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몇 가지 산채 어린잎 채소의 기능성 및 방향성 성분 함량 비교 = Comparisons of Concentration in Functional and Volatile Components of Several Wild Baby Vegetabl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77227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산채 어린잎으로 개발 가능한 왕고들빼기 선향(Lactuca indica var. laciniata H. ‘Seonyang’), 왕고들빼기 고담(Lactuca indica var. laciniata H. ‘Godam’), 큰다닥냉이(Lepidium sativum L.), 비름(Lactuca i...

      본 연구는 산채 어린잎으로 개발 가능한 왕고들빼기 선향(Lactuca indica var. laciniata H. ‘Seonyang’), 왕고들빼기 고담(Lactuca indica var. laciniata H. ‘Godam’), 큰다닥냉이(Lepidium sativum L.), 비름(Lactuca indica var. laciniata H.), 곤드레(Cirsium setidens L.), 곤달비(Ligularia stenocephala L.)의 6개 어린잎 산채를 대상으로 기능성 성분 함량과 방향성 성분을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총페놀 함량, 플라보노이드 함량, 총카로티노이드 함량, 안토시아닌 함량 분석의 결과 곤드레와 곤달비에서 가장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DPPH scavenging activity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방향성 성분을 분석 비교한 결과 6개 종류의 어린잎 산채 대상 식물에서 총 234개-297개의 피크가 관찰되었다. 일반적으로 방향성 성분은 GC 분석시 빠른 시간에 추출되는 가벼운 분자량을 가지는 성분이 주를 이루는데(α-pinene, β-phelleandrene, β-pinene, limonene, camphene, linalool의 5종), 본 연구의 결과 어린잎 산채 대상 식물에서는 caryophyllene 과 같은 비교적 분자량이 큰 물질이 다량으로 측정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는 본 연구에서 선발된 어린잎 산채가 우리나라의 선호하는 식습관 또는 방향성 특징에 부합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특히 곤드레와 곤달비는 전체의 10%에 이르는 caryophyllene 함량을 나타내어 방향성 성분으로 판단하는 우수한 작물로 판단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concentration of functional components such as total phenolic, flavonoid, cartenoid, anthocyanin, and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volatile concentration in several wild vegetables as Lactuca indica...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concentration of functional components such as total phenolic, flavonoid, cartenoid, anthocyanin, and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volatile concentration in several wild vegetables as Lactuca indica var. laciniata H. ‘Seonyang’, Lactuca indica var. laciniata H. ‘Godam’. Lepidium sativum L., Lactuca indica var. laciniata H., Cirsium setidens L., and Ligularia stenocephala L. Results of the total phenolic, flavoniod, carotinoid and anthocyanin concentration were shown as highest in Cirsium setidens L. and Ligularia stenocephala L. But the DPPH scavenging activity was not shown significantly difference among six wild baby vegetables. As the results of compared volatile components in wild baby vegetables, were detected to total 234-297 peaks. Generally, major volatile components were detected small molecular weight such as α-pinene, β-phelleandrene, β -pinene, limonene, camphene, linalool, but these results were shown the major component as caryophyllene. Followed the result, Cirsium setidens L. and Ligularia stenocephala L. were prefered wild baby vegetables for Korean food culture and aromatic characteristic.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