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일본정부의 ‘일본군 성노예’ 관련 담화에 나타난 여성에의 폭력: 젠더수사학 관점에서 = Violence against Women in the Japanese Government’s Statement about “Japanese Military Sexual Slavery” from the View of Gender Rhetoric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22572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research analyzed the violence against comfort women in the Japanese government’s official statement from the perspective of gender rhetoric. So far, the Japanese government statement denied the truth regarding Japanese military sexual slavery (...

      The research analyzed the violence against comfort women in the Japanese government’s official statement from the perspective of gender rhetoric. So far, the Japanese government statement denied the truth regarding Japanese military sexual slavery (comfort women), and showed silence about the apology and reparations. The Japanese government’s way of denying the problem of comfort women shows the widespread control and discrimination of women by men. The research tries to analyze these statements of the Japanese government’s way of denying from a rhetorical point of view and point out the problem. Based on six rhetorical methods in which women are treated in the foreground of Foss, Foss, & Griffin (1999), we identified male-dominated mechanisms that exist on the basis of their discourse and the reproduction of oppression and violence against women. We also confirmed discriminatory and self-absorbed appearance against women of the Japanese government’s rhetorical mechanisms regarding Japanese military sexual slavery. Likewise, violence against women through rhetoric exists regardless of time and place. Therefore although we predict a rough future of gender rhetoric, we earnestly hope the spread of gender rhetoric, since women’s liberation is something that should be achiev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일본군성노예와 관련한 일본정부의 공식담화가 이루어내는 여성에 대한 폭력을 젠더수사학적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지금까지 일본 정부의 일본군성노예관련 담화는 진상 규명을...

      본 연구는 일본군성노예와 관련한 일본정부의 공식담화가 이루어내는 여성에 대한 폭력을 젠더수사학적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지금까지 일본 정부의 일본군성노예관련 담화는 진상 규명을 거부하고, 사죄와 배상에 대해 침묵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일본군성노예 문제에 대해 ‘부인’하는일본 정부의 대처방식은 여성이 남성에 의해 광범위하게 통제되고 차별되는 모습을 재차 드러낸다. 본문에서는 이러한 일본정부의 일본군성노예 관련 담화를 수사학적 관점에서 분석해보고 그 문제점을 지적하려 한다. Foss, Foss & Griffin (1999)의 전경에서 여성이 취급되어지는 6가지 수사법(① 의례적 폭력 ② 여성의 목소리를 묵살하기 ③ 여성의 이미지를 고착화하기④ 문제를 검토하는 것을 거절하기 ⑤ 역전 ⑥ 기초적인 용어들)과 관련하여, 일본군성노예 문제를 다루는 일본 정부의 수사법을 분석한 결과, 그들의 담화 기저에 존재하는 남성 중심적 기제와 여성에 대한억압과 폭력의 재생산을 확인하였다. 또한 일본 정부가 일본군성노예 사안에 대처하는 수사적인 장치가 가진 여성에 대해 차별적이며 자기모순적인 모습 또한 확인하였다. 일본 정부의 일본군성노예 관련 담화에서 나타나는 수사학은 지금까지 수사학이 가졌던 남성 중심의 위치를 여실히 보여주는 동시에, 이러한 남성 중심성이 현재까지도 이어지는 모습을 보여준다. 레토릭의 이러한 특성은 시대와 장소를 불문하고 존재할 것이다. 때문에 미래의 젠더수사학에 대한 험난한 전망을 예견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성의 해방은 마땅히 성취되어야 하는 것이기에 젠더수사학의 흐름이 역동적이기를 간절하게 염원하는바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연합뉴스, "화해⋅치유는 ‘피해자 중심주의’에서 출발한다"

      2 부산일보, "특선 영화 ‘허 스토리’, 일본 발칵 뒤집은 ‘관부재판’ 실화… 어떤 줄거리이길래"

      3 양현아, "증언을 통해 본 한국인 ‘군위안부’들의 포스트식민의 상흔(Trauma)" 한국여성학회 22 (22): 133-167, 2006

      4 안미현, "젠더 수사학: 젠더 연구를 위한 수사학적 탐구" 한국헤세학회 (29) : 205-227, 2013

      5 장영미, "제국주의의 폭력과 위안부 피해 여성의 권리 - 『두 할머니의 비밀』과 『모래시계가 된 할머니』, 『수요일의 눈물』을 중심으로"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53) : 195-224, 2017

      6 정진성, "전시 하 여성침해의 보편성과 역사적 특수성: 일본군 위안부문제에 대한 국제사회의 인식" 한국여성학회 19 (19): 39-61, 2003

