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examine discourse instances, positional fields, positional actants, depth, rhetorical dimensions, and the『Flowers of Evil』, and passion and discourse semiotically analyze 「Swan」 contained in the『Flowers of Ev...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examine discourse instances, positional fields, positional actants, depth, rhetorical dimensions, and the『Flowers of Evil』, and passion and discourse semiotically analyze 「Swan」 contained in the『Flowers of Ev...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examine discourse instances, positional fields, positional actants, depth, rhetorical dimensions, and the『Flowers of Evil』, and passion and discourse semiotically analyze 「Swan」 contained in the『Flowers of Evil』, a collection of poems of Baudelaire. In discourse semiotics, Fontanille dealt with how the body performs spatial perception in the space where we live. He referred to the sensuous body before becoming a subject as the instance, and specified the basic characteristics of the positional field, the positional actants referring to the orientational actant and the capturing actant, the depth deeply related to the existential experience of the body, and the rhetorical dimension based on the structure of the perceptual actant. The 『Flowers of Evil』, a collection of poems of Baudelaire, a pioneer of symbolism in France, is considered not only the originator of symbolist poetry, but also the greatest root that gave birth to modern Western poetry. The poem 「Swan」selected by us is considered one of the most beautiful poems in the second chapter 'Paris Landscape' of the『Flower of Evil』, and it can be seen that the essence of the poet's poetic creation is summarized in this poem. 「Swan」 captured the pain and sense of loss of those who are marginalized in the metropolitan society termed Paris, the widow who lost her homeland and husband, the swan that lost its hometown, and the losers in the city can all be said to be the symbols of the poet himself. What dominate this poem are the regret and nostalgia for the disappearing life, and the ancient myth was literarily transformed to make the poem more beautiful and deeper. In the analysis, various analytical tools of discourse semiotics were used, and in the passion semiotic analysis, the subject of 「Swan」was characterized with for aspect devices, /wants to be/, /should be/, /knows that it is not/, /cannot be/, and it was found that the subject feels the passion of the sense of loss composed of these aspect devices. In addition, this poem could be placed in a position where high intensity and low range are combined in the tension scheme by showing a sense of deficiency in general. This paper proved the way for the methodology of passion and discourse semiotics to be applied to the analysis of Baudelaire's poems and its explanatory power.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담화 현동태와『악의 꽃』에 대해서 알아보고, 보들레르의 시집 『악의 꽃』 에 수록된 「백조」를 정념과 담화 기호학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퐁타닐은 담화 기호...
본 논문은 담화 현동태와『악의 꽃』에 대해서 알아보고, 보들레르의 시집 『악의 꽃』 에 수록된 「백조」를 정념과 담화 기호학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퐁타닐은 담화 기호학에서 우리가 사는 공간 속에서 신체가 어떤 양식으로 공간적 지각을수행하고 있는지를 연구했다. 그는 주체가 되기 이전의 감각적인 신체를 현동태라 지칭했으며, 주체가 세계 속에서 차지하고 있는 위치장, 지향 행위소와 포착 행위소를가리키는 위치 행위소, 신체의 실존적 체험과 깊숙이 연관되어 있는 깊이, 지각 행위소구조를 기반으로 하는 수사학적 차원을 명시했다. 프랑스 상징주의 선구자 보들레르의 시집『악의 꽃』은 상징주의 시의 원조일 뿐 아니라 서구 현대시를 낳은 거대한 작품으로 간주되고 있다. 우리가 선택한 시 「백조」는 『악의 꽃』 제2장 ‘파리 풍경’ 중에서 가장 아름다운 시들 중 하나로 손꼽히고 있으며, 이 시에 시인의 시적 창조의 정수가 요약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백조」는 파리라는 대도시 사회에서 소외된 사람들의고통과 상실감을 담아냈으며, 조국과 남편을 잃은 과부, 고향을 잃은 백조, 도시의 낙오자들은 모두 시인 자신의 상징이라 할 수 있다. 이 시를 지배하고 있는 것은 사라져가는 것에 대한 아쉬움과 노스탤지어이며, 고대 신화를 문학적으로 변용하여 시를 더욱 더 아름답고 깊이 있게 하였다. 분석에서는 담화 기호학의 여러 가지 분석 도구를활용했으며, 정념 기호학적 분석에서는 「백조」의 주체가 /∼이기를 원함/, /∼이어야함/, /∼이 아님을 앎/, /∼일 수 없음/의 네 가지 양태 장치로 특징지어지며, 주체는 이러한 양태 장치로 이루어지는 상실감의 정념을 느낀다는 것을 파악하였다. 아울러 이시는 전체적으로 결핍감을 나타냄으로써 긴장도식에서 높은 강도와 낮은 범위가 결합하는 위치에 놓을 수 있었다. 본 논문은 「백조」가 아직 기호학적으로 연구되지 않은작품인 만큼, 정념과 담화 기호학의 방법론에 역점을 두어 조명함으로써 그 가능성과유효성을 입증했다.
