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배리듬, "한복 브랜드의 현황과 미적특성" 한국패션비즈니스학회 20 (20): 127-141, 2016
2 이진민, "한, 일 여성 전통 복식의 현대화에 나타난 미적 특성 고찰" 한국복식학회 60 (60): 162-178, 2010
3 류승호, "키치와 버내큘러 개념의 제품디자인 수용을 위한 이해" 한국디자인학회 18 (18): 199-208, 2005
4 김지혜, "철릭의 디자인 현대화에 관한 연구" 한복문화학회 11 (11): 95-110, 2008
5 서봉하, "중국 운남성 소수민족 복식의 현대화에 관한 연구" 한국패션디자인학회 10 (10): 19-31, 2010
6 이예영, "이영희의 패션디자인에 대한 도상해석학적 분석" 한국디자인문화학회 17 (17): 473-483, 2011
7 이언영, "영화에 나타난 전통 복식의 현대적 표현과 미적 상징성에 관한 연구" 한국복식학회 57 (57): 122-136, 2007
8 이주원, "생활한복의 문화상품화를 위한 방안" 한복문화학회 5 (5): 8-95, 2002
9 박영선, "생활한복 디자인 개발을 위한 소비자 인지도 조사 연구" 한복문화학회 6 (6): 2-24, 2003
10 채혜진, "근대화 과정에 나타난 버내큘러적 사물들의 욕망" 한국디자인학회 22 (22): 53-66, 2009
1 배리듬, "한복 브랜드의 현황과 미적특성" 한국패션비즈니스학회 20 (20): 127-141, 2016
2 이진민, "한, 일 여성 전통 복식의 현대화에 나타난 미적 특성 고찰" 한국복식학회 60 (60): 162-178, 2010
3 류승호, "키치와 버내큘러 개념의 제품디자인 수용을 위한 이해" 한국디자인학회 18 (18): 199-208, 2005
4 김지혜, "철릭의 디자인 현대화에 관한 연구" 한복문화학회 11 (11): 95-110, 2008
5 서봉하, "중국 운남성 소수민족 복식의 현대화에 관한 연구" 한국패션디자인학회 10 (10): 19-31, 2010
6 이예영, "이영희의 패션디자인에 대한 도상해석학적 분석" 한국디자인문화학회 17 (17): 473-483, 2011
7 이언영, "영화에 나타난 전통 복식의 현대적 표현과 미적 상징성에 관한 연구" 한국복식학회 57 (57): 122-136, 2007
8 이주원, "생활한복의 문화상품화를 위한 방안" 한복문화학회 5 (5): 8-95, 2002
9 박영선, "생활한복 디자인 개발을 위한 소비자 인지도 조사 연구" 한복문화학회 6 (6): 2-24, 2003
10 채혜진, "근대화 과정에 나타난 버내큘러적 사물들의 욕망" 한국디자인학회 22 (22): 53-66, 2009
11 Ryu, H. K., "Two thousand years of Korean fashion and culture" Misulmunwha 2001
12 Kim, N. D., "Trend Korea 2014" Miraebook 2013
13 Cho, Y. J., "The dictionary of comtemporary design" Ahn graphics publishers 2000
14 "Tchaikim"
15 Kim, J. H., "Now more than ever, wo men in their 20s-30s are spending their money on Hanbok[“이번 핼러윈 의상은 한복?”…옥션, 한복구매하는 2030 여성 늘어]"
16 "Leesle"
17 "Leesle"
18 "Leesle"
19 "Leesle"
20 Yoo, J. H., "Kim namhee, the CEO of Do lsilnai[20년 장수 브랜드 ‘돌실나이’ 김남희 대표]" Midas
21 "Hanlook"
22 "Hanlook"
23 Jeong, S. M., "Hanbok and Instagram:Interaction between tradition and social media" 343-, 2016
24 Jackson, J. B., "Discovering the vernacular landscape" Yale University Press, Ltd 1986
25 Chae, K. S., "Development of practical Korean costume model(II)" 3 (3): 99-109, 2000
26 Chae, K. S., "Development of practical Korean costume model(I)" 46 : 122-123, 1999
27 Lupton, E., "Design writing research: writing on graphic design" Phaidon 1999
28 "Dailyhan"
29 "Ccomaque"
30 "Ccomaque"
31 "Ccomaque"
32 "Ccomaque"
33 "Ccomaque"
34 "Ccomaque"
35 "Ccomaque"
36 "Ccomaque"
37 "Ccomaque"
38 "Ccomaque"
39 Lee, C. W., "A study on improvements in the process of practical Hanbok production" 4 (4): 56-59, 2001
40 Kim, S. K., "A study on consumption experience and the consciousness for Saenghwal Hanbok(I)" 2 (2): 133-134, 1999
41 Kang, J. H., "A study on characteristic of expressions and aesthetic significance of the vernacular design in contemporary fashio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2015
42 Kim, Y. S., "A study on changes in the form of traditional dress with its popularization" 4 (4): 108-, 2001
43 Yoon, S. H., "A study of vernacular design which is based on the peculiarity of Korean culture" Hongik University 2003
44 Koo, M. J., "A historical research on improved changes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10 (10): 130-, 19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