      7 Cohen, S, "잔인한 국가, 외면하는 대중: 왜 국가와 사회는 인권침해를 부인하는가" 창비 2009

      8 김명희, "일본군‘위안부’ 문제와 부인(denial)의 정치학: ‘『제국의 위안부』 사태’ 다시 읽기" 한국여성학회 33 (33): 235-278, 2017

      9 조윤수, "일본군‘위안부’ 문제에 대한 아베 정권의 인식과 정책: 한일 일본군‘위안부’ 합의를 중심으로" 현대일본학회 (48) : 113-143, 2018

      10 남상구, "일본 정부의 일본군 ‘위안부’에 대한 역사인식과 정책 변화" 한일관계사학회 (58) : 405-443, 2017

      1 연합뉴스, "화해⋅치유는 ‘피해자 중심주의’에서 출발한다"

      2 부산일보, "특선 영화 ‘허 스토리’, 일본 발칵 뒤집은 ‘관부재판’ 실화… 어떤 줄거리이길래"

      3 양현아, "증언을 통해 본 한국인 ‘군위안부’들의 포스트식민의 상흔(Trauma)" 한국여성학회 22 (22): 133-167, 2006

      4 안미현, "젠더 수사학: 젠더 연구를 위한 수사학적 탐구" 한국헤세학회 (29) : 205-227, 2013

      5 장영미, "제국주의의 폭력과 위안부 피해 여성의 권리 - 『두 할머니의 비밀』과 『모래시계가 된 할머니』, 『수요일의 눈물』을 중심으로"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53) : 195-224, 2017

      6 정진성, "전시 하 여성침해의 보편성과 역사적 특수성: 일본군 위안부문제에 대한 국제사회의 인식" 한국여성학회 19 (19): 39-61, 2003

      7 Cohen, S, "잔인한 국가, 외면하는 대중: 왜 국가와 사회는 인권침해를 부인하는가" 창비 2009

      8 김명희, "일본군‘위안부’ 문제와 부인(denial)의 정치학: ‘『제국의 위안부』 사태’ 다시 읽기" 한국여성학회 33 (33): 235-278, 2017

      9 조윤수, "일본군‘위안부’ 문제에 대한 아베 정권의 인식과 정책: 한일 일본군‘위안부’ 합의를 중심으로" 현대일본학회 (48) : 113-143, 2018

      10 남상구, "일본 정부의 일본군 ‘위안부’에 대한 역사인식과 정책 변화" 한일관계사학회 (58) : 405-443, 2017

      11 SBS뉴스, "유엔 “日 위안부 보상 불충분…’해결됐다’ 주장 유감”"

      12 데일리안, "위안부 합의 지키라는 일본의 반인륜"

      13 한겨레, "우리가 잊어버린 최초의 위안부증언자…그 이름, 배봉기"

      14 정경민, "아베의 이중성 … 위안부 문제는 빼고 여성인권 강조"

      15 중앙일보, "아베의 이중성 … 위안부 문제는 빼고 여성인권 강조"

      16 한국일보, "아베 과거사 세탁에만 몰두… 결국 자충수될 것"

      17 연합뉴스, "아베 “위안부 합의 국제약속”강력 반발"

      18 박문각, "시사 상식 사전"

      19 Timothy Broachers, "수사학이론" 커뮤니케이션북스 2007

      20 Richard Toye, "수사학" 교유서가 2013

      21 김명혜, "미완성의 이야기: 일본군 '위안부'들의 경험과 기억" 한국문화인류학회 37 (37): 3-22, 2004

      22 도시환, "동아시아의 여성정책 -일본정부의 일본군‘위안부’ 정책을 중심으로-" 한국법학원 158 (158): 469-502, 2017

      23 정미숙, "나혜석 소설의 ‘여성’과 젠더수사학 ―「경희」, 「원한」, 「현숙」을 중심으로" 현대문학이론학회 (46) : 201-220, 2011

      24 신기영, "글로벌 시각에서 본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한일관계의 양자적 틀을 넘어서" 일본연구소 8 (8): 282-309, 2016

      25 오은엽, "경계넘기의 다양성과 젠더수사학: 이제하 초기 소설을 중심으로"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19 (19): 67-93, 2015

      26 유성재, "日 “위안부 피해자, 우리 조치 환영”…외신에 ‘왜곡 반론’"

      27 Coomaraswamy, Radhika, "Report of the special rapporteur on violence against women, its causes and consequences" 2001

      28 Mary Daly, "Gyn/Ecology: The metaethics of radical feminism" Beacon Press 1978

      29 Foss, K. A, "Feminist rhetorical theories" Sage Pub 1999

      30 Kim, M, "Dilemma of historical reflection in East Asia and the issue of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 : Continuing colonialism and politics of denial" 3 (3): 43-68, 201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4 1.04 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4 1.04 1.477 0.0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