참고문헌 (Reference)
1 홍정표, "황순원의 단편소설 「그늘」에 대한 담화 기호학적 분석" 한국기호학회 61 : 251-275, 2019
2 홍정표, "프랑스 아폴리네르 시 「행렬」과 「나그네」의 담화 기호학적 분석" 한국기호학회 69 : 277-306, 2021
3 박인철, "파리학파의 기호학" 민음사 2003
4 윤영애, "지상의 낯선 자 보들레르" 민음사 2001
5 Merleau-Ponty, M, "지각의 현상학" 문학과 지성사 2002
6 Benveniste, E, "일반언어학의 제문제 2" 민음사 1992
7 Benveniste, E., "일반언어학의 제문제 1" 한불문화출판 1988
8 Baudelaire, Ch, "악의 꽃" 문학과 지성사 2003
9 이진성, "샤를르 보들레르" 건국대학교 출판부 2003
10 김형효, "메를로 뽕띠와 애매성의 철학" 철학과 현실사 1996
1 홍정표, "황순원의 단편소설 「그늘」에 대한 담화 기호학적 분석" 한국기호학회 61 : 251-275, 2019
2 홍정표, "프랑스 아폴리네르 시 「행렬」과 「나그네」의 담화 기호학적 분석" 한국기호학회 69 : 277-306, 2021
3 박인철, "파리학파의 기호학" 민음사 2003
4 윤영애, "지상의 낯선 자 보들레르" 민음사 2001
5 Merleau-Ponty, M, "지각의 현상학" 문학과 지성사 2002
6 Benveniste, E, "일반언어학의 제문제 2" 민음사 1992
7 Benveniste, E., "일반언어학의 제문제 1" 한불문화출판 1988
8 Baudelaire, Ch, "악의 꽃" 문학과 지성사 2003
9 이진성, "샤를르 보들레르" 건국대학교 출판부 2003
10 김형효, "메를로 뽕띠와 애매성의 철학" 철학과 현실사 1996
11 홍정표, "김동인의 단편 소설 <배따라기>에 나타난 정념의 기호학적 분석" 한국기호학회 20 (20): 285-344, 2006
12 Fontanille, J., "기호학과 문학"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03
13 서정철, "기호에서 텍스트로" 민음사 1998
14 김성도, "구조에서 감성으로" 고려대학교 출판문화원 2020
15 Fontanille, J., "Tension et signification" Mardaga 1998
16 Fontanille, J., "Sémiotique du visible" P. U. F 1995
17 Fontanille, J., "Sémiotique du discours" PULIM 1999
18 Fontanille, J., "Soma et Séma, figures du corps" Maisonneuve & Larose
19 Fontanille, J., "Pratiques sémiotiques" PUF 2008
20 Fontanille, J., "Les objets au quotodien" PULIM 2005
21 Baudelaire, Ch, "Les fleurs du mal, Le livre de poche" 1972
22 Fontanille, J., "Les espaces subjectifs introduction à la sémiotique de l’observateur" Hachette 1989
23 Greimas, A, -J, "Les Passions, Bulletin, XI, 39" 1986
24 Géninasca, J., "La parole littéraire" P. U. F 1999
25 Citron, P., "La Poésie de Paris dans la littérature française de Rousseau à Baudelaire" Ed. de Minuit 1961
26 Starobinski, J., "La Mélancolie au miroir. Trois lectures de Baudelaire" Julliard 1989
27 Hébert, L., "Dispositifs pour l’analyse des textes et des images" PULIM 2009
28 Greimas, A. –J., "Dictionnaire raisonné de la théorie du langage" Hachette 1979
29 Raymond, M., "De Baudelaire au Surréalisme" Librairie José Corti 1963
30 Fontanille, J., "Corps et sens" PUF 2011
31 Fontanille, J., "Anne Hénault, Questions de sémiotique" PUF 2002
건축의 물질성과 추상성의 관계 모델링을 위한 기호학적 연구
항진적 표현과 은유적 표현의 서술어 기제에 관한 기호학적 접근 - ‘지각적 판단’과 ‘논리적 해석체’를 중심으로