는 노인복지정책 수립이 요구되고있다. 지역실정에 맞는 정책수립을 위해서는 지역사회에서의 노인복지 욕구를 포괄적으로 파악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과학적인 방법론에 기반을 둔 욕구조사가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는 다차원의 정보원과 자료수집 방법을 사용하여 지역사회의 욕구를 정확하고 통합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조사모델인 욕구조사 피라미드모형을 적용하여 4단계에 걸쳐 평택시 노인복지와 관련된 문제와 욕구를 파악하였다. 구체적으로 1단계에서는 지역현황에 대한 조사를, 2단계에서는 자원조사를, 3단계에서는 노인복지서비스 이해당사자인 복지위원, 지역사회복지협의체, 노인복지기관 실무자, 평택시 행정실무단 조사를, 4단계에서는 지역의 노인을 대상으로 한 욕구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들 욕구조사의 결과와 현행 노인복지 공급체계를 감안하고, 국가와 경기도의 정책을 바탕으로 평택시 노인복지의 과제를 도출하였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노인복지서비스의 확충’, ‘통합적인 요양예방관리체계 구축’, ‘노인의 사회참여 활성화‘, ‘권리옹호 시스템 구축’ 등을 중심으로 노인복지 정책 방향을 제안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ccording to the revitalization of local governance and decentralization of social welfare service, the formulation of welfare policy for the aged, which reflects the differences of the elderly's characteristics and the elderly's need, is required. Th...
According to the revitalization of local governance and decentralization of social welfare service, the formulation of welfare policy for the aged, which reflects the differences of the elderly's characteristics and the elderly's need, is required. This study draws the tasks of Pyung Taek City's social welfare policy for the aged from the welfare need assessment based on the Pyramid Model collecting data from multidimensional informants and from analyzing the present welfare supply system and from reviewing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policy for the aged. To solve the tasks, the policy of the elderly is suggested, which include 'the expansion of social service of the elderly', 'the establishment of comprehensive and preventive long-term care system', 'the activation of social participation of the elderly', and 'the establishment of right advocacy system'.
목차 (Table of Contents)
의료서비스대상자의 통합사례관리 방안 연구 : 지방자치단체 총괄 방식의 ‘행정관리 모델’ 중심으로
일본 개호보험의 개혁과 예방급여로서 지역포괄지원센터의 역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