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주홍외, "한국의 연변烽燧" 한국학술정보 2007
2 청주대학교박물관, "청주 것대산 봉수터 발굴조사 약보고서" (9) : 1996
3 이철영, "조선시대 봉수군의 주거에 관한 연구 -경상도 지방을 중심으로-" 한국주거학회 16 (16): 111-120, 2005
4 이철영, "조선시대 沿邊烽燧의 배치형식 및 煙臺에 관한 연구" 한국건축역사학회 15 (15): 41-56, 2006
5 손영식, "전통과학건축" 대원사 1996
6 "영덕 대소산봉수대 정밀지표조사보고서" 경북문화재연구원 2002
7 김도현, "삼척지역의 烽燧 연구" 江原大學校中央博物館 (11) : 2004
8 김주홍, "경기도의 봉수, 경기도의 성곽" 경기문화재단 2003
9 김주홍, "韓國의 烽燧" 눈빛 2003
10 조성기, "韓國民家의 굴뚝類型에 관한 硏究" 25 (25): 1981
1 김주홍외, "한국의 연변烽燧" 한국학술정보 2007
2 청주대학교박물관, "청주 것대산 봉수터 발굴조사 약보고서" (9) : 1996
3 이철영, "조선시대 봉수군의 주거에 관한 연구 -경상도 지방을 중심으로-" 한국주거학회 16 (16): 111-120, 2005
4 이철영, "조선시대 沿邊烽燧의 배치형식 및 煙臺에 관한 연구" 한국건축역사학회 15 (15): 41-56, 2006
5 손영식, "전통과학건축" 대원사 1996
6 "영덕 대소산봉수대 정밀지표조사보고서" 경북문화재연구원 2002
7 김도현, "삼척지역의 烽燧 연구" 江原大學校中央博物館 (11) : 2004
8 김주홍, "경기도의 봉수, 경기도의 성곽" 경기문화재단 2003
9 김주홍, "韓國의 烽燧" 눈빛 2003
10 조성기, "韓國民家의 굴뚝類型에 관한 硏究" 25 (25): 1981
11 "蔚山 川內烽燧臺 學術調査報告書" 울산광역시 동구청 2004
12 "盈德 烽燧臺 地表調査報告書" 영덕군․대구대학교 중앙박물관 2007
13 平川 南, "烽の道" 靑木書店 1997
14 김경추, "朝鮮時代 烽燧體制와 立地에 관한 연구-강원도를 중심으로" 35 (35): 2001
15 車相瓚, "朝鮮史外史" 明星社 1947
16 株式會社學習硏究社, "戰略/戰術/兵器/事典/① 中國古代編"
17 金周洪, "慶尙地域의 烽燧(Ⅱ)" 毋岳實學會 23 : 2002
18 홍성우, "慶南地域 烽燧臺의 構造에 관한 一考察" 경남대학교 2007
19 "『世宗實錄地理志』,『新增東國輿地勝覽』『輿地圖書』,『大東地志』,『增補文獻備考』"
20 단국대학교 중앙박물관, "「망이산성 발굴보고서(1)」, 고적조사보고, 제20책" 단국대학교 중앙박물관 1996
21 차용걸, "「蔚山地域의 對外關防의 性格」,『울산관방유적 봉수』" 울산문화재보존연구회 2003
22 釜山博物館, "「爾吉烽燧臺」, 學術硏究叢書, 第23輯" 2004
23 李元根, "「烽燧槪說」,『韓國의 城郭과 烽燧』下" 한국보이스카우트연맹 1991
24 江陵大學校 博物館, ",「東海 於達山 烽燧臺」, 學術叢書, 33冊"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