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창의공학설계 및 실습 수업을 위한 아두이노 기반 교육용 캔위성 개발 연구 = A Study on Development of Educational CanSat based on Arduino for Creative Engineering Design and Practice Clas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7606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CanSat was designed as an educational satellite simulation program that implements the overall system of the satellite such as the command processing unit, the communication unit, and the power unit in a structure of the size of a can. In particular, the training effect is very excellent because the trainee can learn a process similar to the actual satellite development process by designing, manufacturing, testing, and launching. Republic of Korea Air Force Academy has been using the CanSat production kit used by the domestic can satellite contest experience department for education, but since it was produced based on PCB, it was impossible to show creativity and operation was restricted even with small mistakes.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existing CanSat kit and propose a new educational CanSat kit that can be used in creative engineering design and practice subjects that will be reorganized into a regular course from 2021, and a lesson plan. In conclusion, by using the proposed CanSat kit for lectures, it is possible to achieve educational purposes and effects, improve lecture satisfaction, and provide stable instruction.
      번역하기

      The CanSat was designed as an educational satellite simulation program that implements the overall system of the satellite such as the command processing unit, the communication unit, and the power unit in a structure of the size of a can. In particul...

      The CanSat was designed as an educational satellite simulation program that implements the overall system of the satellite such as the command processing unit, the communication unit, and the power unit in a structure of the size of a can. In particular, the training effect is very excellent because the trainee can learn a process similar to the actual satellite development process by designing, manufacturing, testing, and launching. Republic of Korea Air Force Academy has been using the CanSat production kit used by the domestic can satellite contest experience department for education, but since it was produced based on PCB, it was impossible to show creativity and operation was restricted even with small mistakes.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existing CanSat kit and propose a new educational CanSat kit that can be used in creative engineering design and practice subjects that will be reorganized into a regular course from 2021, and a lesson plan. In conclusion, by using the proposed CanSat kit for lectures, it is possible to achieve educational purposes and effects, improve lecture satisfaction, and provide stable instruc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 론 II. 교육용 캔위성 개발 방향 III. 교육용 캔위성 키트 개발 IV. 결론 참고문헌
      • I. 서 론 II. 교육용 캔위성 개발 방향 III. 교육용 캔위성 키트 개발 IV. 결론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서민우, "한 권으로 끝내는 아두이노 입문+실전(종합편)" 앤써북 2019

      2 최윤석, "캔위성 비행시험을 위한 고공분리장치 개발에 대한 연구" 7 : 516-517, 2018

      3 박홍영, "캔위성 대회를 위한 하드웨어/소프트웨서 설계 및 구현" 897-900, 2012

      4 문종근, "초소형 인공위성 캔샛 시스템의 개발" 6 : 753-756, 2006

      5 이종수, "체험학습기반의 기초 창의공학설계 교육 및 운영" 한국공학교육학회 11 (11): 32-41, 2008

      6 원수희, "우주기술 저변확대를 위한 초소형위성 프로그램: 캔위성 경연대회" 한국항공우주학회 40 (40): 636-645, 2012

      7 김민성, "안전착륙 시스템을 적용한 캔위성의 설계" 8 : 357-358, 2019

      8 최재규, "아두이노, 상상을 현실로 만드는 프로젝트 입문편" 영진닷컴 2017

      9 다카모토 다카요리, "모두의 아두이노" 길벗 2016

      10 김송현, "공군사관학교 캔위성교육 현황 및 발전방안" 519-520, 2019

      1 서민우, "한 권으로 끝내는 아두이노 입문+실전(종합편)" 앤써북 2019

      2 최윤석, "캔위성 비행시험을 위한 고공분리장치 개발에 대한 연구" 7 : 516-517, 2018

      3 박홍영, "캔위성 대회를 위한 하드웨어/소프트웨서 설계 및 구현" 897-900, 2012

      4 문종근, "초소형 인공위성 캔샛 시스템의 개발" 6 : 753-756, 2006

      5 이종수, "체험학습기반의 기초 창의공학설계 교육 및 운영" 한국공학교육학회 11 (11): 32-41, 2008

      6 원수희, "우주기술 저변확대를 위한 초소형위성 프로그램: 캔위성 경연대회" 한국항공우주학회 40 (40): 636-645, 2012

      7 김민성, "안전착륙 시스템을 적용한 캔위성의 설계" 8 : 357-358, 2019

      8 최재규, "아두이노, 상상을 현실로 만드는 프로젝트 입문편" 영진닷컴 2017

      9 다카모토 다카요리, "모두의 아두이노" 길벗 2016

      10 김송현, "공군사관학교 캔위성교육 현황 및 발전방안" 519-520, 2019

      11 김송현, "공군사관학교 캔위성 교육 현황 및 발전방향 연구" 화랑대연구소 76 (76): 203-220, 2020

      12 박신영, "공과대학생의 창의공학설계능력 교육요구도 분석" 한국공학교육학회 21 (21): 7-16, 2018

      13 김수현, "고기동 안정화 카메라 및 원격제어 셀프카메라를적용한 캔위성 시스템 개발" 항공우주시스템공학회 12 (12): 86-96, 2018

      14 PRAJAPATI, R. C., "Introducing CanSat for Project Based Learning(PBL)of Space Science and Engineering in Nepal" 1-6, 2017

      15 LaCombe, J. C., "Design experiences with a student satellite program" 1-10, 2007

      16 Nylund, A., "CanSat general introduction and educational advantages" 2007

      17 Ortiz, "CanSat Pico-satellite building workshop as an effective tool for STEAM education" 1-15, 2020

      18 Miyazaki, Y., "A practical education of space engineering by using CanSat and pico-satellite Fruitful collaboration with UNISEC for success of student satellite program" 1081-1086,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7-21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공학교육기술학회 -> 한국공학교육학회
      영문명 : Korean Society For Engineering Education & Technology Transfer -> Korean Society for Engineering Education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1 1.01 1.0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5 0.88 1.334 0.3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