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민우, "한 권으로 끝내는 아두이노 입문+실전(종합편)" 앤써북 2019
2 최윤석, "캔위성 비행시험을 위한 고공분리장치 개발에 대한 연구" 7 : 516-517, 2018
3 박홍영, "캔위성 대회를 위한 하드웨어/소프트웨서 설계 및 구현" 897-900, 2012
4 문종근, "초소형 인공위성 캔샛 시스템의 개발" 6 : 753-756, 2006
5 이종수, "체험학습기반의 기초 창의공학설계 교육 및 운영" 한국공학교육학회 11 (11): 32-41, 2008
6 원수희, "우주기술 저변확대를 위한 초소형위성 프로그램: 캔위성 경연대회" 한국항공우주학회 40 (40): 636-645, 2012
7 김민성, "안전착륙 시스템을 적용한 캔위성의 설계" 8 : 357-358, 2019
8 최재규, "아두이노, 상상을 현실로 만드는 프로젝트 입문편" 영진닷컴 2017
9 다카모토 다카요리, "모두의 아두이노" 길벗 2016
10 김송현, "공군사관학교 캔위성교육 현황 및 발전방안" 519-520, 2019
1 서민우, "한 권으로 끝내는 아두이노 입문+실전(종합편)" 앤써북 2019
2 최윤석, "캔위성 비행시험을 위한 고공분리장치 개발에 대한 연구" 7 : 516-517, 2018
3 박홍영, "캔위성 대회를 위한 하드웨어/소프트웨서 설계 및 구현" 897-900, 2012
4 문종근, "초소형 인공위성 캔샛 시스템의 개발" 6 : 753-756, 2006
5 이종수, "체험학습기반의 기초 창의공학설계 교육 및 운영" 한국공학교육학회 11 (11): 32-41, 2008
6 원수희, "우주기술 저변확대를 위한 초소형위성 프로그램: 캔위성 경연대회" 한국항공우주학회 40 (40): 636-645, 2012
7 김민성, "안전착륙 시스템을 적용한 캔위성의 설계" 8 : 357-358, 2019
8 최재규, "아두이노, 상상을 현실로 만드는 프로젝트 입문편" 영진닷컴 2017
9 다카모토 다카요리, "모두의 아두이노" 길벗 2016
10 김송현, "공군사관학교 캔위성교육 현황 및 발전방안" 519-520, 2019
11 김송현, "공군사관학교 캔위성 교육 현황 및 발전방향 연구" 화랑대연구소 76 (76): 203-220, 2020
12 박신영, "공과대학생의 창의공학설계능력 교육요구도 분석" 한국공학교육학회 21 (21): 7-16, 2018
13 김수현, "고기동 안정화 카메라 및 원격제어 셀프카메라를적용한 캔위성 시스템 개발" 항공우주시스템공학회 12 (12): 86-96, 2018
14 PRAJAPATI, R. C., "Introducing CanSat for Project Based Learning(PBL)of Space Science and Engineering in Nepal" 1-6, 2017
15 LaCombe, J. C., "Design experiences with a student satellite program" 1-10, 2007
16 Nylund, A., "CanSat general introduction and educational advantages" 2007
17 Ortiz, "CanSat Pico-satellite building workshop as an effective tool for STEAM education" 1-15, 2020
18 Miyazaki, Y., "A practical education of space engineering by using CanSat and pico-satellite Fruitful collaboration with UNISEC for success of student satellite program" 1081-1086,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